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스페셜
"
한계
"(으)로 총 1,009건 검색되었습니다.
허블 우주 망원경에서 디지털 카메라까지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11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첩보위성에서부터 캡슐형 내시경까지 CCD는 인간의 눈이 가진
한계
를 극복하는 도구이기도 하다. 기존의 필름보다 빛을 감지하는 능력이 1000배 이상 뛰어날 뿐 아니라, 가시광선은 물론이고 자외선이나 적외선까지 감지할 수 있어 우주를 관측하는 데 유용하게 쓰이고 ... ...
산업을 변화시킨 주역, 복사기의 탄생
KISTI
l
2013.12.10
습식복사기는 20세기 초까지 사용된다. 와트의 복사기가 인기를 얻기는 했지만 명백한
한계
가 있었다. 와트의 복사기로는 사본 한 부를 더 만들 수는 있어도 동일한 문서를 여러 장 만들어내는 것은 불가능했다. 당연히 복사기의 활용처도 지금처럼 보고서나 서류를 여러 부 만드는 것이 아니라 와트 ... ...
일터와 산업을 바꿔놓은 한 건의 발명
KOITA
l
2013.11.08
습식복사기는 20세기 초까지 사용된다. 와트의 복사기가 인기를 얻기는 했지만 명백한
한계
가 있었다. 와트의 복사기로는 사본 한 부를 더 만들 수는 있어도 동일한 문서를 여러 장 만들어내는 것은 불가능했다. 당연히 복사기의 활용처도 지금처럼 보고서나 서류를 여러 부 만드는 것이 아니라 와트 ... ...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KOITA
l
2013.11.04
타고 다른 그룹으로 전파될 수 있을 것이다. 정보의 확산을 제한하던 소그룹 네트워크의
한계
를 넘어서서 정보를 퍼뜨릴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는 해도 의사소통행위의 본질, 기본적인 목적과 형태 자체는 변하지 않았다. 넓은 간선도로를 냈다고 교통수단으로 버스 대신 기차를 사용하지는 않는 ... ...
[채널A] 면역특성 역으로 이용…독감 백신 맞으면 더 위험?
채널A
l
2013.11.01
경우에는 봄경에 재접종을 해야하는지를 주치의와 의해야합니다. 체내 면역의 근본적인
한계
를 밝힌 이번 연구는 만능 백신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culture/3/04/20131101/58612585/1 ... ...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3국이 유엔 대륙붕
한계
위원회에 소명자료를 제출하여 다투고는 있는 상황이지만 대륙붕
한계
위원회는 권고만 할 뿐, 강제력을 행사하지는 않으므로 결국 3국의 협상으로 해결할 문제다. 다만 과학적인 근거를 많이 갖추어 두면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 선진국의 상당수가 해양 ... ...
공공 R&D의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
KOITA
l
2013.09.10
공공 R&D의 새로운 역할 제시 및 방향성을 잡아가기 위해서는 다음 4가지 성과활용의
한계
점 및 원인에 대해 자발적인 혁신방안 도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1) 적극적인 산업계 수요 반영 연구자들은 인건비 확보를 위한 수탁(PBS) 및 개인평가(O/H기여도) 때문에 사업화 R&D 보다는 새로운 ... ...
“급변하는 환경 반영한 새로운 나노 정책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8.22
분야에 선제적으로 접근해야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제공 나노기술은 기존 기술의
한계
를 극복하는 기술로 각광받고 있지만 안전성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된다. 인류가 처음으로 경험하는 미시의 세계에다 연구 역사도 짧아 불확실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현재 나노기술개발촉진법에는 ... ...
가시광 흡수·방출하는 산화물 나노튜브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8.22
가시광을 방출할 수 있도록 했으나, 원하는 위치에 균일하게 불순물을 주입하는 데는
한계
가 있었다. 연구팀은 불순물 탄소를 이용하여 가시광선을 보다 잘 흡수할 수 있게 이산화티타늄의 전자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나노튜브의 구조 변형없이도 자외선 이외의 가시광을 강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 ...
인간게놈이 양자컴퓨터를 만났을 때
동아사이언스
l
2013.08.20
문제로 도시가 늘어날수록 경우의 수가 지수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디지털컴퓨터로는
한계
에 봉착한다. 그런데 단열양자계산을 쓰면 여러 경로를 동시에 탐색하기 때문에 바로 답을 알 수 있다는 것. 변이 인산화효소의 구조를 밝히는 일도 최적화문제의 하나다(가장 안정한 구조를 찾는 것이므로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