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난초
국향
알
알맹이
알갱이
입자
알멩이
d라이브러리
"
난
"(으)로 총 2,836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고
난
은 우리를 성장시키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수 있는 고
난
이란 없다. 따라서 고
난
자체를 미화하고 이겨내길 강요하는 사회보다 고
난
에서 함께 벗어날 수 있는 사회가 되는 게 옳다. 아픈 사람은 청춘이 아니라 환자다. 독하게 살라고 권하기보다 서로에게 해독제 같은 존재가 되자고 권해보자 ... ...
[지식] 냄새를 보는 행렬
수학동아
l
2015년 05호
거라고 해도 믿지 않을 거야. 냄새를 봤다는 건 더 믿지 않을 거고. 물비린내가
난
다는 걸 설명할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해.오초림 : 방법이 한 가지 있긴 해요. 제가 언젠가 이런 일이 생길까봐 행렬 공부를 열심히 해 뒀거든요. 행렬의 곱을 쓰면 가능해요. 먼저 행렬과 행렬의 곱셈에 대해 ... ...
이제 나도 게임 프로그래머!
수학동아
l
2015년 05호
”오규환 아주대 미디어학과 교수가 묻자, 여기저기서 독자들이 손을 들었다. 지
난
번 게임카페에서 마주친 적이 있는 친구들은 서로 반갑게 인사를 나눴다. 이번에도 어김없이 독자들은 세 문장으로 자기소개를 하는 것으로 게임카페를 시작했다.오 교수가 독자들에게 처음 보여 준 건 미국의 IT ... ...
[과학뉴스] 원숭이 vs 침팬지, 미로 탈출 승자는?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침팬지는 다른 두 종의 영장류에 비해 미로 찾기를 훌륭히 수행했다. 이들은 미로에서
난
코스에 맞닥뜨려도 막다른 골목을 피해 어느 곳으로 갈 것인지 미리 파악하고 커서를 옮겼다. 그러나 나머지 두 원숭이 종은 커서를 뒤로 옮겼다, 앞으로 다시 옮기는 등 길 찾기에 어려움을 겪었다. 어린이의 ... ...
[Hot Issue]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먹이를 모두 먹어 치웠다. 이는 같은 길을 실수로 몇 번씩이나 오가며 먹는 쥐보다도 뛰어
난
결과였다. 파충류의 기억력은 결코 낮은 게 아니었다!문제해결능력은 어떨까. 미국 듀크대 마뉴엘 릴 교수는 푸에르토리코 아놀도마뱀을 이용해 실험해 봤다. 아놀도마뱀은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수상 ... ...
[Life & Tech] 너는 나의 봄이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찾은 곳은 서울 지하철 1호선 시청역 인근에 있는 덕수궁입니다. 1592년, 임진왜란에 피
난
갔던 선조가 돌아와 임시로 머물기 위해 지은 궁이지요. 본래 이름은 ‘경운궁’입니다. 명성황후가 무참히 시해된 을미사변 이후 러시아공사관으로 피신했던 고종이 1년 뒤 환궁해 생활한 곳이기도 합니다. ... ...
Part1. 거짓말 잘하는 비결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벗어
난
장황한 얘기는 지어낸 이야기로 오해를 받는다.● 특히 중요한 것 : 정도를 벗어
난
상세한 대답과 과도한 단답형 대답을 피한다. 너무 세밀하거나 너무 간략한 대답이 혼합되면간략한 대답이 날조된 것처럼 보인다.● 감정을 표현하고 스스로에 대해 말하라. 사람들은 더 빨리 당신을 믿을 ... ...
[Life & Tech] ‘개저씨’와 ‘꼰대’를 위한 변명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현상이지만, 반드시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어떤 예술가는 생의 마지막 단계에 엄청
난
창조성과 유연성을 선보이며 믿을 수 없는 업적을 남기기도 한다. 이런 제2의 전성기를 이른바 ‘백조의 노래’ 현상(일생 동안 노래하지 않는 백조가 죽기 직전에 아름다운 노래를 한다는 서양 속설에서 ... ...
화재 막는 과학 우리 집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할 수 있으니까요.참! 혹시 소방서에 장
난
전화 하는 친구는 없겠죠? 사소한 장
난
신고가 정작 소방관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의 생명을 빼앗아갈 수 있다는 사실, 잊지 마세요!화재로부터 사람의 안전을 지키는 데도 과학이 필요하다는 사실, 잘 알았죠? 평소 우리 집 소방 시설을 자주 점검하는 것이 ... ...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부르는 턱뼈 부분이 마지막 어금니 뒤에 오는 것도 호모 속에 가까운 특징이다. 치아에
난
돌기는 호모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특성을 고루 보이고 있었다.혹시 둘 중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제3의 종일 가능성은 없을까. 당시에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보다 크고 초식을 했던 원인 ‘파란트로푸스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