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여름철
행하기
여름
실행
실시
하기시간
d라이브러리
"
하기
"(으)로 총 5,382건 검색되었습니다.
[DJ CHO의 롤링수톤] 가상현실로 듣는 동요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건을 넘어, 2017년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영상으로 뽑히기도 했습니다. 단순
하기
이를 데 없는 가사와 멜로디로 이 동요는 한국뿐 아니라 각국 어린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이지요. 이처럼 최근 유튜브 영상 채널을 이용한 동요는 다양합니다. 어린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또 다른 ... ...
Part 2. 초대형 로켓을 쏘아 올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궤도로 위성을 쏘아 올릴 수 있는 우주로켓이에요. 시험 발사체는 한국형 발사체를 발사
하기
에 앞서 성능을 시험해 보기 위해 만들었지요. 발사체를 개발하면서 가장 어려운 일 중 하나는 ‘연소 불안정’ 현상을 해결하는 거예요. 일반적으로 로켓 엔진은 시동을 걸면 영하 180℃의 액체 산소가 ... ...
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미친다. 풍부한 감정적인 경험도 필요하다. 사춘기 청소년은 문제를 감정적으로 판단
하기
때문에 좋은 감정 경험은 건강한 뇌 발달에 도움을 준다.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친구와 가족에게 사랑을 느끼는 것은 사춘기 뇌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필수 항목이다 ... ...
Part 3. 집에서도 즐기는 인생맛집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대표가 만든 알고리듬 덕분이지요. 이알고리듬은 주문량을 정확하게 예측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변수를 사용합니다. 과거 주문 데이터와 온라인 몰에 들어오는 소비자 수, 그리고 포털사이트에서 고기를 검색하는 트래픽★을 변수로 사용해 실시간으로 분석합니다. SNS에서 언급되는 수치까지 ... ...
[Culture] 혼자 두고 나갈 때마다 심술 부려요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먹지 않습니다. 오히려 간식을 받으면 주인이 곧 외출한다는 신호로 인지해 미리 불안해
하기
도 합니다. 강아지의 특성이나 증상의 경중에 따라 치료법은 저마다 다른 만큼 전문의 조언이 필요합니다. 기본적으로 분리불안증은 감정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먼저 약물치료를 통해 전반적인 불안감을 ... ...
[인터뷰] “파격적인 입학전형이 DGIST의 경쟁력”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조언도 할 수 있다. 최 입학처장은 “교수 인원 대비 논문이나 특허 수로 학교를 평가
하기
때문에 학부전담교수제가 학교 입장에서는 마이너스 요소가 될 수 있지만, 이 제도는 학생들을 위한 투자라고 생각한다”며 “이 제도가 무학과 단일학부 시스템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만족도도 ... ...
만화 찢고 꺼낸 수학 만.찢.수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준비하고 있어요. 로봇물은 그리기가 힘들어서 웹툰엔 거의 없죠. 저는 3차원 모형을 이용
하기
때문에 다른 작가보다 작업 시간이 짧아요. 나만 할 수 있는 걸 해보자고 생각해서 로봇물을 기획하게 됐어요. 특수 효과는 안 넣으려고요. 스토리보다 기술에 강하다는 이미지를 벗어나고 싶어요. 만화는 ... ...
동해광희중학교 ‘수학자의 꿈’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것이다. 결국 동아리원이 아닌 학생도 참여할 수 있게 남는 자리만큼 희망자를 모집
하기
로 했다. 광고문도 손수 제작하고, 누가 면접을 볼지, 면접 질문은 어떻게 할지 모두 토론을 통해 정했다. 아쉽게도 다른 일정이 생겨 참가가 불발됐다. 함 교사는 “이런 자유롭고 자발적인 토론 분위기가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겨울에 떠나는 새 탐사! 윈터 윙즈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함께 만나 봐요~. 겨울에도 새를 볼 수 있을까?지사탐 대원들은 본격적인 탐사를 시작
하기
에 앞서 이화여자대학교 김윤전 연구원에게 겨울새에 대해 배워 보는 시간을 가졌어요. “딱따구리는 나무를 쪼아서 애벌레를 잡아먹고 둥지를 트는 새예요. 특히 ‘청딱따구리’는 우리가 볼 수 있는 ... ...
Part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거시적인 물체는 과거로 돌아갈 수 없다" 호킹은 우주를 지배하는 법칙들을 이해
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연구해온 역사를 독자들에게 전달해야한다는 사명감을 갖고 있었다. 그는 1988년 대중서인 ‘시간의 역사’를 출간했다. ‘시간의 역사’는 40개 언어로 번역돼 전 세계에 1000만 권 넘게 팔렸다.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