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뉴스
"
식물
"(으)로 총 2,123건 검색되었습니다.
[호주 대화재] "사실상 기후변화 소극적 대처가 낳은 인재"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약 4억 8000만 마리가 죽었다는 보도가 호주 언론을 통해 나왔다. 호주에만 사는 일부 동
식물
종은 멸종했다는 추정도 나오고 있다. 캥거루 한 마리가 5일 오전(현지시각) 호주 캔버라에서 연기가 피어오르는 수풀 앞을 뛰어가고 있다. 캔버라 EPA/연합뉴스 ... ...
[호주 대화재] "모든 걸 태운 뒤 바다에 닿아야 멈출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어려운 것”이라고 말했다. 이후 악순환도 계속된다. 강렬하게 솟아오른 불은 근처의
식물
과 나무들을 건조하게 만들고, 옮겨 붙기 쉬운 환경을 계속적으로 만들게 된다. 호주의 날씨도 영향을 미쳤다. 왓킨스 책임자는 “남극 대륙의 갑작스러운 성층권 온난화가 기후 조건을 바꿔 놓았다”며 ... ...
외계행성 '생체신호' 포착 새 기법 개발…생명체 탐색 탄력 기대
연합뉴스
l
2020.01.07
갖지않은 행성을 표현한 것이다. NASA/GSFC/프리드랜더-그리스월드 제공 지구에서 산소는
식물
이나 조류(藻類), 남세균(藍細菌) 등의 유기체가 광합성 과정에서 만들어낸다. 이 때문에 외계행성 대기 중 산소의 존재는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다는 '생체 신호'(biosignature)로 읽힌다. 이런 생체 신호를 ... ...
롤러블 TV 분수 쇼에 로봇 레스토랑…진화하는 LG CES 전시장
연합뉴스
l
2020.01.07
종류의 클로이가 공개됐다. 이밖에 LG전자가 CES에서 처음 공개하는 신개념 프리미엄
식물
재배기를 비롯한 AI DD모터를 탑재한 대용량 트윈워시, 크래프트 아이스를 만드는 인스타뷰 씽큐 냉장고 등도 전시됐다. ... ...
"생약 추출물 '에모딘' 유방암 항호르몬제 효과 떨어뜨려"
연합뉴스
l
2020.01.07
함께 사용하면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에모딘은 하수오 등의
식물
과 같은 자연물에 존재하는 성분이다. 보통 이런 자연물을 가공한 의약품인 생약 추출물로 쓰이며 건강식품, 영양제 등에 들어가 있다. 건국대병원 유방암센터 박경식 교수는 유방암 세포주(균일한 ... ...
변종잡초 잡는 국산 잔디제초제, 세계 최대 시장 美 진출 길 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추운 날씨에도 녹색을 유지해 온대부터 냉대까지 재배되는 한지형 잔디와 거의 같은
식물
계통이라 제초제를 이용해 제거하기가 매우 까다로워 효율적인 방제가 어려웠다. 한국에서 자라는 잔디는 겨울에 시들어 휴면에 드는 ‘난지형 잔디’로 새포아풀 방제가 그나마 가능했지만, 최근 이들 ... ...
중국 우한 폐렴환자 59명으로 늘어…시장판매용 야생동물서 유래 추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증상을 보인 사례가 있다. 질병관리본부의 역학조사 결과에 따르면 환자에게서 토양과
식물
에서 사는 방선균으로 추정되는 미생물이 발견됐다. 건물 내에서 사료 연구를 수행하며 여기서 자란 방선균이 환기 시스템을 타고 근무자들에게 확산한 사례였다. 당시 사람 간 전파는 나타나지 않았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생 식충
식물
의 사냥비결은 끝이 말리게 진화한 주머니
동아사이언스
l
2020.01.05
3일자에 실은 기고문을 통해 “특정 유전자들이 각 부분에서 다르게 발현하는 덕분에 한
식물
에서 편평한 잎과 주머니 모양 통발이 함께 자랄 수 있는 것”이라며 “열대통발기바가 물리적인 힘을 이용해 먹잇감을 사냥할 수 있도록 진화했음을 유전적인 수준에서 찾았다는 데 연구에 의미가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면역계 친구는 누가 있을까
2020.01.04
장유형(enterotype)으로 나뉜다. 고기나 지방을 많이 먹으면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가 많고,
식물
성 섬유질을 많이 먹으면 프레보텔라(Prevotella)가 많다. 루미노코쿠스가 많은 경우는 첫 번째 경우와 흡사했다. 박테로이데스가 비교적 적은 것만 달랐다. 어떤 것이 더 좋거나 더 나쁜 것은 아니다. ... ...
5700년 전 껌 화석의 주인은?
과학동아
l
2020.01.02
red complex)군 세균 3종과 폐렴구균 등 병원성 세균이 확인됐다. 껌 화석에 포함된 동물과
식물
의 DNA로 고대 인류의 식습관도 유추할 수 있다. 연구팀은 껌 화석에서 청둥오리와 헤이즐넛의 DNA를 찾아냈다. 이는 당시 사람들이 청둥오리와 헤이즐넛을 주식으로 삼았음을 보여주는 증거다. 슈뢰더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