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초상
인물화
인간
인격
캐릭터
모양
뉴스
"
인물
"(으)로 총 1,147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심도가 깊다’고 말하고 조금만 벗어나도 흐릿해지면 ‘심도가 얕다’고 표현한다.
인물
클로즈업 사진을 보면 배경이 흐릿하게 처리된 심도가 얕은 사진이 많다. 카메라에서 심도를 조절하는 부분이 바로 눈동자에 해당하는 조리개다. 즉 조리개를 많이 열어 빛이 들어오는 폭을 넓힐 경우 ... ...
한국형 구두표준 만든 ‘신발박사’의 30년 구두인생
2015.08.05
KIST) 연구팀이 태릉선수촌을 찾아 직접 측정했다. 이 연구를 지휘한
인물
은 ‘신발 박사’로 유명한 조맹섭 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책임 연구원(64). 그는 “전두환 전 대통령 시절에 표준 구두 사이즈 개발을 담당하면서 신발과의 인연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당시 전 대통령은 부인인 ... ...
글 도둑 막는 수학
수학동아
l
2015.08.04
설정, 자식이 뒤바뀌는 설정 같은 아이디어는 저작권으로 보호하지 않는다. 하지만
인물
의 감정 변화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작가가 창작한 줄거리, 대사 등은 법으로 보호받을 수 있다. ● 내가 쓴 글이 표절일 가능성 표절 여부를 판단할 때는 신중해야 한다. 그래서 객관적인 근거가 필요할 ... ...
“반역자가 돼야 과학을 할 수 있다”
2015.08.02
생물학과 교수로 부임해 25년 동안 호기심을 자극하는 강의로 대중의 큰 인기를 얻은
인물
이다. 지금은 명예교수로 있으면서 글쓰기와 방송, 강의를 통해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를 꾸준히 들려주고 있다. 특히 달팽이와 관련된 저서가 많아 ‘달팽이 박사’라는 별명으로 유명하다. 이 책은 우리 ... ...
뇌파 인정 않던 뇌과학자가 뇌파로 브라질 시축 성공시킨 이유
2015.07.26
한 사건을 뇌공학계에 있었던 큼직한 사건으로 언급한다. 이 프로젝트를 주도한
인물
은 미겔 니코렐리스 미국 듀크대 교수로, 기자 또한 5월 방한 당시 직접 만나 인터뷰를 진행한 바 있다. 인터뷰에서 그는 시축 당시 “발에서 공이 느껴졌다”는 핀토의 목소리를 회상하며 기도하듯 두 손을 ... ...
스타트업 기업 위한 ‘황금의 손’ 과학기술인 멘토들의 활약
2015.07.10
최진 루트아이템 대표다. 최 대표는 국내 최초로 휴대전화 충전 자판기 개발을 주도했던
인물
이다. 그는 창조경제타운의 요청을 받고 흔쾌히 닷의 멘토를 맡았다. 개인 시간을 쪼개 닷 기술진과 여러 차례 회의를 진행했다. 그는 모터 등 복잡한 액추에이터(구동 장치)를 쓰는 대신 전자석을 ... ...
난소암으로 별세한 UNIST 교수의 ‘마지막 논문’
2015.07.07
2011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됐으나 수상하기 3일 전 췌장암으로 유명을 달리한
인물
이다. 도 교수가 남긴 연구 성과 또한 수지상세포와 관계가 깊다. 연구팀은 수지상세포 중 한 종류(CD8 α-수지상세포)가 아직 분화되지 않은 다른 면역세포인 T세포를 ‘폴리큘라 헬퍼 T세포(Tfh세포)’로 ... ...
“한국토종 대회 ‘로봇 축구’, 벌써 스무살 됐네요”
2015.07.06
만났다. FIRA는 1996년 김 교수를 중심으로 출범했다. 김 교수는 로봇축구를 처음 창안한
인물
. 그는 ‘로봇축구를 어떻게 만들게 됐느냐’는 질문에 느닷없이 “그 당시 우리나라 과학계가 세계화에 도전할 필요가 있었다”는 다소 엉뚱한 답을 내놨다. “그 시절엔 해외 배낭여행이 큰 인기를 ... ...
‘화생방실 클레오파트라’ 음성분석 해봤습니다
2015.07.03
클레오파트라가 경연에서 부른 ‘오페라의 유령’은 무대가 매우 비슷해 두 사람이 동일
인물
이라는 결정적인 근거로 거론된다. 하지만 국과수의 음성 분석 기술로는 이 둘의 비교가 불가능했다. 박 연구사는 “노래를 부를 때는 배나 머리를 울려 소리를 내는 성악 발성 기법 때문에 포먼트 ... ...
[메르스 업데이트] “한국, 사스와 에볼라 때 겪었던 과오 반복해”
2015.06.21
때도 미 정부와 보건기구를 비판하는 등 전염병 사태에 대한 정책적 대응을 강조하는
인물
로 유명하다. 고스틴 교수는 “한국은 사스와 에볼라 때 겪었던 과오를 반복하고 있다”며 “한국 정부의 투명성 부족, 부실한 질병통제, 그리고 폐교 등의 불필요한 조치가 사회 불안을 야기하고 있다”고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