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석재
바위
암석
암벽
암반
돌멩이
스톤
d라이브러리
"
돌
"(으)로 총 1,732건 검색되었습니다.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그러니깐 다칠 확률도 커. 손가락은 물건을 만지거나 들어올릴 때, 발가락은 걸을 때
돌
에 채이거나 다른 사람에게 밟힐 수 있지. 그래서 나와 발톱이 손과 발을 보호하는 거야. 또 손톱은 힘의 지지점이 되어 물건을 잡기 쉽게 하기도 해. 어때, 나도 꽤 쓸모 있지? 밤엔 손톱을 깍으면 안돼?깎은 ... ...
만물의 영장 빚어낸 손가락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대신해 요금을 지불할 수 있도록 지문인식 결제시스템을 설치했다.미래에 손가락만으로
돌
아가는 디지털 세상이 열리더라도 놀랄 필요는 없다. 원래 디지털(digital)이란 말의 어원은 손가락(digit)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미켈란젤로가 집중했던 손가락의 공적은 아직도 끝나지 않은 셈이다 ... ...
헬리콥터 100년史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방사선을 쪼이거나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등 인위적인 영향으로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돌
연변이는 보통 생식세포에서 일어나 자손에게 전해진다골짜기가 침식작용으로 여러 가지 새로운 지형으로 변화하는 것 특히 유수의 침식작용에 의해 골짜기가 깎이는 경우를 말한다 개석의 정도(개석도)는 ... ...
나의 카메라 속 남극이야기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갔건 사진을 찍으러 갔건 그 배경에는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동경이 자리잡고 있다. 한국에
돌
아온 지금도 손끝이 아리도록 매서운 추위와 푸르른 햇살을 마주할 때면 남극이 한없이 그리워진다 ... ...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2004년 ‘사이언스’에 보고했다. 연구자들은 불에 탄 목재, 식물 씨앗과 함께 부싯
돌
을 발견했는데 이는 인류가 의도적으로 불을 피웠음을 의미한다. 이 무렵 지구에 퍼져있던 인류는 호모 에렉투스와 현생 인류의 직계 조상으로 알려진 고(古, archaic) 호모 사피엔스. 고렌-인바 교수는 “불에 탄 ... ...
과학이 예술에 빠졌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그는 홍조류의 일종인 뿔가사리를 바닷물에서 꺼내자마자 말단부가 말리지 않도록 조약
돌
로 잎을 하나씩 눌러 이틀 동안 건조했다.오텐센 교수는 검은색 배경 위에 뿔가사리를 올린 뒤 일반 디지털 카메라로 찍었다. 북대서양 해안에 흔한 홍조류인 뿔가사리는 아이스크림을 만들 때 분산제나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를 하는 한양대 의대 김계성 교수 역시 지난 2년을 되
돌
아보며 만감이 교차하는 듯했다. 미국 인디애나대 의대 할 브록스마이어 교수는 제대혈(탯줄 혈액)이 혈액치료에 유용함을 처음 밝힌 이 분야의 거장. 그가 김 교수를 찾은 것은 증식력이 없어 치료범위가 제한된 제대혈의 ... ...
빙산은 이산화탄소 킬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1μm=10-6m) 이상인 식물플랑크톤은 대부분
돌
말(규조)류로 밝혀졌다. 연구팀의 조사결과
돌
말류는 빙산 근처 바다에서 깊이 8~60m에 서식했다.무인잠수정과 비디오카메라는 빙산 근처 바닷속을 조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연구팀은 빙산에 뚫린 바닷속 동굴도 탐험하고 비디오카메라로 ... ...
이역만리 조선에 전해진 천리경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관측하고 백리 밖의 적군을 탐지할 수 있다고 했다. 서포는 화승(화약심지)을 쓰지 않고
돌
로 때리면 불이 저절로 일어나는데, 서양인 육약한이란 자가 중국에 와 정두원에게 기증한 것이다.”이 내용은 ‘조선왕조실록’에서 망원경을 언급한 최초의 기사로 1631년(인조 25)에 등장한다. 망원경은 160 ... ...
실리콘과 유기물 중매해 손톱만한 슈퍼컴퓨터 꿈꾼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노력중이다. 그러나 두 물질이 화학적으로 어떻게 결합하는지 모른다는 점이 걸림
돌
이었다. 이에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구자용 박사가 이끄는 이종성장제어연구단은 실리콘 위에 탄소나 질소, 인, 브롬 같은 유기물질을 원자 수준에서 제어하기 위한 연구에 나섰다. 정보혁명의 원동력,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