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의
논쟁
토론
의논
협의
논증
협상
d라이브러리
"
논의
"(으)로 총 1,047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의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통일
논의
의 활성화와 정부의 부분적인 북한관계자료 개방에 힘입어 북한사회에 관한 각종 사실적 자료들을 일반 국민들이 과거보다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으며 학계 등에서는 북한사회에 관한 객관적 평가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정치 사회분야와 달리 북한의 과학기술분야에 ... ...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CAI)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컴퓨터위와 같은 활동을 통해 아이들은 스스로 생각할 수 있고 다른사람과 토론과
논의
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습관을 기른다. 또 가능한 여러 해결방안을 모색해 창의적이며 가능성 있는 대안을 선택하고 시행해 나갈 수 있는 슬기로운 사람이 되는 연습을 하게 된다. 그들은 특정지식 자체를 ... ...
유전자 조작기술을 활용한 유전병 치료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고치는 것이다.해결되어야 할 여러가지 기술적 문제들이 남아 있으나, 그것들 중 깊이
논의
되고 있는 것들은 이 글의 범위를 넘는 것이다. 그러나 세가지 문제는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다. 첫째 대체유전자를 해당 세포들의 발생과정에 충분히 일찍 도입할 수 있어야 하고, 둘째 해당 염색체의 ... ...
약사 약사와 약장수의 갈림길에서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혹시 지역주민들과의 신뢰 형성에 방해가 되지 않을까 걱정도 된다. 하지만 가끔 함께
논의
를 해보자고 관심을 표명한 주민도 있었다.○월 ○일문을 닫으려고 하는데 공장에 다니는 한 아주머니가 야근으로 지금 막 끝났다며 들어왔다. 양말공장의 나쁜 작업환경으로 기관지가 많이 상한 편이었다. ... ...
이상희 과학기술처 장관 "10만 양병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관한 청문회를 열 정도예요.또 우리 정부출연연구소의 연구원들의 사기가 부처간 분산
논의
, 낮은 처우등으로 인해 크게 저하된 실정을 고려한 것이지요. 그들의 사기를 진작하고 연구분위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직접 나선것입니다."―현재 정부출연연구소의 연구분위기는 어떻습니까?"지난 해 ... ...
동양·중국 전통과학의 한계 왜 제자리 걸음만 했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출현시켰던 과학혁명이 왜 중국에서는 일어나지 않았나 하는 질문과 관련된 수많은
논의
들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면 이제 이 질문을 중심으로 해서 중국 전통과학의 여러 측면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니덤」의 반박현대에 와서 중국문명을 돌이켜 보면서 가지게 되는 가장 흥미있는 질문 ... ...
'생명체는 음(-)의 엔트로피를 먹고 산다'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변환기술 그리고 그 영향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엔트로피 증가문제도 함께 포함해서
논의
해야 할 것이다.네겐트로피의 공급이 중단되면…끝으로 생명체와 엔트로피의 관계를 살펴 보자. 열역학 2법칙에 의하면 전체우주 엔트로피는 항상 증가하지만, 부분적으로는 감소할 수 있다.어느 특정 부문의 ... ...
8비트냐, 16비트냐 교육용 PC논쟁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등 관련단체들은 컴퓨터생산업체들이 제조하는 교육용 컴퓨터의 표준화를 구체적으로
논의
하기에 이르렀다.이들 정부관련부처와 관련단체들이 16비트 교육용 컴퓨터의 확대보급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게 된것은 우선 ${5대국가기간전산망}^{④}$에 설치되는 퍼스널컴퓨터가 행정전산망 표준규격에 ... ...
개관 1년 앞둔 제2국립과학관 한국과학기술사를 재현한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2차례에 걸쳐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건물설계를 맡은 공간연구소측과 다시 세부적인
논의
를 거쳤다.이 과정에서 미국 스미소니언박물관 런던과학박물관 뭰헨과학박물관 일본국립과학박물관 등 세계적인 과학관의 전시사례를 연구해 이들에 뒤지지 않는 수준을 갖추면서도 우리 고유의 과학기술을 ... ...
대륙이동 거리측정에 성공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로타 베게너'가 대륙 판(板)이동설을 제창한 이후 대륙의 이동속도가 어느정도인가 하는
논의
가 분분했다. 그런데 지난 10여년간 미국의 NASA와 서독의 여러 연구기관이 인공위성과 레이저 간섭계등 첨단장비와 기술을 동원해 매우 정확한 계산을 해 내었다. 계산 결과에 따르면 극동지역과 유럽은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