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목"(으)로 총 1,0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일즈 엔지니어 우리기술을 세계에 팔며과학동아 l1989년 12호
- 공학도들의 인생설계에 대해 나름대로 겪었던 과정을 소개해본다.학창시절에 전공과목 중의 하나가 자동차공학이었던 것이 자동차회사를 선택하게 된 동기가 되었다. 기회가 있다면 내연기관에 대하여 연구하고 싶었고 설계도 하고 싶었다. 강의시간에 엔진동역학실험 배기가스분석 등에 관심을 ... ...
- 과학기술대 첫 졸업생들의 얘기과학동아 l1989년 11호
- 있는 과학원에 진학하는 것이 반드시 옳은 선택인지 확신이 서지 않습니다. 시험과목도 생소한 부분이 있고…. 그보다 더욱 근본적인 문제는 여학생의 취업 문제입니다. 공부가 하고 싶어 계속하기는 하지만 장래 직업에 대해서는 저도 불안합니다.오─이번에 4백여명이 졸업하는데 2백60여명이 ... ...
- 대학이냐? 학과냐? "비인기학과에 도전하세요"과학동아 l1989년 11호
- 없을 거예요.하-대학은 중ㆍ고교와는 다른 곳입니다. 학생들은 자신의 적성과 좋아하는 과목을 고려해서 전공을 정해야 해요. 대학 이름에 현혹되지 말고 학과 중심으로, 청춘을 불 태울 수 있는 곳을 찾아야 행복하다는 것을 재삼 강조하고 싶어요.박-삶의 이상, 개인적인 자아완성, 미래상, ... ...
- 문제 투성이의 학습자료와 학습방법 흥미있는 지구과학이 지루한 과목으로…과학동아 l1989년 11호
- ○지구의 힘에서는 전자기장의 개념을 비롯한 장의 개념이 충분히 설정되지 않고, 물리과목에 막연히 의존하는 허술한 교과과정을 볼 수 있다. 이외에도 중력의 단위, 벡터의 사용, 지오이드와 중력보정의 문제 등이 지적된다.○지구의 구성물질을 학습하는데는 많은 내용을 산만하게 열거하고 있다 ... ...
- 선택과목은 어떻게 선택하고 공부할 것인가과학동아 l1989년 10호
- 여건이 조성되기를 바랍니다.특히 「과학동아」가 앞장서 학과와 학생의 선택과목이 어느정도 유리돼 있는지를 조사해 주었으면 해요. 예를 들어 서울대 물리학과에 물리를 선택하지 않은 학생의 비율등을 밝혀내면 꽤 충격적일 거예요.또 학생들이 선택하고 싶어도 학교사정으로 선택하지 못하는 ... ...
- 서울과학고등학교과학동아 l1989년 10호
- 갖고 있다. 물론 4시 수업이 끝나면 곧장 집으로 가도 되고, 스스로 판단해 학력이 처지는 과목이 있으면 특강을 들어도 된다. 특별활동을 하지 않고 곧바로 도서관에 들어가는 학생도 있다. 현재 90% 이상이 학교에 남아 공부하고 있다.식당은 학부모들이 순번제로 당번을 하여 전학생들에게 점심과 ... ...
- 북한의 과학기술과학동아 l1989년 10호
- 3개소에 이른다.학사과정연구생은 입학 후 2년 이내에 학사학위논문제출 자격시험에서 전과목에 걸쳐 통과되어야 하고 정해진 연구기간이 끝나기 3개월 전에 소속 연구원에 학사학위 논문을 제출하여야 한다.연구생은 연구원에서 전임으로 연구할 필요는 없고 각자의 직장에서 연구를 수행하되 ... ...
- 교사과학동아 l1989년 10호
- 것중 한가지만 들라면 나는 감히 교사의 전문성을 확보하는 일이라고 말하겠다. 다른 과목도 마찬가지지만 특히 과학교사는 더욱 더 그렇다. 단순히 과학교사에게 과학실과 준비실이 있다고 해서 전문성이 확보되는 것은 아니다. 10년이 지나면 강산도 변한다고 한다. 그러나 과학지식은 분초를 ... ...
- 공학도의 작은 변신과학동아 l1989년 09호
- 복합공학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학에서 배우는 교과과정 역시 다양하다. 기초과목으로 생물 물리 화학 생화학 분자생물학 미생물학 면역학 등을 공부하게 되며 응용과학으로 유전자공학 생물화학공학 컴퓨터 제어공학 등을 접하게 되는 것이다.이 분야의 연구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생물공학과 ... ...
- 컴퓨터교사 절대부족과학동아 l1989년 09호
- 고등학교가 2백79명에 달해 거의 효과적인 교육이 되기 힘든 실정이다.컴퓨터교육을 정규과목시간에 배정한 학교는 30%정도이고 나머지는 특별활동시간을 이용하고 있다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