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분
감상
생각
분위기
감각
소감
감정
d라이브러리
"
느낌
"(으)로 총 2,206건 검색되었습니다.
캐나다, 선배가 수학 도우미로 나선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온 동아시아 아이, 곱슬머리의 흑인 아이 등 전 세계의 모든 민족이 함께 수업을 듣는
느낌
이었다. 다른 나라에서 캐나다로 이민 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캐나다는 각 나라의 문화를 존중한다. 지난 추석 때 한국 학생 중 몇 명은 학교에 나오지 않았다. 각 민족의 명절을 인정해 줄 뿐 아니라 이 ... ...
‘빛 좋은 개살구’가 보약이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 있는 배도 개발하고 있답니다. 일반 배에 비해 껍질이 얇고, 까슬까슬하거나 퍽퍽한
느낌
이 없어야 하죠. 물론 과육처럼 껍질도 물기가 많아야 합니다. 우리 과학원에서도2007년 껍질째 먹는 배 ‘스위트스킨’을 만드는 데 성공했고, 중국의 붉은 배 ‘대원홍’과 교배해 열매가 맺히기를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느끼는 데 관여하는 PKD2L1이라는 이온통로를 찾았다. 또 탄산음료를 마실 때 ‘탁 쏘는’
느낌
을 감지하는 수용체 Car4를 찾아 지난해 ‘사이언스’에 보고했다. Car4는 이산화탄소를 탄산이온과 수소이온으로 바꿔주는 효소로 세포막에 존재한다. 흥미롭게도 Car4와 PKD2L1는 같은 세포에 분포한다. ... ...
전자책 나가신다, 종이책 물렀거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72%가 아이패드로 볼 때 눈이 부시다고 답했다. 또 눈이 마른
느낌
이나 글자가 떠다니는
느낌
같은 눈의 피로도 측정에서도 ‘아이패드>비스킷>종이책’ 순으로 피로도가 높게 나타났다.킨들3의 무게는 240g에 불과해 680g인 아이패드의 3분의 1 수준이다. 지하철 안에서 한 손으로 부담없이 들고 ... ...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지면과 가깝게 만들었다.또 감성적인 디자인으로 제품의 기능을 넘어 자신의 개성과
느낌
을 잘 드러내는 학용품도 점점 더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모서리 지우개지우개가 닳아가면서 모서리가 계속해서 만들어져 예리한 부분을 지우는 작업에 편리하다. U-윙펜(wing pen)장애인 또는 글씨 연습을 막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자세하게 계산되어 있었다. 산학 책을 보노라면 세상 모든 것이 셈으로 이루어진
느낌
이었다.‘작은 돌탑 하나도 치밀한 계산을 거쳐 비로소 만들어지는구나. 그러니까 셈만 잘 하면 어떤 것이라도 만들 수 있는 거야.’지오는 산학이 신비롭게 느껴지기까지 했다. 어쩜 산학이란 옛날이야기 속에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바라보며 “우리나라를 위해서만이 아니라 법 집행을 위해 내가 뭔가를 하고 있다는
느낌
이 든다”고 말한다. 이 정도는 아니더라도 애국심은 여러 상황에서 드러난다.월드컵 경기를 보며 사람들 대다수는 자국 팀을 일방적으로 응원하기 마련이다. 심판이 자국 팀에 불리한 판정을 내리면 ... ...
게임 속으로 풍덩~ 내 몸이 게임기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제다이가 멀리서 물체를 움직일 때 사용하는 ‘포스’를 게임 속에서 비슷한
느낌
으로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정신을 집중하면 그 뇌파를 감지해 게임 속 캐릭터가 포스를 쓰는 식이다. 1인칭 슈팅게임(FPS)에서도 집중해서 총을 조준해야 할 때가 있다. 이때 사용자가 얼마나 집중하고 있는지를 ... ...
Part 7. 필즈상 수상자와의 만남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같아요”라고 대답해 주셨어. 어려운 문제를 스스로 풀어 내면 뿌듯하고 기분 좋잖아. 이
느낌
을 말하시는 것 같아. 교수님은 더불어 “수학을 잘 하는 특별한 방법을 가지고 있지 않아요. 열심히 공부하는 수밖에 없죠. 저도 문제가 풀리지 않을 때는 힘들고 공부하기 싫을 때도 있어요. 그런데 풀어 ... ...
도로 해부하기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경사를 무작정 크게 만들 수는 없다. 도로의 좌우 경사가 크면 차가 한쪽으로 쏠리는
느낌
을 주기 때문이다. 특히 겨울에 도로가 얼어붙으면 차가 도로 바깥쪽으로 미끄러질 수도 있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도로 의 좌우 경사를 1.5~2.0%로 하는 이유다. 도로의 경사도는 곡선 구간에도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