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d라이브러리
"
은하
"(으)로 총 1,322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은 어떻게 죽어 가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구조를 밝히는데 획기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10억광년으로 우리
은하
바깥에서 일어난 일이다.실험 - 별들의 수명 알아맞히기■ 기초지식미국의 천문학자로 러셀과 헤르츠스프룽은 별의 스펙트럼 형태와 절대등급 사이의 관계를 밝혀낸 것으로 유명하다. 이들의 연구결과를 ... ...
우리나라 천문학자들 초신성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이유는 초신성의 밝기가 변하는 특성을 연구해
은하
단까지의 정확한 거리를 측정하고
은하
단 형성의 미스터리를 풀 수 있기 때문. 또한 우주가 팽창할지 수축할지 그 운명을 밝히는데도 도움이 된다. 이명균 교수는 “우주의 구조를 밝히기 위해 수많은 초신성을 발견해야 하는데, 이번 발견은 그 ... ...
왕가의 가족회의 세페우스자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연상시키는 돌고래 자리가 있다. 이 별자리는 4-5등성인 어두운 별로 이루어져 있지만
은하
수에서 비켜나 있고 독특한 모양으로 쉽게 찾을 수 있다. 신화에서 돌고래는 바다의 신 포세이이돈의 전령으로 포세이돈과 결혼하기로 약속해놓고 도망가버린 인어 안피트리테를 찾아낸 공적으로 별자리가 ... ...
별의 진화 단계가 한눈에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이름붙은 이 대성운은 2만 광년 거리에 있고 우리
은하
중심부에서 2만6천광년(태양계와
은하
중심부 사이와 같은 거리)이나 떨어져있다. 사진 우측상단에 어두운 물체로 나타나는 작은 구체(球體)에는 아기별이 몇 개 정도 포함돼 있다. 이런 구체가 진화해 별이 되고 주변에 행성을 만드는 물질원반을 ... ...
보이지 않는 위험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스타워스의 시간적·공간적 배경은 전혀 알 수 없다. 우리의 물리적 법칙이 통용되는
은하
계인지조차 불분명하다. 22년이라는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영화 속 우주선은 진공의 우주를 내달리며 굉음을 내고, 효율성이라고는 조금도 고려되지 않은 채 디자인된 휴먼 로봇 ... ...
3. 미래의 달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우주를 향해 날아오를 것이다.1978년 일본 도에이 애니메이션사가 만든 만화영화 ‘
은하
철도 999’를 연상케 하는, 이 우주열차는 한때 J. F. 케네디 대통령의 에너지 고문을 맡았던 물리학자 앨빈 마스크가 고안해낸 것(현원복의 ‘정말 같지 않은 미래세상’참조).마스크는 지하터널을 뚫고 ... ...
초여름 밤하늘은 구상성단 풍년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구상성단과
은하
들이 많이 몰려 있고, 동쪽 뱀꼬리 지역은 방패자리와 독수리자리
은하
수에 이어져 있어 산개성단과 성운이 많다. 망원경으로 볼 만한 것은 머리부분에 있는 구상성단 M5와 꼬리 부분에 있는 발광성운 M16이 있다 ... ...
Ⅱ. 풀밭에서 바늘 찾는 외계행성 탐색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빠르게 회전하면서 주기적 전파 신호를 발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지금은 우리
은하
에서만 6백70여개의 펄사가 발견됐다. 펄사 주위에 행성이 돌고 있으면 펄사 신호의 주기가 변화하게 된다. 이 변화를 추론해 행성의 존재를 유추해 내는 것이다.넷째 중력렌즈에 의한 방법. 아인슈타인의 ... ...
시공간을 구겨넣은 우주의 검은구멍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X-1’로 이름지어진 이 천체가 블랙홀일지도 모른다는 추측을 낳았다. 이것은 우리
은하
계에서 가장 강력한 X선원의 하나로 약 8천광년 거리에 있다. 그 뒤의 관측을 통해 같은 자리에서 ‘HDE-226868’이라는 태양 질량의 약 30배에 달하는 초거성이 발견됐고, 이 별에서 흘러나오는 고온의 가스가 약 ... ...
춤추는 바람개비 별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별의 형태가 아닌 새로운 모양의 별이 발견돼 화제다. 케크 천문대의 천문학자들이 나선
은하
의 조카인양 똘똘 말린 모양을 한 바람개비별을 발견한 것이다. 버클리대학의 과학자들은 1년전 궁수자리 방향에서 이 별을 처음 관측하고 매우 당황했다고 한다. 울프-라이엣(Wolf-Rayet)104로 불리는 이 별은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