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혁
혁신
유신
대변혁
쇄신
inovate
이노베이션
d라이브러리
"
혁명
"(으)로 총 1,299건 검색되었습니다.
1. 누가 뉴턴의 세계에 돌을 던졌나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혼돈이, 21세기를 몇년 앞둔 현시점에서 상대성이론이나 양자역학에 버금가는 제3의 과학
혁명
의 주체로 등장한 혼돈과학과 어떤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지는 해석이 구구하다. 다만 기계론적인 자연철학관이 자연을 정복하려는 대상으로만 파악하고 억지로 자연을 일정한 틀(모든 고전역학의 법칙)에 ... ...
지구과학 - 우주의 중심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학문 발달과정의 일단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또 코페르니쿠스의 우주관에 관한
혁명
적인 생각은 바로 고대의 우주관을 잘 이해함으로써 고안될 수 있었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 ...
헬리콥터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기간에 발전을 거듭하던 헬기가 최초로 실용성을 인정받은 것은 1939년이었다. 러시아
혁명
후 미국으로 망명한 시코르시키(Sikorsky)는 1939년 9월 헬기의 주로터(주 회전날개와 연결된 회전축)로부터 발생되는 회전 반대방향의 토크(회전하려고 하는 힘)를 상쇄시키기 위해 동체 뒤쪽에 수직회전 로터를 ... ...
카오스와 퍼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카오스(혼돈)이론은 현대과학의 양축인 상대성이론이나 양자역학과 더불어 '제3의 과학
혁명
'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새로운 과학이론. 상대성이론이나 양자역학을 이용해 만들어낸 텔레비전이나 세탁기는 등장하지 않았지만 카오스세탁기와 선풍기가 등장해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퍼지는 ... ...
'페르마의 정리' 350년 만에 해법찾았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응용하는 수법을 발달시켰다. 지상의 전투만을 하던 시절, 비행기가 등장한 것만큼이나
혁명
적인 방법이다. 여기서 말하는 지상의 일이란 정수이고 복소수는 비행기에 비유한 것이다.페르마 정리의 형식은 매우 간단하다. 뿐만 아니라 해결이 예상될 만한 이유가 있었다. 다시 말해서 n이 소수(2, 3, 5 ... ...
사용하긴 쉬워도 이해하긴 어려운 멀티태스킹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장벽에 걸려 넘어지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이것은 PC 탄생 이래 소프트웨어 사용면에서
혁명
적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사용자가 4MB나 8MB 혹은 16MB 정도의 메모리를 갖추고 있다면 아무리 복잡하고 덩치 큰 작업이라도 몇개씩 동시에 메모리상에 띄워놓고 번갈아서 직업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 ...
세계 최초로 '전자의 액체론적 파동성격' 주장한 새개념 초전도 이론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3편, 추계총회에서 4편, 92년 추계에 4편, 93년 춘계에 5편을 발표했다.끝으로 초전도
혁명
이 이 땅에서 성공되어 전 세계로 퍼져 나가고, 금세기말 최대의 수출품이 될 차세대 초전도체가 우리나라에서 개발되어 경제 선도역을 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 보기로 하자. 뜻이 있는 곳에 길이 ... ...
우주론의
혁명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현대우주론의 모태라고 할 수 있는 상대성이론은 어떤 과정을 거쳐 탄생했으며 그 핵심은 무엇일까. 또 현대 표준우주론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일까. ...
벽에 부딪친 초전도 연구에 돌파구 제시한 고려대 최동식 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초전도 열풍으로 몸살을 앓았다. 컴퓨터
혁명
에 이어 20세기 대미를 장식하는 과학
혁명
으로 '초전도'를 추천하는데 과학자들 대부분은 주저하지 않았다. 그도 그럴 것이 초전도체 개발은 인류의 당면 과제인 에너지문제를 일거에 해결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초전도란 저항이 없이 전류가 흐르는 ... ...
인공생명 탄생 멀지 않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년 프로그램 내장식(sotred program)컴퓨터를 제안했다. 오늘날 컴퓨터 설계의 기초를 확립한
혁명
적 개념이다. 하나의 제어장치를 사용하며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직렬컴퓨터의 구조를 '폰 노이만 구조'라고 부르게 된 까닭이다. 따라서 여러개의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복수의 데이터를 동시에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