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26개 뼈와 33개 관절의 정교한 하모니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줄임과 동시에 그
에너지
를 추진력으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운동
에너지
의 일부를 탄성
에너지
로 저장했다가 지면으로 방출하는 스프링처럼 말이다. 3개월 태아 때부터 발달해 12세에 완성아치 구조는 수정 후 3개월 된 태아 때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이것이 굉장히 빠르다고 여겨질 수 있는데, ... ...
우주에 돛을 펼쳐라 '라이트세일 2호' 나가신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 PDF 파일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태양이 내뿜는 입자들이 미는 힘으로 우주를 항해하는 ‘우주 돛단배’ ‘라이트세일 ... 방법이 필요하다”며 “달 기지에 레이저를 설치한 뒤 심우주로 떠나는 우주 돛단배에 강한
에너지
를 전달하는 방법도 시도할 만하다”고 말했다 ... ...
[JOB터뷰]유쾌한 지구 생각 십년후연구소 조윤석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최근에는 지구온난화를 더 공부하려고 대학원에 진학했어요. 쿨루프가 실제로
에너지
를 얼마나 절약하는지 연구하고 있죠. 살면서 이렇게 바쁜 적은 처음이네요. Q 실패를 무서워하지 않는 비결이 있나요?무섭고 넘어질 것 같고 깨질 것 같아도 한번 부딪혀 보고 깨지고 싸우면 이기든 지든 얻는 게 ... ...
선조의 기록에서 찾은 별 이야기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폭발 시기와 빛의 밝기 정보는 연구에 가속도를 붙였습니다. 별의 밝기를 알면 폭발
에너지
를 계산할 수 있고, 별의 폭발 연도를 이용해 지구에서 이 별까지 거리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우리 선조의 기록과 현대 물리학 법칙을 이용해 계산한 결과 이 별이 지구로부터 890광년 떨어져 ... ...
우리는 UST 퍼스트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지도교수가 돼 달라고 연락한 제자는 2017년 입학한 배정수 UST 한국전기연구원 캠퍼스
에너지
변환공학전공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이 처음이었다. 장 교수와 함께 펄스 파워 전원 개발에 매진한 배 연구원은 20ns(나노초·1ns는 10억분의 1초) 이하라는 찰나의 순간에 펄스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 ...
왜 포항 지진은 촉발 지진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물을 넣을 때 한 단층면에서 작은 지진들이 발생했고, 작은 지진들이 일어나며 쌓인
에너지
가 결국 큰 지진을 일으키며 파이프를 끊었다고 추정한 거예요. 결론은 촉발 지진!이런 증거를 통해 정부조사연구단은 포항 지진이 ‘유발 지진’이 아닌 ‘촉발 지진’이라고 결론 내렸다. 여기서 유발 ... ...
취미생활파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연구에 따르면 창의력과 밀접한 디폴트 네트워크는 일할 때보다 쉴 때 더 많은
에너지
를 쓰며 움직입니다. 지금껏 받아들였던 정보를 정리하기 위해서인데요, 이때 필요한 정보만 걸러내고 합치는 과정에서 아이디어를 더 잘 떠올리게 되는거지요.수튜브를 보고 있는 구독자 여러분도 문제를 ... ...
'과학덕후'에게 추천하는 세계 워터파크 4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빨라졌다 느려졌다 하는 스릴을 느낄 수 있다. 진자 운동을 하는 물체는 마찰력에 의해
에너지
를 조금씩 잃는다. 따라서 깔때기 슬라이드에서도 튜브와 슬라이드의 마찰을 최소화해야 튜브가 좌우로 더 크게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라이드 표면에 끊임없이 물을 흘려보낸다 ... ...
질소, 질식 기체 오명 벗고 인류 책임진 슈퍼 히어로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냉동 인간 상태로 치료법 개발을 기다리는 시대가 올 수 있다. 인류의 농업과 산업,
에너지
와 건강까지 책임지는 질소야말로 원소계의 ‘슈퍼 히어로’가 아닐까 ... ...
천 년의 기록이 밝힌 태양의 비밀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일 중 가장 흥미로운 현상은 바로 ‘흑점의 활동’입니다. 흑점은 강한 자기장에 의해
에너지
가 이동하지 못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태양에서 주변보다 낮은 온도를 지녀 검은 점처럼 보입니다. 이 흑점은 개수가 많아졌다가 줄어드는데요, 제멋대로 변하는 게 아니라 꽤 정확한 주기성을 띠고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