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뉴스
"
장치
"(으)로 총 4,191건 검색되었습니다.
은하 중심부로 지구좌표 담긴 메시지 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9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런 이유로 외계생명체와 접촉하려는 진지한 시도라기보다 첨단
장치
와 기술을 시연하는 것이 진짜 목적이라 보는 시각도 있다. 공개된 계획을 보면 새로 보낼 메시지는 아레시보 메시지와 내용과 전송 대상, 전송 방법 등 대부분 측면에서 유사하다. 연구팀 역시 아레시보 ... ...
중국 우주인 3명 6개월만에 지구로 귀환 "연내 우주정거장 완공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2.04.18
구축 중인 우주정거장 톈궁 건설을 위해 우주에서 핵심 기술 시험과 건설에 필요한 각종
장치
설치 등을 진행해왔다. 톈허를 통해 밖으로 나와 우주 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등 우주유영도 두 차례 수행했다. 왕야핑은 중국 첫 우주선 밖 임무를 수행한 여성 우주비행사로 기록됐다. 톈궁은 길이 37m, ... ...
[표지로 읽는 과학]유리를 인쇄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7
폴리머를 더 빠르고 기하학적 자유도가 높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은 잠재적으로 새로운
장치
기능을 만들거나 저렴한 제품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 ...
1g 소재만 써도 2cm 두께 벽돌 부수는 구동
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4.15
게재했다고 밝혔다. 소프트 액추에이터는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재료로 만든 구동
장치
로 소프트 로봇이 움직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소프트 액추에이터에 사용되는 여러 신축성 재료 중에서도 하이드로겔을 사용한 것이 소프트젤 액추에이터다. 하이드로겔은 인체에도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 ...
누리호 3단 새 설계 적용한 산화제탱크 시험 완료…2개월 뒤 '재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2.04.15
때 지상에서의 중력의 4.3배 가속도가 발생하는데 이때 커지는 부력을 고려하지 않고 고정
장치
를 설계한 탓이다. 항우연은 이후 고정지지부가 최대 가속도의 1.5배까지 견딜 수 있도록 고정지지부의 설계를 변경했다. 앞서는 마찰력에 의해 탱크가 이탈하지 않도록 견디는 구조였다면 이번에는 ... ...
'열광전지 효율 40% 달성' 상용화만 남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4
상용화 기준을 처음으로 넘긴 것이다. 연구팀은 또 이 열광전지가 사용하면, 전력저장
장치
운영 비용의 10분의 1만 들 것으로 추정했다. 단 이번에 만든 열광전지는 약 1㎠라, 이를 최대 900㎡까지는 크게 만들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아세군 헨리 MIT 기계공학부 교수는 ““열광전지는 안전하고 ... ...
ESA "달 탐사 협력 중단" 러시아와 결별
동아사이언스
l
2022.04.14
CEO)는 텔레그램에 ESA의 달 탐사 협력 중단 발표에 대해 “우리는 우리 우주선에서 그들의
장치
를 제거할 것이다. 속이 시원하다”이라고 말했다. 드미트리 스트루고베츠 로스코스모스 대변인은 “ESA가 개발하려던 탑재체는 우리가 대체품을 제작할 수 있다”며 “협력 중단은 러시아의 달 탐사 임무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11) 누리호의 하늘길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3
0년 이상 쌓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소형위성 발사체는 물론 자율주행차, UAM에 적용할 항법
장치
상용화에 나섰다”며 “해외에서도 실력을 인정받는 우주항공 전문회사로 도약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 ...
버려진 쌀겨로 친환경 퀀텀닷 LED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3
그 위에는 실리콘 퀀텀닷을 깔았다. 퀀텀닷은 콜로이드 용액 형태로 만든 뒤, 기계
장치
제조 시 용액을 부어 결정화시키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그 위에 음극 역할을 할 알루미늄 필름을 덮어 LED 조명을 완성했다. 사이토 켄이치 일본 히로시마대 화학과 교수는 “버리는 쌀겨로 만든 ... ...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에 반도체 전문가 이종호 서울대 교수(종합)
2022.04.10
되는데 큰 기여를 했으며 중앙처리
장치
(CPU),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그래픽처리
장치
(GPU) 등의 양산에 표준이 됐다. 현재 국내외 비메모리 반도체는 핀펫 기술을 활용해 10나노와 7나노 소자 공정까지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이 후보자가 원광대 재직 당시 KAIST와 공동개발한 반도체 기술은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