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미
manh
mann
MAN
뉴스
"
만
"(으)로 총 21,584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do감] 뗏목 타고 태평양 8000km 횡단한 피지섬 이구아나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먹이와 물 없이 지내는 데 익숙하다. 사막 이구아나의 겨울잠 기간은 3~4개월이다.
만
일 이구아나가 탄 뗏목이 뿌리째 뽑힌 나무로 이뤄졌다면 뗏목 자체가 먹이를 제공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스카페타 교수는 "사이클론 등이 이구아나 무리와 알이 있는 나무를 쓰러뜨린 후 나무가 해류를 타고 ... ...
中, '미니 위성' 이용해 1
만
2900km 거리서 양자통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일부 국가의 금융기관과 정부 기관은 광섬유를 통해 QKD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하지
만
광섬유는 신호가 거리를 따라 감쇠되는 물리적 한계가 있으며 수백 킬로미터 이상에서는 효율이 크게 떨어진다. 이에 학계에선 위성을 통한 양자 통신에 주목하고 있다. 위성은 광자가 대기 중을 통과할 때의 ... ...
"우주 팽창시키는 암흑에너지, 점점 줄어…표준모형 수정해야 할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암흑에너지가 상수라는 기존 이론을 완전히 배제하기에는 충분치 않다고 본다. 하지
만
DESI 프로젝트 계획에 따라 7년간 데이터를 축적한다면 결론을 바꿀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주의 기원과 역사를 밝혀낼 천문 데이터는 2023년 발사된 유럽우주국(ESA)의 유클리드 우주망원경과 올해 가동 ... ...
유리창에 투명필름 붙여 전파 투과율↑…비싼 중계기 없이 실내통신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양이 많아진다. 상용화되면 건물 유리창에 필름을 붙이는 것
만
으로 전파가 잘 도달하지 않는 실내 음영지역을 없애고 중계기 없이도 데이터 전송 송도를 유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기술은 일반 유리뿐 아니라 전파 감쇄가 심한 코팅·열차단 유리에서도 ... ...
한국서 첫 발견 '슈퍼곰팡이'…중국 연구팀이 돌파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상용화될 경우 병원 내 감염 대응 체계에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진은
만
디마이신의 안전성과 유효성 평가를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다. 신약 개발을 위한 전임상 단계를 마친 뒤 임상시험에 착수할 계획이다. - doi.org/10.1038/s41586-025-08678- ... ...
이창윤 과기 차관·출연연 "美 민감국가 지정, 협력에 아직 지장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협력을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언론에서 우려가 커 보이지
만
당장 우리 분야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본다"며 "에너지부와 직접 소통하면서도 같은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고 말했다. C출연연 부원장은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와 협력을 하지 않고 미국의 대학이나 ... ...
"원자력발전소, 韓 최대 강점은 건설 시간 준수와 강력한 공급망"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규제 체계를 전면 재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현행 규제 체계 중 불필요하거나 다듬을
만
한 부분이 없는지 살펴보고 있다는 뜻이다. SMR 규제 분야 협력에서는 모범 사례 공유가 가장 핵심이라는 설명이다. 국내 원자력규제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달 국산 SMR 개발에 발맞춰 SMR 관련 심사 ... ...
대학·출연연 인력·처우·정년 칸막이 허문다…2045년까지 우주인재 3
만
명 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대한민국 정부 로고. 대한민국 정부 제공 정부가 우주분야 인재 배출 수를 기존 연간 300명에서 1500명까지 늘려 2045년까지 3
만
명의 우주 인재를 양성 ... 며 "5대 우주강국 도약을 위한 인재양성 전주기 선순환 체계를 통해 한국의 발전적인 미래를
만
들어 나가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매머드 털 가진 털북숭이 생쥐의 진실
2025.03.19
어떤 말을 했을까 싶다. 그리고 생쥐 털 변이 유전자를 여럿 조합해 털북숭이 생쥐를
만
든 게 앞으로 아시아코끼리의 털 관련 유전자를 매머드형으로 바꿨을 때 성공하리라는 보장이 될 수 있을까. 한편 매머드형으로 바꾼 지질 대사 관련 Fabp2 유전자도 생쥐에서는 별 힘을 쓰지 못하는 것 같다. ... ...
"빛으로 뉴런 조작해 정신질환 치료…뇌 전극 삽입 뉴럴링크와는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다이서로스 교수에게는 기초의학부문 수상자에게 주어지는 상금 상금 25
만
달러(약 3억6000
만
원)가 수여됐다. 한국에 수차례 방문했다고 말한 다이서로스 교수는 한국과도 깊은 인연을 이어오고 있다. 그가 양성한 한국 출신 연구자는 80여 명에 이르며 현재 서울대, 미국메사추세츠공대(MIT) 등 세계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