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젓가락
젖가락
젓갈
횡적
뉴스
"
저
"(으)로 총 2,277건 검색되었습니다.
할아버지의 컴퓨터, 네티즌 어리둥절
팝뉴스
l
2019.05.05
컴퓨터는 도스 컴퓨터이며 자료
저
장은 플로피 디스켓에 한다. 요즘 젊은 네티즌들은 도
저
히 이해하기 힘든 설명일 것이다. 해외 네티즌 중 나이가 많은 이들은 사진을 보며 반가워하지만 다수는 어리둥절해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 ...
SF까지 넘보는 대륙의 힘 '유랑지구'
2019.05.04
모호하게 나오지만, 원작 소설에서는 프록시마 센타우리라고 나옵니다. 그런데
저
는 이게 좋은 선택인지 모르겠습니다.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적색왜성이거든요. 밝기가 태양의 0.17%밖에 안 되는 데다가, 적외선이 많이 나와 사람이 볼 수 있는 가시광선은 그보다 훨씬 더 적습니다. 그러면 지구를 ... ...
동네 하수구 속의 악어 ‘무서워’
팝뉴스
l
2019.05.03
이런 설정을 한 주인도 대단하지만 강아지의 인내심도 최고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저
렇게 꾸미는 동안 가만히 앉아 있어줬던 것이다. 물론 표정에서는 불만이 강하게 풍기는 것이 사실이다. 아주 희소한 견인 상황 팝뉴스 제공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촬영된 사진이라고 한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알파고의 공습
2019.05.02
알리는 분기점이 될지도 모른다고 학생들에게 말할 때마다 “그래도 이세돌 9단을 도
저
히 이기지는 못하겠지만...”이라는 단서를 늘 붙였다. 이는 동네바둑 6급만의 예상이 아니었다. 극소수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바둑기사와 인공지능 관련 전문가들도 이세돌의 승리를 점쳤다. 바둑에서나 ... ...
"
저
선수 맞고 나갔어요" 선수들이 우기는 이유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상황을 인지하는데 드는 시간이 약 50ms라며 이 안에서 동시적 사건이 발생하면 자신이 먼
저
했다고 느끼는 편견을 갖는다고 설명했다. 맥베스 교수는 “사람은 야구공을 치거나 잡는 등 스스로 행동할 때는 실시간으로 인지하지만 누가 갑자기 어깨를 친다든가 하는 예상치 못한 일을 인지할 때는 ... ...
"땅 파지마" 자원·암반·CO2
저
장 연구 전국 곳곳 중단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속 물에 녹은 뒤 수십~수천 년 뒤에 침전돼 고체가 돼 안전하고 이상적인 이산화탄소
저
감기술로 꼽힌다”며 “만에 하다 이산화탄소가 새어나온다 해도 폭발하는 형태가 아니라 공기가 새듯 새는 수준이며, 그나마 바닷물에 녹거나 대기중에 흩어져 인체에 영향은 없다”고 설명했다. 자원 탐사 ... ...
’포항지진은 유발지진’ 연구결과 낸 교수들 “압력 많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발표했다. 이진한 교수는 "포항 지열발전 주관기관인 넥스지오가 김 교수와
저
를 연구윤리위반 혐의로 학교 측에 문제를 제기했고 제가 속한 고려대는 예비조사에서 혐의없음으로 결정했다"며 "하지만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열발전 자료를 논문에 쓰도록 허가하지 않았다고 학교 측에 공문을 보내 ... ...
화장실 휴지를 퇴출시킨 발명품
팝뉴스
l
2019.04.18
다른 네티즌들은 실제 발명품이 아니라 장난스러운 아이디어에 불과하다고 지적한다.
저
박스 안에는 실제 물건이 없고, 사람들을 즐겁게 할 목적의 ‘조크 박스’라는 것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 ...
할머니의 마음 '감동'
팝뉴스
l
2019.04.12
할머니는 말씀은 하지 않았지만 마음이 아주 아팠다. 구멍난 청바지도 아니고 여기
저
기 찢어지고 해진 청바지였다. 손녀가 돈이 없어서 이런 찢어진 청바지를 입고 있는 게 슬펐을 것이다. 그래서 수선을 해줬다. 패션 테러리스트가 아니라 할머님의 따뜻한 마음이 담긴 청바지다. ※ ... ...
실명위험 '황반변성'…놓쳐서는 안 될 경고신호
연합뉴스
l
2019.04.10
활성화된 약이 신생혈관을 파괴하는 원리다. 최근 가장 주목받는 치료는 혈관 형성을
저
해하는 항체를 눈에 주사하는 방식이다. 다른 치료법보다 탁월한 치료 효과를 보이고 시력 유지는 물론 일부 시력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주사를 장기적으로 맞아야 하고, 비싼 게 흠이다. 대부분의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