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보에 날개를 단 무선단말기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시작할 예정이다.이메일도 주고받는 문자 호출기기존의 호출기가 수신만 가능한
데
반해, 양방향 문자 통신 단말기는 SMS, 전자메일 등과 같은 텍스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방향 문자 통신 무선 단말기는 송수신이 가능한 문자 호출기라고 생각하면 일단 쉽게 이해할 수 있을 ... ...
색맹 병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사용하고 있다.전공이나 직업에 따라서 색각구별 능력의 필요성은 많은 차이를 보이는
데
비해 검사방법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 셈이다.최근에는 이 문제를 컴퓨터를 활용해 해결해보려는 시도도 있다.대한안과학회 전산정보위원장 이태원박사는 이시하라식 색신표와 ... ...
케플러와 그의 법칙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두번째 별 미자르를 보면 그 차이를 느껴볼 수 있다.바로 옆에 알코르라는 별이 붙어있는
데
눈이 안좋은 사람은 두 별을 구별하기 힘들다.고대 로마에서는 군인을 뽑을 때 시력을 검사하는 별로 썼다고 한다.미자르와 알코르 사이의 각거리는 11´48˝이다.또 미자르와 약8´거리에 있는 7.5등급의 별은 ... ...
Ⅳ. 우주의 시작과 끝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더욱 멀리 있는 천체를 봄으로써 은하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진화해오는가를 연구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파장 영역이기 때문이다.적외선을 이용함으로써 행성계와 생명체 탄생의 열쇠를 쥐고 있는 별 탄생 과정도 효율적으로 관측할 수 있다.적외선 파장 영역은 지상에서 관측이 거의 불가능하기 ... ...
사이펀 타이머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왜그럴까?사이펀이란 용기를 기울이지 않고 액체를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옮기는
데
사용하는 구부러진 관을 부르는 이름이다. 높은 곳의 물이 낮은 곳으로 내려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사이펀에서는 그냥 높은 곳의 물이 낮은 곳으로 내려오는 것이 아니라 더 높은 곳을 지나서 낮은 ... ...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던지는 법적 쟁점8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구별할 수 있다. 전자는 후자와는 달리 완벽한 치료가 가능하고 태아의 낙태를 방지하는
데
효과가 있다. 그러나 배아단계에서의 유전자치료는 인간특성의 선호와 개량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우량인간을 위한 유전자조작은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 없다고 해야 한다.7.체세포치료유전적 결함이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맞춰 같은 방향으로 조금씩 힘을 주면 점차 흔들림이 커진다.이것을 공명이라고 하는
데
, 그네를 탈 때 주기에 맞춰 밀어주면 그네의 흔들림이 점차 커지는 것과 같은 원리다줄 끊기 관성실험사과의 위와 아래에 가는 실을 묶고,위와 아래 중 관객이 지정한 한쪽의 실만 끊어보자.왜그럴까?실을 ... ...
보현산의 맥가이버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퇴근한다. 낮에는 천문대의 업무를 보거나, 연구보고서를 작성하거나, 자신이 정리한
데
이터를 이용해 논문을 쓴다. 그리고 저녁때는 퇴근한다. 결혼한 사람들은 인근 도시인 영천에 집을 두고 출퇴근한다. 대전이나 서울에 집이 있는 사람들은 영천에 기숙사가 따로 마련돼 있어 이곳에서 출퇴근 ... ...
모차르트 음악이 아름다운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벌이고 있다.음악 교육의 필요성이 사회적인 이슈가 되자, 지난 5월 미국 뉴욕과학아카
데
미에서는 ‘음악이 두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재단’(The Biological Foundations of Music)을 설립하여 음악이 두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에 들어가기로 했다. 그들은 사람의 뇌가 어떤 방식으로 ... ...
한국의 공룡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곳은 1969년 서울대 김봉균 교수가 마산시 북쪽 12km 지점에서 관찰한 함안층이다. 그런
데
당시에는 그 발견이 가지는 중요성에 대해 알지 못했다.현재 경상누층군에서 발견되고 있는 다양한 새발자국은 학술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후기 쥐라기에 시조새가 처음 출현한 후, 백악기 새의 골격화석은 ... ...
이전
971
972
973
974
975
976
977
978
9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