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tRNA) 합성효소들의 네트워크를 밝혔다.한편 단백질 네트워크는 질병을 이해하는데도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서울대의 김규원 교수와 포항공대의 장승기 교수 연구팀은 암과 동맥경화 같은 질병과 바이러스가 유발하는 질병을 단백질 네크워크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김 교수는 주로 암세포가 ... ...
2 국산 초음속기 마의 음속 돌파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다음, 마치 퍼즐 맞추기 하듯 컴퓨터 상에서 조립하고 시험도 했다.T-50 개발의 가장
큰
의미는 우리 손으로 우리 고유모델의 초음속 항공기를 개발했다는 점이다. 이로써 앞으로 국내에서 개발되는 어떠한 무장이나 한국공군의 다양한 요구에 맞춰 우리 자력으로 항공기를 개량할 수 있다. 진정한 ... ...
시계의 역사 간직한 찬송가·뮤직박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당시 사람들에게 그레고리안 성가와 여러 성부로 이루어진 화려한 찬송가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이었을까. 바로 시간에 대한 개념이었다.그레고리안 성가는 일정한 박자로 끊어서 노래하지 않고 죽 이어서 불렀다. 그들에게는 1분, 1초와 같이 정해진 시간 단위가 없었고, 시간은 연속적인 ... ...
문화재 아름답게 노화시키는 보존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해법을 찾아내기는 어려울 것 같다. 밀랍을 제거하겠다고 자칫 잘못 건드렸다간 더
큰
훼손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문화재에 손을 대는 보수 및 수리에는 지켜야 할 엄격한 원칙이 있다. 그 대표적인 원칙은 원형을 유지해야 한다는 점. 아무리 문화재를 위한다고 해도 보존 처리는 최소한도에 ... ...
겨울밤의 명소 오리온대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유성우는 한해가 시작되는 1월 4일 경에 가장 많이 떨어진다. 용자리 유성우의 가장
큰
특징은 시간에 따라 떨어지는 개수가 크게 변화한다는 점이다. 즉 다른 유성우에 비해 떨어지는 시간대가 짧고 또 순식간에 집중적으로 떨어진다. 유성의 밝기는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와 비슷할 정도로 상당히 ... ...
② 출산시간 많이 벌어진 쌍둥이일 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기형인간이 만들어질 확률은 아직 엄청나게 높지만 기술적으로는 사실상 더이상
큰
어려움이 없다. 그래서인지 종교계는 물론 대부분의 사람들은 신성(神聖)을 훼손하는 일이라며 엄청나게 술렁이고 있다.언뜻 보기에 인간복제를 비롯한 새로운 생명과학의 지식과 기술들은 기존의 종교적 ... ...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있다.유전체학보다 훨씬 복잡하고 어려운 분야인 프로테오믹스는 이제 막 알에서 깨어나
큰
날개짓을 준비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포스트게놈시대 평정하는 첨단 생명과학 프로테오믹스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프로테오믹스 이용기술 개발사업단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 ...
2003년 생활 변화시킬 IT제품 퍼레이드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이미지에서 벗어난 프리즘 스타일의 독특하고 개성있는 디자인을 갖췄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메모리내장형 플레이어 시리즈로, 학습용, 아이디어 메모용, 인터뷰용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기본셋에 포함된 이어폰은 젠하이저의 MX300모델로, 아이리버의 신제품과 멋진 조화를 보여주고 ... ...
판타지 전쟁 2라운드 - 해리 포터와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멀린’이다. 멀린은 현명한 참모이자 천재적인 전략가로 아더왕이 영국을 통일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아더왕의 시대가 전설이 돼버린 이후에도 멀린에 대한 숭배는 끊임없이 이어져 19세기에는 교황청이 멀린과 관련된 장소들을 순례하는 것을 금지시킬 정도였다고 한다. 현재 영국의 곳곳에는 ... ...
'사이언스' 선정 2002년 최고 과학 이슈는 소형 RNA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뽑혔다. 특히 벼의 게놈 해독은 쌀의 영양도와 수확량을 높여 인류의 식량난 해결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는 기대로 주목받았다. 말라리아 기생충과 모기의 게놈 해독 역시 새로운 모기 퇴치제와 말라리아 백신 개발의 가능성으로 크게 평가받았다. 또한 다양한 수용체 단백질에 대한 연구가 올해의 ... ...
이전
952
953
954
955
956
957
958
959
9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