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적
훈공
공
성공
보람
수훈
한길
뉴스
"
공로
"(으)로 총 1,052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라이팬과 휴대전화의 공통점은?
2014.12.12
이스라엘 테크니온공대 교수가 발견한 준결정의 원리가 숨어 있다. 셰흐트만 교수는 이
공로
로 201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거실로 옮겨가면 휴대전화가 눈에 들어온다. 트랜지스터와 발광다이오드(LED), 전자결합소자(CCD) 카메라 등이 집결된 휴대전화에는 무려 21명의 노벨상 수상자의 업적이 ... ...
탱크와 헬기 싣고 적진 돌격… 한국형 새 ‘상륙함’ 취역
동아사이언스
l
2014.11.30
명이다. 함대함유도탄 등 국내 개발된 무기체계를 탑재하고 있다. 고(故) 이병철 상사의
공로
를 기리고자 유도탄고속함 17번함을 이병철함으로 이름붙였다. ... ...
[사이언스 브리핑] 전기硏, 펨토초 레이저 광원 기술 이전 外
2014.11.26
넘는 논문을 발표하는 등 광통신과 광센서 분야에 응용되는 광소자 기술 개발에 대한
공로
를 인정받았다. ■ KAIST는 내년 2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되는 ‘국제 고체 회로 학술회의(ISSCC)’에서 13편의 논문을 발표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ISSCC에 참석하는 전 세계 대학과 기업, 연구기관을 ... ...
이현경 동아사이언스 기자, 송곡과학기자상 수상
동아일보
l
2014.11.25
뉴스와 깊이 있는 과학기술 분석 기사를 수시로 보도해 과학 선진화와 대중화에 기여한
공로
를 인정받았다. 시상식은 28일 오후 6시 반 서울 중구 세종대로 코리아나호텔에서 열린다.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스키니진 ... ...
2014 노벨화학상 수상자 에릭 베치그 교수의 새 작품은?
2014.10.26
실험실에서 촬영한 영상이 장식했다. 베치그 박사는 레이저를 이용한 현미경을 개발한
공로
로 노벨상의 영광을 안았다. 베치그 교수팀은 해초를 뭉친 것 같은 물질을 찍었다. 형광 빛을 내뿜어 신비롭게 느껴지는 이 물질은 사실 제브라피시의 배아 뇌 속 신경세포(뉴런)다. 보통 현미경으로 이런 ... ...
[사이언스 브리핑] 김상연 과학동아 편집장 ‘제48회 한국잡지언론상’ 기자부문 수상자 선정 外
2014.10.24
독자들과 직접 소통하는 과학 토크 콘서트를 기획해 국내 과학 저널리즘 발전에 기여한
공로
를 인정받았다. 시상식은 ‘제49회 잡지의 날’ 기념식이 열리는 이달 31일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다. ■이분열 아주대 분자기술학과 교수팀은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친환경 ... ...
“반도체를 뇌에 꽂자는 아이디어 덕에 노벨상까지 받았네요”
2014.10.21
1971년 뇌가 장소를 인지해 다른 장소를 찾아갈 수 있게 만드는 ‘장소세포’를 찾아낸
공로
로 올해 노벨상을 거머쥐었다. 당시 상황에 대해 그는 “마침 트랜지스터가 개발됐을 때였다”며 “쥐의 뇌에 트랜지스터를 부착하면 쥐의 행동과 뇌의 활동을 연결지어 관찰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자세히 다뤘다. 대중들도 알기 쉬운 ‘뇌 GPS’로 비유되는 격자세포(grid cell)를 발견한
공로
로 수상한 이들 부부는 1983년 노르웨이 오슬로대에서 처음 만나 2년 뒤 일찌감치 결혼했다. 남편 에드바르드(Edvard Moser)는 1962년 생, 아내 마이브리트(May-Britt)는 한 살 아래인 1963년 생이다. 2014 노벨 ... ...
[2014 노벨 화학상] 빛의 한계 뛰어 넘은 과학자 3명 공동 수상
2014.10.09
“초고해상도 형광현미경을 개발해 살아있는 세포를 분자 수준에서 관찰할 수 있게 만든
공로
가 인정받았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화학자들의 오랜 꿈은 살아 있는 세포의 작동을 생생하게 관찰하는 일이다. 하지만 광학현미경에서는 빛의 회절한계 때문에 해상도가 0.2μm(마이크로미터· ... ...
[2014 노벨 생리의학상] ‘뇌 속 GPS’ 발견한 뇌 신경과학자들 수상
2014.10.07
뇌가 장소를 인지해 다른 장소로 찾아갈 수 있게 만드는 ‘장소세포(place cell)’를 찾아낸
공로
를 높이 평가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미국 태생으로 미국 국적뿐 아니라 영국 시민권도 있는 오키프 교수는 1971년 뇌 속 해마에 존재하는 장소세포가 현재 위치를 기억할 수 있게 한다는 사실을 처음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