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월"(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공눈, 누가 만들까?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있는 응결핵이 바로 슈도모나스 시링가이 같은 세균이라는 가설을 ‘사이언스’ 2008년 2월 29일자에 발표했다.눈 만드는 세균 발견1975년, 미국 위스콘신대의 대학원생인 스티브 린도우는 식물에 냉해를 입히는 세균인 ‘슈도모나스 시링가이(Pseudomonas syringae )’가 눈을 만든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이 ... ...
- 겨울의 DMZ에서 독수리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길이는 무려 3m나 된다.여기는 경기 파주시 장단면에 있는 장단반도. 독수리의 대표적인 월동지다. 지난 12월 10일 겨울철새를 보러 30여 명이 이곳을 찾았다. 경기관광공사와 동아사이언스가 함께 주최한 행사였다. 이 지역에 있는 마을인 ‘통일촌’의 조봉연 이장이 안내를 맡았다.“여기서 ... ...
- “남 배려하는 따뜻한 학생 뽑겠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011년 9월 발표된 QS 세계대학평가에 따르면 서울대 공학 분야는 학계 평판에서 세계 33위를 차지했다. 2020년 20위를 목표로 치열하게 달려가고 있는 서울대 공대의 이우일 신임학장을 만나 비전을 들어봤다.“서울대 공대는 공부만 잘하는 사람보다는 생각이 자유로운 학생, 그리고 남을 배려하고 균형 ... ...
- [1월] 과동 데스크의 썰 說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이번 호 과동 초이스에 선정된 ‘에너지의학의 신비로운 세계’는 에너지의학이 탄생하게 된 배경과 에너지 흐름을 규명하려는 과학자들의 노력, 에너지의학의 의미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다뤘다. 초이스에 선정된 것은 기사가 제목에 걸맞는 흐름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에너지의학의 신비로 ... ...
- 발 없는 트위터가 천 리 가는 이유수학동아 l2012년 01호
- 따라서 임의의 두 사람은 최대 6.6단계만 거치면 서로 연결될 수 있다(수학동아 2011년 12월호 특집 참고). 그렇지만 트위터에서는 팔로윙만 하면 이 단계가 급속히 줄어들어 1단계로 연결된다. 작은 세상이 더 작아진 것이다.그래서 트위터와 페이스북에서는 정보를 전달하는 데 중요한 사람이 다르다. ... ...
- 시작의 설레임을 담고 있는 1수학동아 l2012년 01호
- 1월 1일 새해가 밝았어. 우리는 태어나자마자 한 살이 되고, 학교는 1학년부터 시작되지. 이처럼 숫자 1은 시작을 의미한단다. 이번 달에는 시작의 설렘을 안고 숫자 1에 담긴 수학 이야기를 만나 보자. 출발!제1코스 티끌 모아 태산, 자연수 집합을 만드는 1숫자 1은 일종의 티끌이다. 무슨 말일까? 1에 ... ...
- 사람이 살 수 있는 ‘제2의 지구’를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약 600광년 떨어진 곳에 사람이 살 수 있는 행성 ‘케플러-22b’를 찾아냈다고 12월 5일 발표했습니다.케플러우주망원경이 관측한 결과 ‘케플러-22b’는 지구와 놀랍도록 비슷했어요. 지구처럼 흙과 바위가 많을 뿐 아니라 엄청나게 큰 바다가 액체 상태로 있거든요. 또 태양 같은 별 주위를 일정한 ... ...
- 2012년 내가 제일 잘나가!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1호
- 해가 될 거라고. 안녕? 난 미국항공우주국의 화성 탐사 로봇이야. 올해 8월부터 화성에서 탐사를 시작할 예정이란다. ‘호기심’이라는 이름처럼 화성 곳곳을 누비며 생명체의 흔적을 찾는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지. 꼭꼭 숨어라~, ‘힉스 입자’ 보인다!거대강입자가속기안녕? 난 ... ...
- 수학적으로 완벽한 거품이 있다?!수학동아 l2012년 01호
- 11월 28일, 영국 트리니티대 데니스 웨이어 박사팀은 수학적으로 완벽한 비누 거품을 실제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수학적으로 완벽한 거품이란, 미적분학에서 가장 중요한 등주문제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등주문제는 부피가 일정할 때 최소한의 표면적으로 이뤄진 도형을 구하는 것으로, ... ...
- [시사] 보도블록과 도서관, 어떤 것을 먼저 만들까?수학동아 l2012년 01호
- 있는지 직접 설문조사를 하기도 한다.설문조사를 통해 비용편익을 계산한 사례는 1989년 3월 다국적 석유회사인 엑손 소유의 거대한 유조선 발데스 호가 암초에 부딪혀 가라앉은 사고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사고로 미국의 대표적인 어장이자 관광지인 미국 알래스카 남부 해안이 약 3만 7000t에 달하는 ... ...
이전9379389399409419429439449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