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공구
연장
용구
기계
계기
수단
d라이브러리
"
도구
"(으)로 총 2,13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수학공부에도 효과 톡톡!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실력을 보여주기 위한 작품집을 뜻하는데, 능동적인 자신의 학습 과정을 나타내기 좋은
도구
가 되죠.또 해마다 시도교육청에서 주관하는 ‘창의력 산출물 대회’가 있는데, 변형 보드게임을 만들어 도전해 봐도 좋을 것 같아요. 아니면 직접 새로운 보드게임을 개발해 게임 개발자가 되는 것도 ... ...
PART 1. 왜 수학시간에 전자계산기를 쓰려고 하지?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전자계산기는 누구나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볼 수 있다.권오남 교수는“전자계산기라는
도구
를이용해 수학을 학습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은 학생들에게새롭고 흥미로운 상황”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학생들은 지적 호기심을 느끼고 적극적으로 수학 학습에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PART 4. 전자계산기 도입에 관한 오해와 진실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올해부터 쓴다?교과부가 밝힌 올해 계획은 고교 평가에서 전자계산기 같은 공학적
도구
를 사용했을 때의 장단점을 연구하겠다는 내용이다. 따라서 올해 고교 평가에서 전자계산기를 만날 가능성은 없다. 권기석 팀장은“전자계산기 사용에 대해서 긍정적인 연구결과가 나와도, 사용하기까지 적합한 ... ...
라푼젤도 모르는 머리카락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떨어졌는지, 강제로 뽑힌 것인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모발의 잘린 부분은 범행
도구
가 망치 같은 둔탁한 물건이었는지 칼과 같은 예리한 물체인지도 판단할 수 있게 한다.잘린 모발의 끝 부분은 처음에는 매우 거친 형태를 보이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둥글게 변한다. 이 때문에 언제 머리카락을 ... ...
PART 1-2 골고루 세력을 확장하라, 인지니어스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가지 색깔만 높은 점수를 얻는 것보다 골고루 점수를 따야 한다는 점을 뜻합니다. 이제
도구
를 바꿔 변형 게임을 만들어 보겠습니다.변형 :삼각형 인지니어스인지니어스의 판과 타일을 삼각형 모양으로 바꿔 봤습니다. 게임 규칙은 바꾸지 않았고요. 처음에는사각형 인지니어스도 생각해 봤습니다. ... ...
PART 3. 왜 고등학교에서 쓰나?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익숙한 학생들에게도 좋은
도구
가 된다. 장경윤 교수는“전자계산기를 안경 같은
도구
로 생각할 필요가 있다”며 “눈이 나쁠 때 안경을 쓰고 보듯 전자계산기로 부족한 계산력을 보완해문제해결력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장 교수는 오래전부터 전자계산기를 쓰고 있는 호주 빅토리아주의 ... ...
Part 3. 디지털포렌식, 산업스파이를 잡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이상진 교수는 “범죄자들은 치밀한 범행을 위해 인터넷에서 방법과
도구
를 찾고, 범행 뒤 수사상황도 수시로 파악하고 있다”며 “이런 범죄자를 잡기 위해선 디지털포렌식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임종인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원장은 “수사기관뿐만 아니라 대형 로펌에서도 ... ...
“올림피아드 성적 반영 안 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학생별, 상황별로 다르게 구성하므로 올해도 또 다른 형태의 질문이 나올 것이다. 전형
도구
를 비롯해 거경전형의 세부적인 진행방법은 사교육에 노출되지 않기 위해서 공개하지 않고 있다.궁리전형에서는 2단계에서 기초소양 검사와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실시했다. 두 시험은 각각 어떻게 ... ...
과학을 그린 화가 홀바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지도 제작자들은 여러 기구 등을 이용해 정확한 지도를 만들었어요. 이처럼 그림 속
도구
들은 천문학과 항해술 등 르네상스 시대에 발달한 과학은 물론 사회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답니다.일상화 속에 볼록거울이?한스 홀바인이 초상화를 그리기 전에는 많은 화가들이 다양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의 ... ...
Part 3. 수학과 과학은 서로 다르다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일입니다. 수학을의무적으로 배우는 초중고 과정에선 과학에서처럼 수학을 계산하는
도구
로만 배우니까요. 엄밀한 증명이 요구되는 수학은 이해하기 어려워서 학교에선 계산 위주의 실용적인 수학만을 가르칩니다. 수학의 아주 작은 부분이죠.‘그렇다면 수학교육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닌가요?’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