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어린이과학동아
"
교수
"(으)로 총 993건 검색되었습니다.
훈련받는 바퀴벌레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011
더 많이 떨어뜨린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연구팀은 영국의 임신부와 자녀 6380명을 조사했대요. 연구를 맡은 템플대학교 콜린스
교수
는 “부모가 담배를 끊거나 담배를 끊지 않더라도 자녀가 간접흡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어요. [소제시작]시속 300㎞ 위그선 2011년 나온다[소제끝] 물 위를 시속 300㎞로 날 수 있는 대형 위그선 ...
과학자들의 수다 최고 과학자 3인은 누구?(1)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920
벗어나 근대화를 이루려 하고 있었기 때문에 과학자가 많이 필요했지. 덕분에 나도 국비장학금을 받고 유럽에 다녀온 뒤 화학과
교수
로 임명되었어. 정말 감격이었지. 하지만 내 인생에서 가장 감격적인 순간은 주기율표를 만들었을 때야. 그 때까지 알려져 있던 63개의 원소를 원자량이 커지는 순서대로 배열하면 일정한 간격으로 화학적 성질이 비슷하다는 걸 ...
천재 앵무새의 마지막 한 마디 “사랑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920
아주 작은 탄소나노튜브 안에 방사성 원소를 집어넣은 거예요. 얼마나 작냐구요?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에 불과하답니다. 윌슨
교수
는 이 폭탄을 암환자의 몸에 집어넣으면 방사성 원소가 암세포에 방사선을 쏘아 암세포를 없앨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 물론 정상 세포는 건드리지 않고요. 앞으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시험에 성공하면 암환자에게 큰 도 ...
붉은 보름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912
9월 29일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 출생 로마에서 태어난 페르미는 이탈리아와 독일 등에서 공부한 뒤 1926년 로마 대학교의 이론물리학
교수
가 되었다. 방사성동위원소를 만들어 초우라늄원소 및 핵분열 연구의 길을 열었다. 1938년 인공방사능 연구로 노벨물리학 상을 받았다. 미국으로 망명한 뒤 1942년 시카고대학교에 대형 원자로를 건설해 핵에너 ...
종이로 만든 반도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831
알기 위해서는 그 유전자가 어떻게 변해왔는지 알아야 하죠. 저처럼 하등생물의 유전자를 연구하면 그런 변화를 잘 알 수 있어요.
교수
님은 앞으로 다른 동물을 이용해 계속 연구할 거라고 해요. [소제시작]사이언스 시간여행 과거속으로[소제끝] {BIMG_R10}1993년 9월 1일 과학 로켓 2호 서해안에서 발사 성공 한국항공우주연구소는 1993년 ...
퓨전스타인
교수
의 도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831
...
군사로봇 짱 뽑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810
결과라고 발표했지만 황 박사는 체세포 핵이식이 맞다고 주장했지요. 미국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줄기세포연구소의 조지 데일리
교수
와 김기태 박사는 황 박사가 만든 줄기세포에서 처녀생식의 특징이 나타났다고 최근 발표했어요. 처녀생식은 여성의 난자를 수정 없이 키워 배아로 만드는 거예요. 사실 처녀생식 줄기세포만 해도 학문적으로는 아주 큰 성과예요. ...
우주에 뜬 풍선 호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712
원시 바다의 증거가 맞으며 과거엔 화성의 3분의 1이 바다였다고 주장했어요. 지구의 태평양만 한 바다가 화성에 있었다는 거죠. 페론
교수
는 최근 발표한 논문에서 “화성에서 거대한 화산이 폭발하거나 소행성이 충돌해 자전축이 크게 움직였고 이 때문에 커다란 지각 변동이 일어나 해안선이 육지보다 훨씬 위로 올라왔다”고 말했어요. 하지만 과거에 존재했 ...
생명공학의 발전, 우리에게 불행인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629
현명하게 대처해나가야 하겠다. [소제시작]심사평_과학 글쓰기를 습관화하자[소제끝] 권치순 초등부 심사위원장(서울교육대학교
교수
) 올해 응모 작품을 심사한 심사 위원들의 의견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올해 과학논술대회의 응모작이 크게 증가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최근에 과학 논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확산됨에 따라 응모 작품 ...
착한 줄기세포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629
있을 때 약을 넣기 어렵게 만들죠. 이 ‘뇌 장벽’을 뚫고 뇌혈관에 약을 넣는 방법이 개발됐어요. 한양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이상경
교수
는 바이러스의 단백질 조각에 약을 붙여 뇌세포에 직접 전달하는데 성공했어요. 뇌염에 걸렸던 쥐는 이 주사를 맞고 병이 나았죠. 연구에 쓰인 바이러스는 광견병 바이러스래요. 광견병 바이러스가 뇌 장벽을 뚫고 뇌세포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