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Zone
구역
시골
지방
지대
죤
뉴스
"
존
"(으)로 총 1,059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탄 ‘장소세포’, 공간 지각에도 관여한다
2015.05.04
들어 있는 해마라는 사실도 확인했다. 구터스텀 박사는 “몸이 공간상의 어느 위치에
존
재하는지 인식하는 능력은 외부세계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꼭 필요하며, 인간의 자기 인식의 가장 기초가 되는 부분”이라며 “장소세포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공간 속에서 몸의 ... ...
DDT, 그 영욕(榮辱)의 역사
2015.04.20
맞지만 곳곳에서 유기인계 살충제의 위험성도 언급했다. 이런 상황에 깊은 인상을 받은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환경문제를 다룰 자문위원회를 구성했고 카슨 역시 1963년 6월 4일 상원 청문회에 출석해 증언하기도 했다. 여러 관계자들의 의견을 청취한 위원회는 잔류성 독성 살충제를 단계적으로 ... ...
‘멍 때리는 시간’이 필요한 과학적 이유
2015.04.19
따라 ‘남 보기 민망할 수도 있는’ 동물들의 짝짓기를 모아놓은 책이 나왔다. 저자인
존
롱은 25년간 짝짓기와 생식기의 기원에 대해 연구해온 학자다. 그는 ‘네이처’ 등 국제 유명 저널에 수차례 논문을 기고한 학자로 이번 저서는 ‘LA 카운티 자연사박물관’의 동료들과 함께 지난 25년간 ... ...
‘저주받은 하체’ 이 유전자 때문이었다
2015.03.25
이런 개인차가 어떻게 생겨나는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었다. 미국 듀크대 의대
존
라울 분자유전학 교수팀은 ‘플렉신D1’이란 유전자가 허리와 엉덩이의 지방분포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내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23일자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플렉신D1이 어떻게 ... ...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
2015.03.23
있다. 연구자들은 좀 더 정교한 실험방법으로 인간의 혈중 이리신 농도를 측정했지만
존
재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또 사람뿐 아니라 운동을 상징하는 동물인 말의 혈액에서도 이리신이 없었다고 한다. 아직 결론이 나지는 않았지만 이 정도면 2009년 만성피로증후군 논문의 전철을 밟을 것 ... ...
[신문과 놀자!/별별과학백과] 치키노사우루스 복원 가능할까
동아일보
l
2015.03.18
이 의문을 풀기 위해 최근 영국의 고생물학자이자 고생물아티스트인 대런 네이시와
존
콘웨이는 현생 동물들의 뼈를 가지고 원래 모습으로 복원해 보았다. 그들은 현생 동물의 뼈만 추려내 현재 과학자들이 ‘공룡을 복원하는 방식’으로 복원했다. 그 결과는 놀랍게도 실제와 매우 달랐다. 토끼와 ... ...
5cm 크기 10분 만에 인쇄하는 3D프린터 개발
2015.03.17
위에서는 잉크가 딱딱하게 굳어 버리지만 데드
존
아래 잉크는 여전히 액체상태다. 데드
존
이 있으면 잉크를 계속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한 층을 굳히고 다시 쌓는 과정 없이 연속적인 인쇄가 가능하다. 드시몬 박사는 논문에서 “5cm 크기 물건을 인쇄하는 데 10분밖에 걸리지 않았다”면서 “몇 ... ...
“누구나 ‘가슴’ 하면 그녀를 떠올릴 수밖에”
2015.02.27
쳤습니다. “혹시 자네가 말한 돌리가, 바로 그 돌리 파튼?” 돌리에게 이름을 지어준
존
브래큰(왼쪽) - nationalgalleries.org 제공 돌리 파튼(Dolly Parton)은 1970~1980년대에 왕성하게 활동하던 미국 여가수입니다. 당시 미국 대통령이던 지미 카터도 돌리 파튼의 팬임을 자처할 만큼 스타급 가수인데요 ...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2015.02.22
봄의 논문을 무시했지만,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전도유망한 이론 물리학자였던
존
벨은 달랐다. 당시 물리학계는 양자전기역학(QED)을 확립하고, 핵력에 대한 양자역학을 구축하느라 정신이 없었다. 이런 때 벨은 낡은 양자역학의 해석문제를 다시 생각했다. 12년이 지난 1964년 벨은 ‘EPR 역설에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싶어 읽어보니 암의 발생 원인에 대한 통계적 연구결과를 놓고 벌어진 일이다. 미국
존
스홉킨스의대의 암유전학자 버트 보겔스타인 교수와 수리생물학자 크리스티안 토마세티 박사는 신체조직에 따라 암 발생률이 왜 그렇게 큰 차이를 보이는가에 대한 의문에 답하기 위해 연구를 시작했다. 즉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