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용"(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슬기로운 디지털 발자국 관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2. 기록해도 좋은 디지털 발자국과 아닌 발자국을 구분해 보세요.디지털 발자국을 활용해 나의 디지털 생활을 더 흥미롭게 만들 수 있는 것이 있어요. 반대로 나의 개인정보를 광고에 이용하거나 나의 디지털 평판을 나쁘게 만드는 것도 있으니 구분해 보세요.3. 소셜미디어 속 검색 및 활동 기록을 ... ...
-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쓰레기통에 버렸으면 좋겠어요. 플라스틱 일기플라스틱 컵과 마스크 줄의 재활용주시형 기자 사용한 플라스틱 컵과 사용하지 않는 마스크 줄로 화분을 만들었어요. 제가 만든 화분을 걸어두고 감상하니 정말 뿌듯했어요. 플라스틱 일기예쁜 꽃병!한주연 기자저는 플라스틱 일기를 꾸준히 ... ...
- [기획] 세상에서 가장 유쾌한 과학 시상식 상금은 100조 달러(?), 트로피는 DIY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연구해 생태학상을 받은 스페인 연구팀은 이 결과가 전염병이나 폐기물 관리 등에 활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1971년, 미국 해군 예비역인 존 멀리넌 중령은 잠수함 내 바퀴벌레 수를 줄이는 덴 사람에게 해로운 산화에틸렌 대신, 디클로르보스라는 살충제가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를 발표했다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건축가 ‘빌더’로 더 멋지게, 화려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활용되는 ‘블록 채우기’ 명령보다 더 먼 곳까지 블록을 놓을 수 있죠. 이런 장점을 활용해 직각 나선형이 반복되는 모양의 달팽이 등껍질을 건축해 봐요. ➊ 코드작성기에 채팅명령어를 ‘4’로 약속하고, ‘+’를 눌러 변수 ‘num1’을 추가하세요.➋ ‘빌더 텔레포트’ 명령블록을 가져와 ... ...
- [이달의 과학사] 1958년10월18일 최초의 비디오 게임, 나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최초의 비디오 게임은 언제 나왔을까요? 1940년대 말, 당시 군사용으로 쓰이던 컴퓨터를 활용해 체스 같은 게임을 만들 수 있다는 발상이 나왔어요. 하지만 이때의 게임은 오락용보다는 교육이나 연구용이었고, 아이디어 단계에 머물러 있었지요.●비디오 게임 : 컴퓨터나 게임기 같은 전자기기와 ... ...
- [마인크래프트] 나만의 마법 무기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다양한 아이템이 있어요. 아이템을 활용해서 자원을 채굴하거나 몹을 잡으며 생존하지요. 오늘은 다양한 마법 효과를 아이템에 적용하여 나만의 강력한 무기를 만들어 볼게요. 첫 번째 마법 무기 만들기마인크래프트에는 라이트닝 볼트, 송곳니, 눈덩이와 같은 마법 효과가 있어요. 이런 효과는 ... ...
- [과학 뉴스] 디스플레이, 이제 종이처럼 접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접을 수 있는 QLED 개발을 위해 레이저로 QLED 표면의 원하는 부분만 깎아내는 방법을 활용했어요. 이를 통해 깎인 부분은 주변보다 두께가 얇아져 힘이 가해지면 쉽게 변형이 일어나요. 종이접기로 치면 일종의 ‘접는 선’을 만든 거예요.이렇게 정밀히 깎은 QLED 덕분에 디스플레이를 반듯하게 접을 ... ...
- [특집] 달 얼음 깨기 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무거워 지구에서 달까지 운반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듭니다. 이런 탓에 달에 있는 얼음을 활용하려고 하는 거죠.문제는 달의 얼음이 ‘레골리스’라고 불리는 달의 흙먼지에 뒤섞여 있다는 거예요. NASA는 달에서 레골리스를 채취하고, 레골리스 속 물만 분리해내기 위해 아이디어를 공모하게 된 겁니다 ... ...
-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실수로 화분을 깨셨어요.마침 쓰지 않는 장난감이 화분 크기에 딱 맞아서 재활용했어요~. 줍깅탐사집게 들고 줍깅 박찬서 기자공원, 아파트 단지, 도로 등에서 줍깅을 했어요.마스크, 종이컵, 나무젓가락 등 다양한 쓰레기를 주웠어요.앞으로도 줍깅을 열심히 해서 깨끗한 환경을 만들 거예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할로윈 특집 우리 집 부엌에 귀신이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서열이 1996년에 발표됐죠. 또, 2001년부터 2013년까지 노벨상을 받은 연구 4개가 이스트를 활용한 것이었어요. 주로 질병에 관한 과학 연구죠. 예컨대 2001년 노벨상을 받은 연구는 인간에게 암을 일으키는 유전자 돌연변이 일부를 이스트를 통해 알아냈답니다. 도전! 섭섭박사실험왕! 이호정(hochi57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