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터널 화재 당신이라면 어디로?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덕트를 통해 밖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급기량이 배기량보다 많은 경우는 이와 반대다.더
큰
문제는 급기량이 배기량보다 훨씬 많은 경우다. 급기 덕트 구멍은 보통 터널 밑 가장자리에 나 있다. 급기량이 적당하면 가장자리 덕트에서 터널 중앙부 위쪽으로 공기가 흐르면서 서서히 연기를 밀어올리는 ... ...
롱다리·똘똘이 유전자의 허황된 약속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그러나 문제는 제한효소에 잘리는 조사 대상 유전자 조각이 정상과 비정상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황 교수는 “조사에 의하면 현재 시행되는 검사들 중에는 RFLP 방법으로 차이를 볼 수 없는 유전자들이 있다”며 “이들이 어떤 방법으로 검사되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한다.황 ... ...
울릉도 1백년 전설 돈스코이호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선정했던 것이다. 탐사팀은 긴 암반과 침몰선이 나란히 있을 경우를 예상했다. 그리고
큰
이상 물체들을 다시 조사하기 시작했다.울릉도 저동 촛대바위 동쪽 방향 2km 해역의 약 4백m 수심. 이곳에는 50。 정도의 경사가 진 절벽이 있다. 주변 해역은 주로 암반으로 이뤄져 있다. 이 절벽 중턱에서 ... ...
노안 부르는 수정체 변화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두껍게 만든다. 두꺼운 수정체는 굴절력(굴절률)이 크기 때문에 수정체를 지난 빛이
큰
각도로 꺾인다. 반면 먼 거리를 볼 때는 모양체가 모양소대를 잡아당겨 수정체를 얇게 만든다. 얇은 수정체는 굴절력이 작으므로 빛이 통과하면서 작은 각도로 꺾인다. 정상 시력을 가진 눈에서는 이렇게 ... ...
국내 최고 논문왕 자랑하는 수학자 박세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과정에서 어떤 논의가 이뤄졌는지를 학생들에게 전달하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큰
안목을 갖고 자신의 전공분야를 바라볼 수 있게 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최근에도 논문을 계속 쓰신다고 하셨는데요. 앞으로의 계획은 어떠십니까?”“수학의 철학을 완결하다보니 한 2년 동안 공부를 ... ...
로봇이 청소해주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자동차산업에 필적할 정도로 성장할 것이라는 예상이다.현재 로봇 가전의 보급에 가장
큰
걸림돌은 아무래도 가격이 고가라는 점이다. 자칫 부유층의 과시성 상품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부터 만들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첨단제품과 마찬가지로 가격은 점점 저렴해질 것이다. 결국 현재 각 ... ...
두번째 대멸종은 운석 충돌 때문?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지구의 두번째 대멸종 사건이 운석 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국 루이지애나 주립대 브룩스 엘우드 교수는 “3억8천만년 전에 우주에서 운석 ... 박사는“이 시기의 대멸종 사건이 오랫동안 진행된 사건이라는 점에서운석 충돌이 가장
큰
멸종 원인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3호기까지는 달의 적도에 대한 경각(傾角)이 작은 궤도로 발사되었고, 4 · 5호기는 경각이
큰
궤도로 진입시켜 달의 극지방도 탐사할 수 있게 했다 1860~1920 독일의 화학자 1880년부터 라이프치히 · 하이델베르크 · 베를린 등지에서 화학을 공부하고 89년 하이델베르크대학 연구소 소장대리, 90년 ... ...
쌍둥이 로버 화성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 피부온도 · 근긴장(筋緊張) 등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는 생리활동이나 뇌파(腦波)는
큰
변화를 제외하고는 자기의 의지로 강하게 혹은 약하게 하거나 멈추게 하는 등의 제어를 할 수 없는 불수의활동(不隨意活動)들이다 세균 · 곰팡이 · 바이러스 등 미생물을 취급할 때 생기는 감염재해 ... ...
4 태양 아래에서 자동 충전되는 입는 컴퓨터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전기적인 방식으로 정보전송이 이뤄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점은 전송속도의 향상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는 기술이 나노 광결정 소자다. 소자 구조를 나노 수준에서 결정체처럼 주기적으로 배열하면 광신호의 이동경로를 바꿀 수 있다.한편 양자 광통신은 기존의 광통신보다 ... ...
이전
936
937
938
939
940
941
942
943
9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