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티브쌤코딩-마인크래프트] 파쿠르 게임 2탄 복불복 요소를 넣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자신의 실력에 맞는 반복 횟수를 찾아보세요. 두 번째 복불복 추가하기플레이어가 이용할 수 있는 블록은 네 가지 색깔이에요. 각 블록마다 무작위로 플레이어에게 주는 효과를 추가해 볼게요. ➊ 코드 작성기에서 채팅명령어를 ‘0’으로 약속하세요. ➋ ‘변수’에서 변수 ‘복불복’을 ... ...
- [특집] 수학 콘텐츠, 갑자기 쏟아진 이유는?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있다”면서, “수학을 다루면 수학의 진정한 의미를 알리려는 인물과 수학을 속물적으로 이용하려는 인물의 대결 구도로 스토리를 짜기 좋다”고 분석합니다.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에서도 이런 갈등이 나타나고 해결되며 이야기가 전개되지요. 3. 주인공이 수학을 잘한다고? ... ...
- [핫이슈1] 치면 안타 되는 속도와 각도는? 한국형 배럴 타구!수학동아 l2022년 04호
- 타구 속도를 x축, 타구 각도를 y축으로 하는 좌표평면에 2018~2020년 기록을 이용해 집합별로 홈런과 플라이 아웃, 땅볼 아웃, 직선타 아웃을 점으로 찍었어요. 그런 뒤 홈런성 배럴 타구는 홈런 타구와 플라이 아웃의 경계선을 이차함수로 나타내 정했어요. 안타성 배럴 타구는 집합을 나누지 않고 ... ...
- [폴리매스 수학자를 만나다] "수학으로 인공지능을 연착률시킬래요!" 현윤석 인하대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주제였어요. 대수기하학에서는 기하 문제를 대수적 구조, 쉽게 이야기하면 연산 규칙을 이용해서 답을 찾기 때문에 기하학을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거든요. Q 폴리매스 문제 아이디어는 어디에서 얻나요? 기존 수학 문제나 작은 명제를 확장시켜 문제를 만드는 경우가 많아요. 예를 ...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이두희 멋쟁이사자처럼 대표 “NFT 게임으로 전 세계 1등을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지원자가 2만 명을 넘어설 정도로 몸집이 커졌다. 최근 그는 대체 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해 게임을 개발하는 데 열중하고 있다. 새로운 프로젝트로 매일 밤을 지새우고 있다는 그를 3월 초, 서울 삼성동에서 만났다.게임 하면서 돈 버는 시대를 꿈꾸다 “지난해 인공지능, 파이썬 등 다양한 주제로 ... ...
- 겁쟁이, 꼬맹이, 또는 변덕쟁이... 암흑물질을 낚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암흑물질을 직접 만들어내겠다고 나섰다. 남극에선 각국의 과학자들이 모여 빙하를 이용해 암흑물질의 흔적을 잡는 아이스큐브(IceCube)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지난해 12월 발사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인류가 만든 가장 밝은 눈으로 암흑물질의 흔적을 찾는다. 암흑물질이란 개념이 생긴 지 90여 ... ...
- 당아욱 꽃차를 마시며 즐기는 시험공부 속 꽃놀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겁니다. 염기성 환경에선 푸른색, 중성에선 보라색, 산성에선 붉은색을 띠죠. 이 성질을 이용해 적양배추 속 안토시아닌을 우려 양배추 지시약을 만들기도 합니다. 당아욱 꽃차는 양배추를 우린 물보다 맛 좋고 예쁜(?) 지시약인 셈이죠. 레몬즙을 떨어뜨리자 찻물이 산성으로 바뀌면서 당아욱 ... ...
- [특집] 혹시 당신은 디지털 과의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어떻게 사용했는지, 잘된 점과 고쳐야 할 점은 무엇인지 등을 돌아볼 수 있습니다.앱별로 이용 시간을 확인하는 방법은 기종에 따라 달라요. 갤럭시폰은 [설정]-[휴대전화 정보]-[상태 정보]-[가동 시간]에서. 아이폰은 [설정]-[스크린타임]에서 확인할 수 있답니다 ... ...
- [기획] 먹는 약, 코로나19에 희망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렉키로나주의 효과가 떨어졌다는 점입니다. 렉키로나주는 초기에 유행하던 바이러스를 이용해 개발됐기 때문에 최근 유행하는 오미크론과 델타 변이에는 힘을 발휘하지 못하게 됐습니다. 팍스로비드는 임상시험에서 효과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화이자가 약 2246명을 대상으로 한 ... ...
- [수학자 가상인터뷰] 수학의 본질은 자유!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제 대표 업적이죠, 하하. 하나의 대상을 다른 하나와 짝짓는 ‘일대일 대응’을 이용했어요. 우리가 1, 2, 3…하고 세는 수를 ‘자연수’라고 해요. 그중에 2, 4, 6…처럼 2로 나눠떨어지는 수는 ‘짝수’지요. 둘 다 무한한 수예요. 짝수는 자연수에서 홀수를 뺀 나머지니까 짝수의 개수는 자연수보다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