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직선상의 점의 길이를 대응시키기 위해서는 0이 필요하고, 수를 대응시키기 위해서는 0과 1이 둘 다 필요하다.기하의 연산 그런데 때로는 단위를 정하기 전에 AB를 정의하기 위해서 ‘면적’의 개념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니까 AB를 직선상의 점으로 생각하지 말고, A와 B를 변으로 갖는 직사각형의 ... ...
- 비정상 회담 한국어 유창한 G11 비정상인가요?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언어를 체계화한 것처럼 말이에요.”노암 촘스키는 언어학계에서 가장 비중 있는 사람 1순위로 꼽히는 세계적인 언어학자다. 촘스키가 이런 평가를 받는 이유는 기존의 언어학 연구와는 완전히 다른 사고방식으로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촘스키 이전의 언어 연구는 언어마다 겉으로 ... ...
- [재미] 10회 천재작곡가, 사건의 실마리를 제공하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말을 해 봐!”“이장이 보낸 날짜의 간격이 수열을 따르고 있어요. 그 규칙대로라면 10월 1일인 오늘 이장이 다시 메일을 보낼 거예요.”소마의 말을 들은 박 형사가 왕 반장에게 말을 이었다.“반장님, 정말 소마의 말대로 이장이 규칙대로 메일을 보낸 거라면, 오늘 이장의 메일을 기다리고 있으면 ... ...
- [hot science] 충격! 화성에도 과학동아 독자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합니다. 이런 심리 현상을 ‘파레이돌리아’라고 하지요. 달에 토끼가 산다거나, 9·11테러의 화염 속에 악마의 얼굴이 있다거나, 토스트에 예수의 얼굴이 나왔다는 게 파레이돌리아의 예입니다. 화성음모론도 마찬가지입니다. 화성 표면의 수많은 돌이나 지형 중에서 우리가 아는 뭔가를 닮은 게 ...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보어의 반응은 냉담 그 자체였다. 양자역학을 거부하던 아인슈타인이 세상을 떠난 지 1년밖에 안된 시점이었다. 새로운 논쟁거리 자체가 보어에게는 진절머리 나는 일이었는지도 모른다. 아무튼 보어의 무시 때문이었을까, 에버렛은 졸업 후 학계를 떠나 군수산업회사에 취직해 버렸다. 입 닥치고 ... ...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모임입니다. 조선해양공학과 출신만이 일할 수 있는 곳입니다. Q 김하람(동래여고 1학년)저는 평소에 해저도시에 관심이 많습니다. 언제쯤 해저도시에 살 수 있을까요?A 해저도시 연구는 1960년대부터 시작했습니다. 특히 프랑스의 자코스터라는 유명한 해양학자는 당시에 바다 속에서 2달 정도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월드컵 맞이 송종국FC 건강한 축구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종목인 만큼 땀을 많이 흘리는 것은 물론, 넘어지거나 땅에 구를 수 있기 때문이에요.1. 축구복유연하게 움직이기 위해서 신축성 있는 옷을 입어야 해요. 또 축구복은 땀을 충분히 흡수하되, 바람이 잘 통해 땀이 빨리 날아가 옷이 축축해지거나 몸에 달라붙지 않아야 해요. 쿨론이나 쿨에버, ... ...
- INTRO. 진화, 천의 얼굴을 빚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각기 다른 천의 얼굴로 빚어냈다. 진화의 관점에서 70억 인류의 얼굴을 살펴보자. 1파트에서는 인류의 얼굴이 변해온 진화사를 다룬다. 초기에 유인원과 다를 바 없었던 얼굴이 어떻게 인간적인 얼굴이 됐는지 알아본다. 2파트에서는 그렇게 탄생한 현생인류의 얼굴이 변화무쌍할 수밖에 없는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짙은 색일 가 능성이 높다. 거대한 광대뼈,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Paranthropus boisei)약 180만 년 전에 살았던 보이세이는 숲에 살며 강력한 턱으로 척박한 기후에도 살아남은 질긴 식물을 씹어 먹었다.발달한 광대뼈가 턱근육의 위용을 드러내 준다.뼈에서 살로뼈만 남은 사람의 얼굴을 어떻게 복원할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훨씬 작다). 하지만 올해 3월 ‘네이처’에 드디어 두번째 천체가 발표됐다. ‘2012VP113’이라는 이름의 소천체는 2012년 처음 발견됐다. 이 천체는 긴 궤도 반지름이 약 500AU으로, 세드나의 절반 정도다. 이들은 오르트 구름의 안쪽 경계 부근에서 태양을 아주 느리게 공전하고 있다. 이런 천체가 더 있지 .. ...
이전9539549559569579589599609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