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녕
빵꾸
홀
함정
입
바람구멍
바람
뉴스
"
구멍
"(으)로 총 1,146건 검색되었습니다.
요소 한방울로 피운 눈꽃…“화학이 예술이죠”
2016.02.16
Black Garden)’이라는 작품에서 요소에 검은색 안료를 혼합했다. 요소의 결정 구조에는
구멍
이 나 있는데, 속에 들어 있던 수분이 증발하면서 눈꽃 모양의 결정체를 형성하는 과학적 원리를 이용했다. 다양한 원색 안료와 혼합하면 무지개처럼 화려한 눈꽃을 만들 수 있다. 여러 색의 안료와 혼합한 ... ...
남아공 밤하늘에 나타난 초록색 불빛 ‘논란 ’
팝뉴스
l
2016.02.13
해서 화제가 됐다. SF영화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광경이 펼쳐졌다. “다른 차원으로 가는
구멍
이 나타났다”고 흥분하는 이들이 많다. UFO라고 말하는 이들도 있었다. ‘케이프타운 초록 불빛’을 목격한 이들은 매우 많다. 많은 이들이 저마다 찍은 사진을 SNS 등에 올렸다. 도시의 밤하늘에서 이 ... ...
[2003년] 검은
구멍
이 발하는 중력파 포착하라
2016.02.12
세 꼭지점에 3기의 중력파 관측소를 배치할 계획이다. ※ 출처: [d라이브러리] ② 검은
구멍
이 발하는 중력파 포착하라 http://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0301N02 ... ...
[1989년] 가장 약한 파 중력파를 찾아
2016.02.12
상태로 견디지 못하고 계속 응축되어 시공간에 일종의
구멍
같은 것을 만든다. 이를 검은
구멍
(black hole)이라 부른다. '검다'는 것은 '볼 수 없다'는 뜻인데 그 이유는 중력이 너무 세어서 그곳에서는 빛까지도 나올 수 없기 때문이다. 블랙홀이 있으면 그 주위의 물질을 강력하게 빨아들일 것이다. 이때 ... ...
매가 만든 감옥에 갇힌 새?
팝뉴스
l
2016.02.09
매는 작은 새를 잡아다 날개와 꼬리의 깃털을 뜯어내고 다리도 못 쓰게 만든 후 작은
구멍
속에 넣어둡니다. 왜 그럴까요? 나중에 먹기 위해 보관하는 것이라고 과학자들을 추정합니다. 그렇다면 위 사진 속 작은 새는 매가 마련한 감옥에 갇혀 있는 셈이 됩니다. 매가 먹이를 산채로 저장한다? 이런 ... ...
몬스터 싱크홀, 25미터 배구장 크기 싱크홀 ‘공포’
팝뉴스
l
2016.02.05
중순이었다. 오리건주 하버 101번 해안 고속도로 인근에 작은 규모의
구멍
이 생겨났고, 이
구멍
에 빗물이 스며들면서 몬스터 싱크홀이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지난달 28일 드러난 이 싱크홀은 지난 20년 동안 오리건주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건 중 가장 큰 종류였다. 이로인해 고속도로 바로 옆의 ... ...
수중과학수사에서는 시체가 곧 증거다
과학동아
l
2016.02.02
물 밖에 나온 왼쪽 절반은 임신한 것처럼 배가 불러있었다. 왼쪽 목덜미에는 구더기들이
구멍
을 파고 열심히 식사 중이었다. 하얀 기포가 부글부글 흘러나왔다. 엉덩이에는 검정파리 한 무리가 모여 마치 일광욕을 즐기듯 앉아있었다. 실제 사건현장에선 사람 시체가 똑같이 물 위로 떠오른다. ... ...
그래핀에
구멍
을 왜 뚫을까요?
2016.01.25
벽에 세로로 홈이 생기고 이어 탄소나노튜브가 세로로 길게 잘라진다. 이는 종이에
구멍
을 내고 찢는 과정과 유사하다. - KAIST 제공 한편 연구팀은 실제로 이 기술을 적용해 나노그래핀을 오려 슈퍼 커패시터(고용량 축전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또 이 기술로 오려낸 나노그래핀에는 다른 ... ...
긁히거나 늘어난 그래핀, 은(銀)으로 복원한다
2016.01.20
그래핀을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과정에서 내부 결정 사이 경계면에 결함이나 미세한
구멍
등이 발생해 전기적,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전기화학적 증착 방식을 이용해 그래핀 결함 부위에 전기전도도가 높은 대표적 금속인 은을 ‘도금’시켰다. 그래핀을 음극에 ... ...
삼성전자, 7배 빠른 D램 세계 첫 양산
동아일보
l
2016.01.20
속도를 끌어올리기 위해 4GB HBM2 D램 칩에 기존 제품보다 36배 이상 많은 5000여 개
구멍
을 뚫는 고난도 TSV 기술을 적용했다. 이번 4GB HBM2 D램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는 제품 크기를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점이다. 층층이 쌓는 적층 형태여서 평면상에 D램을 배열하지 않아도 돼 GDDR5 대비 실장면적을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