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칙"(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왕좌의 게임 속 끝나지 않는 겨울의 비밀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적색왜성의 무게중심을 공전한다. 공전 중에 행성은 중력 섭동 때문에 자전축이 불규칙하게 움직인다. 또 케플러-413b는 공전을 잠깐 멈추기도 했다. 연구팀이 관측을 시작한 후 처음 세 번은 공전을 하더니, 이어 800일 동안은 제자리에 멈춰 있기도 했다. 이후에는 다시 멀쩡히 공전을 했다. ... ...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생겨도 연결된 다른 알고리즘을 찾아 해결하거나, 비슷한 데이터들을 찾아 새로운 규칙을 만들어 처리할 수 있답니다.연구팀은 이 기계에 뽀로로 만화영화 1232분에 해당하는 영상과 영어자막을 넣었어요. 이후 연구팀이 특정 캐릭터의 성격이 드러나는 대사를 입력했더니, 그 캐릭터를 찾아 보여 ... ...
- [생활] 도전과 재미가 무한대로 발산한다 용인외대부고 큐이디(Q.E.D.)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수리논술을 함께 연습한다. 논술을 할 때는 절대 모범답안을 보지 않고 글을 써야 한다는 규칙을 정했다. 선생님 없이 논술을 하면 전문성이 떨어지지 않을까 하는 걱정에 학생들은 “선생님 풀이를 듣는 것보다 친구들과 고민하고 발표해 보는 게 문제를 이해하기도 쉽고 유익하다”는 발칙한(?) ... ...
- [과학뉴스] 파킨슨병 조기검진, 스마트폰·컴퓨터만 있으면 OK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알아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파킨슨 병 환자가 자판을 누르는 패턴이 불규칙하다는 데 착안했다. 정상인은 눌렀다 뗄 때 걸리는 시간이 일정한 반면, 파킨슨병 환자는 0.1초 정도씩 오차가 생겼다.비슷한 방법으로 미국 IT기업 애플에서도 지난 3월 파킨슨 병을 간단히 진단할 수 있는 ... ...
- Part ➊ 건강한 경쟁이 건강한 숲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L-시스템이라는 프로그램은 일정한 길이가 되면 가지가 두 개로 갈라진다는 간단한 규칙만으로 훌륭한 나무를 컴퓨터 속에 만들어낸다. 이 프로그램은 나무의 성장을 재현하는 알고리즘과 프랙탈 원리를 이용한다. 처음 이 프로그램을 설계한 사람은 헝가리의 생물학자 애리스티드 린덴마이어다. ... ...
- [생활] 미디어아트팀, 태싯그룹 새로운 소리를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소리뿐만 아니라 이 소리를 시각적으로 보여 주는 데도 수학이 쓰인다.“수학적인 규칙을 이용해서 어떤 개체의 좌표 값마다 각각 다른 소리를 대입시켜놓고 그 개체를 움직여 보는 거예요. 예를 들어, 어떤 개체가 움직이고 있는데 이 개체가 벽에 부딪쳤을 때 반대 방향으로 튕겨나가게 하려면 ... ...
- [참여] 튼튼한 공간 설계하기! 조아저씨의 건축창의체험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중 어떤 정다면체가 튼튼하고, 어떤 정다면체가 튼튼하지 않은지 가려 보도록 했다. 어떤 규칙이 있는 듯 보였지만, 독자기자들은 쉽게 답하지 못했다.조 건축사는 빨대로 삼각형과 사각형을 만들어 보였다.“지금 우리가 들어와 있는 이 건물도 사각형으로 이뤄져 있죠? 사각형은 옆에서 밀면 ... ...
- 컴컴한 눈 대신 마음으로 연구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연습을 한다.시각장애 학생에게 함수나 방정식, 행렬은 특히 어려운 분야다. 일정한 규칙이나 연관성이 전혀 없는 알파벳과 숫자가 잔뜩 나오기 때문이다. 이날 삼차방정식 수업에서도 수많은 식을 적는 대신 무조건 외워야 했다.안승준 교사는 수업 내내 방정식을 외우는 훈련을 시켰다. 예를 들어 ... ...
- 스페인 호빵장인 ‘레알 파시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호빵 한 판을 보여 주며 말했다.“내가 만든 호빵 모양의 규칙을 한번 잘 찾아보게. 그 규칙에 맞게 자네도 호빵 한판을 만들면 되네. 후계자가 되려면 이 정도 눈썰미는 있어야 하지 않겠나?”미션4 호빵장인의 표식을 찾아라!밀가루 범벅이 된 끝에 호빵 한 판을 만든 썰렁홈즈. 자신이 만든 호빵을 ... ...
- [Hot Issue] 올해 벚꽃, 제 날짜에 필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우리나라 기상청은 전국 73개 기상관서에서 매년 생물계절을 관측한다. 동식물 성장의 규칙성은 물론 예외적인 환경변화가 있을 때 보이는 변동성도 연구한다. 이런 데이터가 쌓이면 기온 변화에 따라 식물이 언제 꽃을 피울지역으로 알 수 있다. 이런 방법론을 ‘생물계절모형’이라고 부른다.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