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4. 5감통신의 한계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않다) 전송된 정보를 다시 종합해 일정한 형태의 감각으로 재구성해내는 일은 현재의
기술
로는 상상도 할 수 없다. 감각의 디지털화도 어렵지만, 전송된 감각정보를 다시 물질화 시키는 일은 더욱 난감한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할머니와 손자가 만나 서로 얼굴을 비볐을 때의 촉감을 통신망에 ... ...
빛을 기록하는 인류 최대 발명품 CAMERA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어둠상자사진은 광학적으로 얻어진 상을 화학적으로, 또 물리적으로 정착시키는
기술
이다. 그래서 사진의 역사는 곧 필름의 역사라고 말할 수 있다. 영상을 모으는 카메라와 영상을 정착시키는 필름과의 결합으로 사진은 발명됐다. 필름이 발명되기 훨씬 전부터 바늘구멍(pinhole)을 통과한 풍경을 ... ...
1. 홈웨어 없는 홈PC 속 빈 강정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컴퓨터가 가정을 위해 봉사할 수 있는 전부였다.그러나 컴퓨터 통신과 멀티미디어
기술
의 보급으로 홈PC가 할 일이 많아지기 시작했다. PC는 글을 쓰고 자료를 관리하며 숫자를 계산하는 업무용에서 벗어나 아이들을 교육시키고 통신 서비스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아보는 등 영역이 확장됐다. 드디어 ... ...
새로운 인터넷 언어 자바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기술
들이 서로 배타적으로 성장하지 않고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응집돼 몇 배 더 강력한
기술
로 재탄생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자바가 톡톡히 해 나갈 것이다.용어설명자바: 선 마이크로시스템스(Sun Microsystems)에서 개발한 객체지향프로그래밍 언어(Object Oriented Programming Language)의 일종.핫 ...
1. 대도시에 지진이 일어난다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6.0)의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를 살펴보자. 구조물의 내진설계에 대해 확실한 지식을 가진
기술
자가 충실하게 설계·시공한 건물은 약간의 피해를 입어도 붕괴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재산상의 피해는 있어도 인명 피해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우리나라에서 내진설계가 시행된 건물은 1987년 이후 ... ...
서울과학관, '과학의 달' 기념 행사 개최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연다. 이 행사에는 천문 물리 등 기초과학에 대한 강연과 국내 기업이 개발한 신
기술
소개, 생태사진 전시회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마련돼 있다.특히 새롭게 설치된 '발전설비관' 은 일상생활과 밀접한 원자력 수력 화력 발전소의 발전원리와 설비를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도록 꾸며졌다. 또한 ... ...
방황하는 SF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의존하는 거대사회의 구조에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그 자체로는 가치 중립적인 과학
기술
의 막강한 힘을 우리는 과연 어떻게 써야할까. 과학의 발전으로도 쉽게 답할 수 없는 질문이다 ... ...
3. 풀어 쓴 디지털사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대한 반응을 시뮬레이션하기로 돼 있었다. 하지만 당시에 이용 가능했던 아날로그
기술
로는 계산속도가 너무 느려 실시간 내에 조종사의 반응을 계산해 모의 비행장치를 조절해낼 수 없었다.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선풍계획'팀은 1945년 말에 이르러 기존에 활용하려고 했던 아날로그 ... ...
2. 우리가 만들어야 할 홈웨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등장 인물이 애니메이션을 해야 하기 때문에 컴퓨터 하드웨어의 성능이 좋아야 한다.
기술
적으로 성능이 우수한 창작용 홈소프트웨어는 개인이 만들기가 매우 힘들다. 그러나 기능이 전부는 아니다. 축하 카드를 만드는 간단한 프로그램도 훌륭한 창작용 홈소프트웨어가 된다. 스캐너를 이용하건 ... ...
4. 세제 세탁속에 숨어 있는 '보이지 않는 손'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생분해성을 가지면서 우수한 세정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원료의 개발, 그리고 농축화
기술
의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세제의 역사인류가 최초로 사용한 세제는 재(ash)다. 즉 식물을 태워 물로 걸러낸 알칼리성 잿물이 바로 그것이다. 세제용 비누의 시초는 약 2백년 전에 유지와 잿물을 원료로 해 ... ...
이전
939
940
941
942
943
944
945
946
9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