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10,109건 검색되었습니다.
열 받아도 폭발 않는 리튬이온전지
동아사이언스
l
2014.02.11
리튬을 갈아 만든 가루(염)를 녹일 수 있어야 하는 데 PFPE는 이 조건을 잘 만족했다. 실제
실험
에서도 배터리의 필수 조건인 이온 전달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대부분의 고분자물질은 리튬 가루를 녹이지 못하는 만큼 뜻밖의 발견”이었다며 “이온 전달 능력을 상용화할 ... ...
[채널A]‘테헤란로 vs 올림픽대로’ 이산화탄소 차이는?
채널A
l
2014.02.11
자동차가 도로 사정에 따른 배출량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실험
을 질소산화물과 미세먼지 등 다른 오염물질로도 확대해 교통흐름을 반영한 대기오염 저감 정책을 세우는 데 활용할 계획입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society/ ... ...
여수 기름유출 피해, 확실하고 빨리 처리할 수 없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2.10
오염지역에 살포하면 기름을 먹어 치움으로써 바닷물을 정화시키는 원리다. 문제는
실험
실 수준에서는 성공했지만, 실제로 바다에 뿌리면 금새 죽어 버린다는 것. 이 때문에 실제 오염지역에 살포했을 때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한 상태다. 한국원자력연구원도 2007년 ... ...
이스라엘에서 연구 외에 딴 생각했다간...
동아사이언스
l
2014.02.10
있다. 생화학과 박사 과정 학생인 양승훈 씨는 “한국에서 석사 과정을 할 때는
실험
장비를 쓰려고 하면 하루에 한 번만 출입이 가능하거나 나가면 다시 못 들어가는 등의 규제가 많았고, 신청 절차도 까다로웠다”며 “이 곳은 지금 가서 쓰겠다고 연락만 취하면 곧바로 장비 사용이 ... ...
아카데미에 빛나는 연기파 배우가 보여준 중독
동아사이언스
l
2014.02.09
집단 '코즈'를 이끄는 랭케스터(필립 세이모어 호프만 분)를 만난다. 이후 프레디는
실험
대상자 신분으로 랭케스터 곁에 머물게 되고, 랭케스터는 거칠고 다듬어지지 않은 프레디를 다루는 과정을 통해 자신이 구축한 이론을 증명해 보이려 애쓴다. 영화 '마스터'에서 필립 세이모어 호프만이 ... ...
‘제 3의 흡연’… 흡연자 있던 곳에만 가도 위험?
동아닷컴
l
2014.02.09
그린 세포생물학교수가 제3의 흡연 노출이 간과 폐에 상당한 손상을 일으킨다는 동물
실험
결과를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쥐들을 사람이 제3의 흡연에 노출되었을 때와 같은 조건에서 살게 한 결과 간, 폐 손상은 물론 피부상처 회복 지연, 과잉행동장애가 나타났다. 쥐들은 간에 지방이 ... ...
1형 당뇨 완치하는 줄기세포치료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07
데 큰 의미가 있다”며 “이 기술을 1형 당뇨 치료제를 만드는 데 적용하기 위해서는
실험
동물이 아닌 인체에 적용하는 것이 핵심 과제”라고 설명했다 ... ...
공부 끝나면 커피 마셔!
과학동아
l
2014.02.06
야사 교수팀은 평소 커피 등 카페인이 든 음료를 마시지 않는 사람 160명을 선정했다.
실험
참가자들은 여러 장의 비슷한 그림을 본 뒤 각 그림을 구별하는 테스트를 받았다. 5분 뒤, 한 그룹에게는 카페인 200mg이 든 알약을 먹게 하고 다른 그룹에게는 가짜 알약을 줬다. 카페인 200mg은 블랙커피 한 ... ...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05
최초 연구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연구팀은 일란성 쌍둥이 25쌍을 모아 한쪽 팔에
실험
기기를 연결해 열을 가하면서, ‘고통’이 느껴지는 순간에 버튼을 누르도록 했다. 그 결과 유전자가 똑같은 쌍둥이라도 열로 인한 고통을 느끼는 기준은 가지각색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쌍둥이의 ... ...
가속기의 방해꾼 '빛'을 이용해 첨단기술 업그레이드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05
초창기에 개발된 1세대 가속기는 입자물리학 분야 연구를 위해 주로 전자나 양성자 충돌
실험
에만 사용됐다. 이 때문에 입자를 얼마나 빨리 가속시킬 수 있는가가 관건이었다. 입자 가속시 발생하는 빛은 연구의 방해물로만 여겨졌다. 그러나 이후 연구 수준이 높아지면서 방해꾼인 빛을 ... ...
이전
959
960
961
962
963
964
965
966
9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