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색
조사
추적
탐색
찾아주기
d라이브러리
"
찾기
"(으)로 총 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같이 지난 6년간 함께 연구를 진행했지만, 이처럼 흥분되는 메일은 처음이었다. 중력파를
찾기
위해 전세계 수많은 과학자들이 지난 55년간 흘렸던 땀과 눈물이 결실을 맺는 순간이었다. 오늘의 스포트라이트 뒤에는 조명 한번 받지 못하고 그간 부단히 노력했던 과학자들의 역사가 숨어있다. 수많은 ... ...
[Tech & Fun] 의자 없앤 사무실 잘못하면 건강 망친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걸까. 연구 결과를 검색해 봤다. 하지만 서서 일하면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는
찾기
어려웠다. 오히려 건강에 문제를 불러일으킨다는 논문이 더 많았다. 미용사나 교사처럼 서서 일하는 시간이 긴 직업군에서 많이 나타나는 하지정맥류가 대표적이다. 하지정맥류는 다리에 있는 정맥이 ... ...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가장 작은 단위로 하나의 비트는 0이나 1값을 가진다.진짜 난수, 양자난수?진짜 난수를
찾기
위해 과학자들은 다시 자연으로 돌아갔다. 자연에서 발생하는 불규칙성을 이용해 난수를 생성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자연 현상을 이용하면 난수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무작위적이고 어느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컴퓨터를 이용해 1952년에만 무려 5개의 메르센 소수를 찾아냈다. 컴퓨터로 메르센 소수를
찾기
전까지 가장 큰 소수는 에두아르 뤼카가 발견한 이보다 4배 이상 자릿수가 크다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애완동물 통역사 ‘ 도그 마리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임명합니다!”사실 이 모든 건 애사모 홍보대사와 어울리는 애완동물을 사랑하는 사람을
찾기
위한 이벤트였다. 도그 마리야는 홍보대사의 상징인 뼈다귀를 목에 걸어 주었다. 그런데 바로 그때! 벽장 속에 있던 그 많은 불독들이 코를 킁킁 거리더니 일제히 썰렁홈즈목에 걸린 뼈다귀를 향해 ...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체력을 키우기 위해 스스로 운동을 하지는 않을까. 동물들은 늘 짝짓기 상대나 먹이를
찾기
위해, 또는 자기를 잡아 먹으려는 포식자를 피해 죽을 힘을 다해 뛰어야 하니까. 그러려면 평소에 심혈관 기능이 건강하고 날개나 다리 근육이 큰 힘을 낼 수 있도록 탄탄해야 할 것이다.동물이 운동을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수심 15m, 수온 11℃. 수중과학수사대원들은 근처 바닥에 가라앉은 시체(마네킹)를
찾기
위해 바삐 움직여야했다. 물속에 머물 수 있는 시간은 고작 30분. 공기압이 50바 밑으로 내려가면 황급히 올라와야 한다. 20분 뒤, 부두에서 20m 떨어진 곳에서 빨간색 부표가 떠올랐다. 시체와 증거물을 찾았다는 ... ...
[Tech & Fun] 썸의 결정적 한 방 그날의 분위기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음악을 듣고 봤을 때보다 사진 속 표정을 더 밝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원인을
찾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는 동안 참가자들의 뇌파를 측정했더니, 행복한 음악을 듣거나 행복한 사진을 보면 대뇌피질의 왼쪽 전두측두(fronto-temporal)가, 우울한 음악을 듣거나 우울한 사진을 보면 오른쪽 전두측두가 ...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2년 기초연구 우수성과 50선’으로 선정된 연구에 대해 알려주세요.현대 수학에서는 답을
찾기
전에 답이 모여 있는 모임을 먼저 파악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많이 써요. 바로 답부터 찾는 게 어려우니까 답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모임, 즉 공간에 대해 먼저 연구하는 거지요.그 중에서 저는 눈에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이유는 창호의 중심을 쉽게
찾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가로살의 개수가 짝수라면 중심을
찾기
위해 결국 자를 써야 합니다. 자와 같은 도구가 없었기 때문에 이런 방법을 쓰게 된 것입니다.그리고 그으려는 금의 개수만큼 못이 박힌 ‘그므개’라는 도구를 써 창호의 가장 바깥쪽을 제외한 나머지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