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등"(으)로 총 1,6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짧고 굵게 집중하면, ‘원’도 문제없어!수학동아 l2012년 11호
- 수학자들은 물론, 예술가들에게도 큰 사랑을 받고 있답니다.$π$(파이)는 기호가 아니야!초등학교 때는 원의 둘레나 넓이를 구할 때, 원주율 대신 3.14를 사용해요. 그러나 중학교에서는 원주율이라는 무리수를 $π$로 표현하기 시작합니다. 이 때 무엇보다 $π$의 정의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죠 ... ...
- ‘1등 큐브’를 찾아라! olleh 홈스터디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1호
- 문제를 풀면 자동 채점까지 해준대. 내 성적과 석차도 알려 준다니 정말 대단한 걸!연금술초등학교 친구들은 역시 1등 큐브의 비밀을 알고 있었어. 1등 큐브는 바로 olleh 홈스터디였단다. 공부에 필요한 모든 것이 더해진 olleh 홈스터디!나도 빨리 1등 큐브의 힘으로 세계에서 가장 공부 잘하는 ... ...
- 햄버거, 피자… 먹은 지 3시간 만에 뱃살로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최근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비만율이 13.6%라고 밝혔어요. 10명 중 1명이 비만인 셈이에요. 그런데 기름진 음식이 살로 변하는 데 단 2~3시간 밖에 안 걸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음식으로 먹은 지방이 몸속에서 아주 천천히 저장된다고 생각했었답니다.영국 옥스퍼드대학교 ... ...
- 보고, 만지고, 나누는 수학! 제2회 수학문화축전수학동아 l2012년 11호
- 또 다른 특징은 학생과 교사, 그리고 수학자가 서로 소통하는 축제라는 점이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선생님으로 구성된 ‘수학문화축전 해설사’가 연령별로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을 안내하고, 내로라 하는 수학자들이 깊이 있는 수학 이야기를 쉽고 재미있게 들려 주었다.또 수학을 소재로 한 ... ...
- 제9회 바이오현미경사진전 수상작 - 산호가 꽃 속에서 춤을 추네과학동아 l2012년 11호
- 빅뱅의 처음 장면처럼 역동적으로 보인다.갓 태어난 아기새들송지원 | 바이오문화상(초등부)실험실 앞 나무에서 따온 꽃봉오리를 반으로 잘라 단면을 해부현미경으로 관찰했다. 마치 갓 태어난 아기새 옆에 알껍데기와 배설물이 흩어져 있는 듯 하다. 아기를 위해 희생하는 건 사람이나 동물이나 ... ...
- “절대 공부하는 척만 하지 않아야”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잘 맞지 않는 것 같아요.”가족끼리 여행을 많이 다니다 보니 재밌는 일도 많았다. 초등학교 3학년 때, 바닷가로 놀러가 텐트를 치고 놀다가 온가족이 잠이 들었다. 그런데 자다가 갑자기 비가 퍼부어서 모두 일어나 비를 맞아가며 천막을 쳤던 적도 있다. 떨어진 체온 때문에 따뜻한 라면을 끓여서 ... ...
- 도전! 대한민국 의사되기!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의예과 717명, 치의예과 182명 증원한다. 2년 간격으로 모집인원이 점차 늘어 현재 초등학교 6학년이 대학에 진학하는 2019학년도 입시에서 의예과 2880명, 치의예과 510명으로 학제 변경이 완성된다. 현재 고 2, 3학년 학생이 대학을 졸업하고 의전원에 진학하는 2017, 2018년에는 의전원 모집인원이 대폭 ... ...
- ADHD, 일찍 치료할수록 수학 공부에 도움 된다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준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시나이산 의과대학 헬가 조에가 교수는 아이슬란드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성적과 ADHD 치료약을 처방 받은 기록을 조사했다. 총 1만 3000명 이상의 학생들 중에서 1000명이 조금 넘는 아이들이 4~7학년 사이에 ADHD를 진단받았고, 그 중 317명은 그 시기에 치료를 ... ...
- 수학동아 열혈독자를 만나다! 2013 최연소 서울과학고 합격생 정재훈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재훈 군은 무엇보다 수의 규칙을 알아내고 탐구하는 게 가장 즐겁다고 했다. 실제로 초등학교 4학년 때는 ‘피보나치수열을 이용한 보드게임’을 만들기도 했다. 어떻게 직접 보드게임을 만들 생각을 했을까?피보나치수열에 대해서는 어릴 때 어떤 책에서 처음 봤어요. 첫째 항과 둘째 항의 합이 ... ...
- [정보] 교과서만 있으면, ‘확률’은 문제없어!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얼굴을 간질여도 꼼짝 않기 등)에 걸릴 확률도 1/196이다!확률, 이것만은 꼭!학생들은 초등 6학년 때 경우의 수를 처음 배웁니다. 따라서 중학교 때 배우는 경우의 수와 확률은, 다른 단원에 비해 익숙하죠. 다만 배운 지 2년이 지나고 개념을 다시 떠올려야 하는 어려움이 있지요.중학교에 올라와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