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육지
대륙
땅거죽
지표
최고
땅
뉴스
"
지상
"(으)로 총 1,740건 검색되었습니다.
[뉴스페이스&뉴디펜스]우주 모빌리티와 새로운 우주무기의 가능성
2020.03.30
강철 비'가 내린다. 미국 민간우주회사 스페이스X가 개발 중인 재사용 로켓 스타십.
지상
에서 우주로 화물을 쏘아올리는데 드는 물류비를 1kg에 13달러 수준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스페이스X 제공 누리꾼이 지목한 '신이 던진 막대기'는 이 '게으른 개'를 우주궤도로 올려서 손가락 ... ...
지구 최악 '페름기 말기 대멸종' 육지-해양 멸절 시기 달라
연합뉴스
l
2020.03.30
미터의 침전물에서는 페름기의 대표적 양치류 종자식물인 '글로소프테리스'가 없어 이때
지상
에서 대멸종이 진행된 것으로 추정됐다. R.A. Gastaldo 제공 이 시기는 중국에서 페름기와 트라이아스기 경계에서 측정된 것보다 약 30만년가량 앞서는 것이다. 네브래스카대학 연구팀이 호주 대륙에 ... ...
일론 머스크, 스타십 새 모델 'SN3'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3.27
장착한 형태의 Mk1과 Mk2를 제작했다. 하지만 이후는 순탄치 않았다. Mk1은 지난해 11월
지상
테스트 도중 가스가 분출하는 사고를 겪었다. Mk1의 부품 중 일부가 하늘로 치솟기도 한 큰 사고였다. 이후 스타십의 시제품은 이름을 SN으로 바꿨다. 하지만 SN 스타십의 첫 시제품인 SN1도 지난달 28일 압력 ... ...
KSTAR, 플라스마 1억도 8초간 유지 성공…세계 최장 시간
동아사이언스
l
2020.03.16
5배로 대폭 연장했다. 핵융합은 연구팀은 태양에서 일어나는 수소핵 융합 과정을
지상
에서 재현해 에너지를 만드는 기술이다. 수소와 비슷하지만 핵 속 중성자의 수가 다른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이용한다. 이들 물질을 도넛 모양의 실험장치인 ‘토카막’ 내부에 가둔 뒤 가열해 이온과 ... ...
지옥처럼 펄펄 끓는 행성 밤이면 쇳물 같은 비가 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6
된 호수가 곳곳에 흩어져 있다. 이 메탄은 수시로 증발해 구름이 됐다가 다시 메탄 비로
지상
으로 내려온다. 천문학자들은 이 위성이 액체 유기물이 많은데다 기상 현상까지 발견되면서 물 대신 메탄을 이용하는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최근에는 토성의 또다른 위성 ... ...
올해 우주개발 사업에 6158억원 투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08
1호는 국토·자원 관리를 위해 과기정통부와 국토부가 공동 개발한 위성으로
지상
관측 및 변화 탐지, 도시계획, 지도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현재 1호, 2호, 4호가 개발 중이며 3호와 5호는 2021년 이후 개발된다. 2022년 7월로 예정된 한국 최초의 달 궤도선 발사를 위해 궤도선에 실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혁명과 뉴턴주의
2020.02.20
보여주는 사례라 할 만하다. 과학혁명은 천상을 향한 인간의 천체관 뿐만 아니라
지상
에서의 운동관도 바꾸었다. 물체 본성의 근원을 자연스럽게 찾아가는 본성적 운동과 접촉기동자가 작동해야만 하는 강제적 운동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관은 갈릴레오와 뉴턴의 운동관으로 대체되었다. 이 ... ...
환경·해양관측위성 '천리안 2B호',
지상
국과 첫 교신..."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환경·해양관측위성 '천리안 2B호'가
지상
국과 첫 교신에 성공해 발사가 성공됐다. ...
환경·해양관측 정지궤도위성 천리안2B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절차를 거친다. 위성에 탑재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작동하고 위성 초기화가 이뤄지면
지상
과 교신이 가능해지면서 발사 39분 뒤 호주 야사라가 관제소와 첫 교신을 하게 된다. 발사 후 약 1시간이 지나서는 태양을 바라보도록 태양전지판을 펼치는 과정을 거친다. 최재동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
천리안2B호 사업단장 "천리안1호 개발 때 서러움 다시 겪지 말자는 각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위성 전문가다. 1996년부터는 우주 3만 6000km 상공에서 지구와 같은 속도로 공전하며
지상
의 한 지점을 집중 관측하는 위성인 정지궤도위성의 개발을 주도해 왔다. 2018년 4월부터는 정지궤도복합위성사업단장을 맡아 그 해 말 역시 기아나우주센터에서 발사된 기상관측 정지궤도위성 천리안2A호와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