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무
부담
책무
담당
임무
가중
맡은이
뉴스
"
책임
"(으)로 총 5,668건 검색되었습니다.
돼지 심장 이식 영장류 100일째 생존…국내 최장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이종이식 수술 시대를 여는 포문을 열었다는 자체 평가도 이어졌다. 이번 사업의 총괄
책임
자인 윤익진 건국대병원 외과 교수는 “한국도 향후 3년 내에 인체 임상시대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번 연구 결과가 그 시발점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에서는 인간을 ... ...
500회 급속충전에도 멀쩡한 안정적인 전기차 배터리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통해 대면적 중대형 용량의 전지에도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발전시킬 계획이다. 최
책임
연구원은 “급속충전의 편리함과 리튬이온전지의 에너지밀도는 상충 관계처럼 여겨져 전기차의 대중화를 막는 원인 중 하나”라며 “이번 성과를 통해 급속충전에도 안정적인 고에너지밀도 리튬이온전지를 ... ...
KAIST, 국내 최대 규모의 첨단 양자팹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5차년도부터는 국내 최대 규모의 양자팹을 전면 개방해 운영하게 된다. 구축 사업
책임
을 맡은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는 “개방형 양자 공정 인프라는 산학연 연계를 통한 양자가치사슬의 출발점”이라며 “다양한 양자 플랫폼 구현에 필요한 공정을 연구하는 사용자의 관점에서 운영될 수 ... ...
과기정통부, 조직개편…미래에너지·대형연구시설 관련 부서 신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6
연구성과혁신관으로 개편된다. 연구성과혁신관은 공공기관 지정 해제로 자율과
책임
에 기반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혁신을 지원한다. 중소기업부, 교육부 등 관계부처와 협업해 딥사이언스 스타트업 창업, 대학-출연연 간 칸막이 해소 등 연구 성과가 경제·사회적 부가가치 창출로 이어질 수 ... ...
베이킹소다 성분 이용해 탄소를 유용한 물질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폴리우레탄 플라스틱을 개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라고 설명했다. 이
책임
연구원은 “고체화합물 생산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장기간 격리할 수 있는 기술이 경제성을 가질 수 있음을 입증했다”며 “이 기술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 계획 달성에 중요한 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 ...
경도인지장애 조기 진단 위한 바이오마커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3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한의학연구원은 김재욱 디지털임상연구부
책임
연구원 연구팀이 MCI 조기진단을 위한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찾아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두엽의 뇌파를 들여다볼 수 있는 전두엽2채널뇌파측정장치(EEG)를 활용해 MCI환자군 481명과 정상인지기능군1043명을 ... ...
과기노조 "R&D 예타 폐지, 오히려 카르텔 조장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5.22
대덕연구개발특구 전경. 동아사이언스DB 정부의 연구개발(R&D) 예비타당성조사(예타) 폐지 방침에 대해 과학기술 단체가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공공 ... 다시 한번 조롱하는 처사"라며 "진정 과학기술 분야 발전을 위한다면 예산 복원과 같은
책임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
기후변화 주범 이산화탄소, 항산화 물질로 재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4.05.22
활용된다. 연구팀은 관련 특허 등록을 마쳐 원천기술도 확보했다고 전했다. 이수연
책임
연구원은 "미생물전기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물질로 전환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다"며 "이번 연구결과는 높은 잠재력을 가진 '플랫폼 케미컬(다목적 화학물질)' 기술로, 온실가스 감축과 ... ...
'담배 표준유전체' 구축...식물 백신 연구 활성화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5.22
고분자량의 식물 핵 DNA 추출 방법을 고안해 유전체 해독 정확도를 높였다. 연구
책임
자인 신아영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향후 담배 식물의 개량을 통한 식물 합성생물학 기반 유용 단백질 및 물질 생산 증대 연구는 물론, 산업화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 ...
"혁신·도전 R&D 못하는 이유는 'PM' 권한 약하기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4.05.21
발제에 나선 최영진 한국연구재단 한계도전전략센터장은 "연구과제
책임
자(PI)와 연구
책임
자(PM)의 역할이 혼동되는 경우가 많은데 PI는 성공을 위한 PM의 동반자라는 인식 확산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PM에 대한 처우 개선도 동반돼야 한다는 의견도 이어졌다. 안준모 교수와 이날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