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향
효험
효능
결과
효력
작용
가치
d라이브러리
"
효과
"(으)로 총 6,53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주원료인 밀가루에 합성 엽산을 첨가하도록 법으로 제정한 겁니다.doi:10.3390/nu3030370
효과
는 분명했습니다. 1999~2000년 미국에서 신경관 결함을 갖고 태어나는 아이의 수는 엽산 보조제를 권고하기만 했던 1995~1996년에 비해 27%나 줄었습니다. 이후 세계 여러 나라가 합성 엽산을 밀가루에 첨가하는 ... ...
세계에서 통한 수학 게임 앱, 토도수학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게임을 디자인한 주역들이다. 최고의 게임 전문가와 교육 전문가가 만나서 교육적인
효과
와 재미를 극대화시킨 게임을 만들 수 있었다. ● 깜짝인터뷰 ““게임의 언어는 수학입니다”” Q 게임을 만드는 데에도 수학적 사고와 지식이 필요할까요? 물론이죠. 한 가지 직접적인 예를 들자면 ... ...
한 달 먼저 뽑아 본 2018년 10대 과학 뉴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7종에서 안전 기준의 최대 9배에 이르는 연간 피폭선량이 검출됐다고 발표했다. 음이온
효과
로 혈액순환을 돕는다고 알려진 광물인 모나자이트가 매트리스에 사용됐고, 모나자이트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인 토륨과 우라늄이 붕괴하면서 라돈이 생성된 것이다. 라돈은 사람이 숨을 쉴 때 호흡기를 ... ...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질병에 걸릴 수 있고, 이런 질병에 걸린 원숭이들을 치료할 수 있는 약은 사람에게도
효과
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 부작용도 유사하게 일어난다. 신약을 개발하는 제약회사들이 임상시험의 최종단계인 전임상시험에서 영장류를 이용해 실험을 하는 이유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영장류를 전량 ... ...
[반려동물 고민상담소] 개도 치매에 걸리나요?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발견하면 진행 속도를 충분히 늦출 수 있습니다. 치매는 약물 치료를 병행하면 훨씬
효과
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질병이기도 합니다. 꼭 수의사와 상담을 통해 약물 치료를 병행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개나 고양이의 치매는 사람의 치매와 마찬가지로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 ...
코딩으로 수학 배우고 R&E까지 폴수학학교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교실에 학생들이 삼삼오오 모여 앉아 노트북을 열고 있는 모습이 낯설다. ‘쉬는 시간이라 게임을 하고 있나’라는 생각이 머리를 스쳤다. ... 됐다. 생물학에 관심이 많은 김 군은 “질병에 대한 데이터를 모아서 분석한 뒤 조금 더
효과
적인 약을 만드는 연구를 해 보고 싶다”고 말했다 ... ...
2019 한국정보올림피아드 이렇게 바뀐다!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이룰 뿐 아니라 학생들의 창의력과 문제해결능력을 빠르고 명확하게 가려내는 데
효과
적이기 때문입니다. 엄 교수는 “수학의 영재와 정보올림피아드의 영재는 수학적인 논리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는 같다”면서, “특히 단계적인 사고방식을 통해 문제의 해법을 도출하면서 그것을 잘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것은 여러 전자기파의 파동을 일치시킨다는 뜻”이라며 “파동의 위상이 일치하면 중첩
효과
로 더 높은 전력을 전송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효율이 떨어지는 만큼 파동을 일치시킬 수 있도록 안테나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기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에너저스, 파워캐스트, 오시아 등 최근 ... ...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장애물이 사라진 셈이다. 달리기는 인간이 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운동이다. 누구나
효과
를 볼 수 있는 완벽한 운동이기도 하다. 더 추워지기 전에 독자 여러분도 도전해보길 강력 추천한다. 마라톤 왕초보인 기자도 해냈다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대한 연구는 기후학자들에게 아주 중요한 연구 주제입니다. 기존에 알려진 기후 피드백
효과
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지구시스템 모형을 이용한 해양 생지역학 피드백 연구는 북극해의 미래 기후를 전망하고 원인을 밝혀내는 데 큰 힘이 될 것입니다. 임형규POSTECH 환경공학부 박사과정 연구원이다.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