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이형
변질
변환
변전
변이
이상
뉴스
"
변형
"(으)로 총 1,397건 검색되었습니다.
음파 그대로 통과… ‘3D 음향투명망토’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8.06.08
구조체를 개발했다. 이 구조체를 덮으면 음파가 마치 텅 빈 공간을 지나가는 것처럼
변형
된다. 향후 깊은 바닷속 스텔스 잠수함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수중 은폐물 ‘음향투명망토’. 하부에 보이는 빈 공간에 숨긴 물체는 수중에서 음파로 탐지할 수 없다. 아래 사진은 기술 ... ...
개 사이에도 독감 대유행 덮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05
한다”며 “다양한 종의 개가 인간과 접촉하고 생활하는 지금, 이런 바이러스가 또 다른
변형
경로를 거쳐 인간까지 위협할수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최소한의 조치로서 변이를 늦출 수 있는 백신을 개발해 예방 접종을 실시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 ...
[과학사진관] 대나무가 꺾이지 않은 것은 속이 비었고 마디가 있기 때문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9
공간에 갇힌 액정은 가장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려 고군분투한다. 에너지를 낮추려면
변형
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경계 조건들을 만족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경계 조건은 종종 액정에 아름다운 결점들을 남긴다. 위 사진은 크로모닉 액정인 Sunset Yellow에 고분자를 소량 첨가한 후 유리 모세관에 ... ...
생명 진화 비밀은 접히고 펴지는 단백질의 특수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8.05.29
결합으로만 이루어져 경첩 운동이 불가능했다. 세대를 거듭하며 아미노산 일부가
변형
되는 돌연변이가 단백질에 나타났고, 이 부분이 유연하게 움직이는 경첩 운동을 하게 되면서 다양한 기능을 하게 됐다. 이렇게 단백질이 여러 기능을 갖도록 진화하면서 다양한 생명체 진화로 이어졌다는 것이 ... ...
광합성하고 대사 활동하는 인공 세포 만들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9
A). 빨간색이 인공세포막, 초록색이 액틴을 가리킨다. 빛에 의해 세포막의 특정 위치가
변형
돼 세포가 이동성을 갖게 된 모습(B). (C)(D)는 인공세포의 모식도. - 자료: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이 인공세포는 외부에서 빛을 쪼여 주면 지속적으로 ATP를 만들고 대사 활동을 하며 움직인다. 특히 세포 ... ...
어두워지면 변하는 ‘두 얼굴의 반도체’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8.05.21
사라지며 전자가 풀려나고 전위가 많이 형성되며 모양도 쉽게 변했다. 연구팀은 “
변형
과정에서 반도체에 전기가 흐르는 정도(전도도)가 변한다는 사실도 밝혔다”며 “빛으로 반도체의 성능을 조절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
브로콜리 성분, 알츠하이머 치료할 길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18.05.20
가량 줄어들었다. 쥐의 기억력 역시 향상된 것을 확인했다. 알츠하이머가 있는 유전자
변형
쥐에게 설포라판을 주입하자, 알츠하이머의 원인으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 타우 단백질(붉은색)의 양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 한국연구재단 제공 알츠하이머는 아밀로이드 베타, 타우 단백질 등이 ... ...
양자 사이 보이지 않는 끈 '얽힘' 수천 원자에서 첫 확인...양자측정 등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8.04.30
연구팀은 원자 구름을 임의로 두 부분으로 나눈 뒤 한쪽의 성질을
변형
해 다른 쪽에서
변형
이 일어나는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개별 원자의 얽힘을 확인했다. 그 결과, 원자가 임의로 나눈 부분 사이에도 얽힘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양자 덩어리 내부에도 얽힘이 생겼다는 뜻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명상을 종교 영역에서 심리치료의 영역으로 들여왔다. 장 교수는 이를 한국인에 맞게
변형
해 보급했다. 점잖은 노(老)교수일 거라는 필자의 상상과는 달리 장 교수는 에너지가 넘쳤다. 패스트푸드점에서 필자와 대화를 나누며 튀긴 닭을 맛있게 먹던 모습이 눈에 선하다. 헤어질 때 장 교수는 ... ...
다이아몬드로 ‘휘는 바늘’ 만들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23
이상
변형
하면 부서진다. 하지만 연구팀이 만든 다이아몬드 바늘은 길이를 최대 9%까지
변형
시킬 수 있었다. 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다시 원래 형태로 돌아오는 탄성력도 지녔다. 이런 성질은 여러 결정으로 이뤄진 경우보다 단 하나의 결정으로 이뤄진 다이아몬드에서 더 두드러졌다. 연구팀은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