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용
수요
사용
필수
필요경비
경비
필요사무
뉴스
"
필요
"(으)로 총 18,08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영상] 자연스러운 로봇 표정 만들어낸 '파형'
SEIZE
l
2025.01.17
표정을 지을 순 있었지만 어색했다. 기존에는 표정을 지으려면 복잡한 동작 시나리오가
필요
했다. 표정을 바꿀 때는 그 사이에 생기는 부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제어해야 했다. 이때 방대한 표정 데이터를 미리 준비해야 한다. 오사카대 연구팀은 이 문제를 '파형 움직임'으로 해결하려 했다. 숨쉬기, ... ...
101개 언어 음성 동시통역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비상업적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됐다. 연구팀은 "심리스M4T는 아직 최적화가 더
필요
하지만 언어 장벽을 넘은 소통에 한 걸음 더 나아갈 방법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586-024-08359 ... ...
챗GPT 성능 버금가는 중국판 챗GPT 등장에 학계 '화들짝'
동아사이언스
l
2025.01.16
핵심적이다. MoE 모델 설계 방식은
필요
한 전문가 네트워크만 사용하면서 훈련과 추론에
필요
한 계산량을 크게 줄인다. GPU와 메모리 사용량이 감소해 저렴한 컴퓨팅 자원으로도 운영이 가능하다. 글로벌 AI 전문가들은 오픈소스 모델이 폐쇄형 모델 성능에 근접했다는 딥시크의 주장에 주목했다 ... ...
스킬 늘지 않는 피아니스트, 로봇 착용해 한계 돌파
동아사이언스
l
2025.01.16
이어 "훈련을 받지 않은 손에서 나타난 운동 능력 향상을 이해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
하다"고 밝혔다. - doi.org/10.1126/scirobotics.adn3802 연구팀이 개발한 외골격 로봇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 1월호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Science Robotics ... ...
[SW가 여는 의료의 미래]② 과잉진단 줄이는 AI 영상판독
동아사이언스
l
2025.01.16
도입 확대를 위해선 임상현장에서 꼭
필요
한 판독 보고만을 하는 더 정교한 알고리즘이
필요
하다"고 설명했다. 코어라인소프트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다. 챗GPT로 유명한 대형언어모델(LLM)에 착안한 대형시각화모델(Large Visual Model·LVM)로 데이터를 학습하는 ... ...
AI로 노벨상 받은 베이커 교수, 코브라 독 해독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16
많다. 독소는 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에 각 지역에 맞는 해독제와 치료법 연구가
필요
하다. 연구팀은 코브라의 독처럼 인간 면역 체계를 우회해 혈장 추출 방식 해독제가 잘 듣지 않는 '세손가락독소(3FTx, Three-finger toxins)' 계열 독소와 결합해 중화하는 단백질을 설계했다. 이 단백질은 열 ... ...
우울증 관여 유전자 300여 개 발견…"새 치료법 개발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25.01.15
우울감을 느끼고 있는 여성의 모습을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부정적인 사건, 신체적 질병, 스트레스를 포함한 다양한 후천적 요인뿐 아니라 ... 연구는 새로운 우울증 치료법을 개발하고 우울증 발병 위험이 더 높은 사람을 예측하는 데
필요
한 통찰력을 제공한다"라고 말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참담한 여객기 사고…사라지지 않는 안전불감증
2025.01.15
국가의 명칭을 붙이거나 '돼지 독감'처럼 동물의 명칭을 사용하는 감염병의 이름이 불
필요
한 차별과 혐오의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그런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지역이나 동물의 이름을 사용하지 않겠다는 명문화된 규정을 가지고 있다. 2019년 12월 31일 중국 우한에서 ... ...
음식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청정수소 생산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15
높인다. 청정수소를 생산하는 기존 방식으로 산소 공공을 형성하려면 고온 환경이
필요
하며 수 시간이 소요됐다. 반면 연구팀은 600℃ 이하의 온도에서 단 몇 분 만에 산소 공공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고온에 의존했던 청정수소 생산 공정을 저온에서 실현 가능하도록 바꾼 것이다. 진 교수는 ... ...
사람 대신 노후 터널 안전 지키는 AI 드론
동아사이언스
l
2025.01.15
부족해 건설 현장에서의 활용이 제한적이었다. 딥러닝 모델은 대량의 훈련 데이터가
필요
하지만 콘크리트 표면에서 발생하는 박락이나 철근 노출 등 손상 장면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없어 데이터 확보가 어렵기 때문이다. 박락은 콘크리트 표면의 일정 부분이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다. 연구팀은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