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뉴스
"
지금
"(으)로 총 10,37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 혜성 착륙 첫 성공
2014.11.13
탐사로봇 필래(Philae)를 사상 처음으로 혜성 착륙에 성공시키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지금
까지 탐사선을 보내 혜성을 스쳐 지나가며 표본을 채취해 돌아온 적은 있지만 혜성 표면에 로봇 탐사선을 착륙시킨 경우는 없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혜성 탐사선으로 스타더스트(Stardust)를 1999년 2월 ... ...
녹조 광합성이 방사능 물질 제거한다
2014.11.12
을 광물 형태로 바꾸는 방식으로 90% 이상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기술은
지금
까지 제염이 까다로웠던 하천이나 원전 오염수 정화에 사용할 수 있다. 또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토양 등도 물에 녹여 넣으면 제염이 가능하다. 기존 물리화학적 흡착이나 침전 방식보다 비용이 저렴한 ... ...
“성 행위 조절 단백질이 수면에도 관여”
2014.11.12
않으면 잠이 오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면 저절로 의식이 깨는 현상을 말한다. 하지만
지금
까지 수면 항상성이 어떻게 조절되는지는 밝혀진 바가 없었다. 김영준 교수팀은 초파리 암컷이 가진 SPR(SP수용체, Sex Peptide Receptor)이 초파리 수컷의 정액에 든 단백질인 SP와 결합하면 암컷이 한동안 교미를 ... ...
면역질환치료, 4D프린팅… 10년 뒤 유망기술 10선
2014.11.11
분야에 대비하기 위한 신기술로 ▲자가면역질환 치료기술 ▲광유전학기술이 꼽혔다.
지금
까지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던 면역질환 치료기술을 확보하는 한편, 각종 신약 개발에 유용한 광유전학기술을 선정해 질병없는 사회를 이룩하려는 의도다. ‘스마트한 사회’를 이끌기 위한 두 가지 ... ...
희귀난치성 질환으로 생긴 학습장애 치료법 찾았다
2014.11.11
심장병, 안면기형, 작은 키 등의 증상을 보이며 환자의 30~50%에게서 학습장애가 나타난다.
지금
까지 주로 증상에 대한 연구가 이뤄졌을 뿐 학습능력이나 인지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연구진은 이 질환에 걸린 환자에게 발견되는 돌연변이 유전자(PTPN11)를 생쥐에게 적용해 이 ... ...
이제는 입체가 대세, 3차원 그래핀 온다
2014.11.10
잘 통하는 특성이 있어 미래 신소재로 꼽힌다. 안종렬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지금
까지 2차원 구조로만 제작이 가능했던 그래핀을 3차원 입체구조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고 나노분야 국제학술지 ‘ACS 나노’ 10월 20일자에 발표했다. 이전에도 그래핀을 입체구조로 만들기 위한 노력은 ... ...
우리가 정말 행복했을까?
2014.11.10
했는데…)이라면 차라리 기억하지 않는 게 낫겠지만 아쉬운 정도(좋은 여자였는데.
지금
어디선가 행복하게 잘 살고 있겠지…)라면 말이다. 이제 그만 노트북을 덮고 커피 한 잔을 내려 음미하며 이선희 씨의 명곡 ‘추억의 책장을 넘기면’을 음미해야겠다. ... ...
메이드인 코리아 ‘사이보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4.11.10
모자처럼 생긴 장치를 쓰고 생각만으로 휠체어를 조종하는 데 성공했다. 이 장치는
지금
까지 개발된 뇌파 측정 장치 중 세계에서 가장 가볍다. 정흠 교수는 “국내 사이보그 기술은 95% 개발된 수준”이라며 “수년 내에 장애인들이 사이보그 기술의 도움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될 ... ...
이-바퀴벌레-흰개미 중 가장 먼저 등장한 곤충은?
2014.11.09
지금
까지 학계에 알려진 것과는 다른 결과도 나왔다. 털이 달린 생물에 기생하는 이는
지금
까지 깃털 달린 공룡이 등장하면서 생긴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이번 연구 결과 새와 포유류가 나타나기 전까지는 이가 퍼져나가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 ...
빅뱅 후 6~7억 년 뒤 우주배경복사 관측 성공
2014.11.07
있다. 이대희 천문연 책임연구원은 “우주배경복사를 처음 발견한 것은 1965년이지만
지금
까지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며 “이번 연구는 근적외선 영역의 우주배경복사를 정밀하게 측정한 최초의 성과”라고 말했다. ... ...
이전
939
940
941
942
943
944
945
946
9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