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1"(으)로 총 10,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지 못하던 찰나를 보는 레이저 과학IBS l2014.06.10
- '볼 수 있게' 해 준다. 아주 어두운 실험실 안에서 물체가 움직이는 동안 10초 간격으로 0.1초씩만 플래시를 터뜨려서 사진을 한 컷씩 찍는다고 생각해 보자. 플래시는 아주 짧은 순간만 켜지지만 이 사진들을 순서대로 모으면 10초 간격으로 물체가 변화한 모습과 그 과정을 분석할 수 있다. 펨토초 ... ...
- [채널A] “진짜 인간 같다”…인공지능 판정 첫 통과채널A l2014.06.10
- 털어놓습니다. 러시아 연구진이 개발한 인공지능 ‘유진 구스트먼’. 햄버거를 좋아하는 13살 소년으로 설정해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 판정 시험인 ‘튜링 테스트’를 거뜬히 통과했습니다. 채팅으로 유진과 5분간 대화한 심사위원의 33%는 그를 ‘진짜 인간’으로 확신할 정도였습니다. 케빈 ... ...
- [만화] 안전교육, 주방에도 필요하다!KISTI l2014.06.09
- 압력솥이 새롭게 보여요. 근데 압력솥을 이용하면 왜 요리가 잘 돼요?” “평상시 대기압(1기압)에서 음식은 섭씨 100도에 익기 시작하지만, 압력을 두 배로 높여주면 섭씨 120도에 익기 때문에 훨씬 빨리 요리가 된단다. 실제로 압력솥을 이용하면 조리시간이 1/3로 줄어들지. 고기도 속까지 푹 익어 ...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2014.06.09
- 존재하는 기저막은 콜라겐 네트워크가 지탱한다. 삼중나선분자인 콜라겐은 말단(NC1육합체)이 설필리민 결합을 통해 연결되면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퍼옥시다신이라는 효소가 이 과정을 촉매하는데, 이때 브롬이온이 꼭 있어야 한다. - 셀 제공 ●염소가 브롬 대신하지 못해 학술지 ‘셀’ 6월 ... ...
- 배에 실려 온 외래생물종의 습격! KISTI l2014.06.05
- 열리는 기회이기도 하다. 현재 국제해사기구의 승인을 받은 관련 기술 31건 가운데 11건(35.5%)을 국내 기업이 보유하고 있고, 지난해 기준(2013년)으로 평형수 설비 시장의 수주액 7900억 원 가운데 4585억 원(58.0%)을 국내 기업이 달성했다. 우리나라가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 ...
- [MATH] 천재일우(千載一遇)와 확률KISTI l2014.06.05
- 확률은 10/10,000,000 = 1/1,000,000 즉 1백만 분에 1인 것이다. 그래도 번개에 맞을 확률이 로또 1등에 당첨될 확률보다 8배나 높다. 또한 평균 100명이 근무하는 사업장을 기준으로 사원에서 대리로 승진할 확률은 50%, 대리에서 과장으로 승진할 확률은 26%, 과장에서 부장 승진은 14%, 부장에서 이사가 될 ...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2014.06.04
- 붕괴할 때 나온 신호임을 이론적으로 규명했다고 밝했다. 전자의 질량이 0.51메가전자볼트(MeV, 메가는 100만을 뜻함)이므로 7KeV이면 ‘꽤 큰’ 질량이다. 따라서 이게 정말 불임 뉴트리노에서 온 신호가 맞다면 불임 뉴트리노야말로 암흑물질을 설명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모형이라는 것. 다만 ... ...
- 로드인터뷰 단위이야기 [제3편]동아사이언스 l2014.06.03
- 1 s(초)는 어떻게 정해졌을까? 그에 관한 시민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들어보고 현재 1 s(초)의 정의, 세슘-133원자의 고유진동수가 약 92억 번 진동하는 것을 말하는데 시간의 기준을 세슘원자로 잡은 이유는 무엇인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전문가의 설명을 들어본다. ... ...
- 돈이 보이는 특허기술 [제1편]동아사이언스 l2014.06.03
- 지방을 직접 분해하는 획기적인 비만치료 물질 개발 비만과의 전쟁이 한창인 현대사회, 연세대 식품기능유전체 연구실은 기존 비만치료제 방식과 전혀 다른 접근을 시도했다. 잉여 에너지가 지방으로 축적되는 것을 막아주면서 세포 스스로 중성지방을 분해하고, 지방세포의 크기를 줄 ... ...
- [과학향이 나는 지리여행] 제주 편, 용천 지리여행 KISTI l2014.05.29
- 2003년 ‘제주도 수문지질 및 지하수자원 종합조사’에 따르면 제주의 용천수 나이는 1살부터 25살까지 다양하게 구성돼 있다. 이는 작년에 내린 빗물이 솟아나오는 용천도 있는 반면, 25년 전에 내린 빗물이 용출되고 있는 용천도 있다는 뜻이다. 용천수 나이는 해안가로 내려갈수록 많아지는 경향을 ... ...
이전9369379389399409419429439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