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성교
면밀한 솜씨
섹스
가훈
가정교훈
그리스정교
뉴스
"
정교
"(으)로 총 1,173건 검색되었습니다.
줄기세포 주사와 줄기세포 성형 어떤 점이 다를까
2016.11.20
원리다. 부작용도 있다. 요시무라 교수는 최근 논문에서 가슴성형을 할 때 줄기세포를
정교
하게 주입하지 못하면 지방세포가 3mm 이상 뭉쳐 낭종(물혹)이 생기면서 지방세포가 괴사한다고 밝혔다. 이 경우 염증세포가 몰려들어 붓기가 생기고, 석회화가 진행되기도 한다. 줄기세포를 많이 얻기 위해 ... ...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
과학동아
l
2016.11.09
데 성공했다. 영국 사우스햄튼대 전자컴퓨터과학과 알렉스 서브 교수팀은 뇌의 복잡하고
정교
한 네트워크를 흉내 내는 데 금속산화물 ‘멤리스터’를 이용했다. 멤리스터는 ‘메모리(memory)’와 ‘저항(resistor)’의 합성어다. 입력된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나노미터 크기의 비활성 메모리 칩이며 ... ...
수학, 잠든 그림에 숨결을 넣다
수학동아
l
2016.11.06
잉그리드 도브시 교수팀이 복원한 ‘세인트 존’. 아홉 개의 그림으로 구성돼 있다. - NC Museum of Art 제공 그림도 늙습니다. 시간이 흐르면 색이 바래지 ... 학습 알고리즘을 만들어 이 둘을 구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 새로운 방법은 앞으로 더욱
정교
한 복원 작업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이렇게 작동한다”
2016.11.02
원리를 분자 수준에서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은 DNA 일부를
정교
하게 잘라 붙일 수 있어 유전병 치료 등에 쓸 수 있다. 그러나 이 기술로 유전자를 자르고 붙일 때 분자 수준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었다. 서울대 제공 김성근 서울대 화학부 교수 ... ...
에이즈 전파 경로 살펴보니… 카리브해 지역 건너왔다
2016.10.27
해석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에이즈 확산 경로를 예측한 이번 연구 결과는 앞으로 더
정교
한 치료법 개발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워로베이 교수는 “이번 연구에 쓰인 기술은 지카바이러스(ZIKV) 등 다른 바이러스를 분석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우리는 보노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할까?
2016.10.25
비율이 15~30%까지 이른 것도 숱한 전쟁과 독재, 무법천지의 결과다. 그 뒤 국가체계가
정교
해지고 법치가 확립되면서 비율이 떨어졌지만 지금도 지구촌 수십 곳에서 분쟁이 벌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현실적으로 보노보의 전략을 택할 수 없는 인류로서는 어떤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을까. 드 발 ... ...
날아가는 용이 촬영되었다? 네티즌 화제
2016.10.24
영화 속의 용과 너무 닮아서 오히려 의심스럽다고 말하는 네티즌들도 있다. 조작 또는
정교
한 합성의 결과물일 것이라는 추정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많았고 산소는 별로 없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를 붙잡는 루비스코 단백질은 구조가
정교
할 필요가 없었고 따라서 산소도 붙잡게 됐다. 그런데 대기 중의 산소가 늘어나고 이산화탄소가 줄기 시작하면서 문제가 생겼다. 즉 이산화탄소 대신 산소를 붙잡는 비율이 높아지면서 광합성 효율이 떨어졌기 ... ...
섬세한 근육을 자랑하는 여성 ‘화제’
2016.10.14
특별하다. 근육이 아주 섬세하게 발달해있다. 근육의 크기나 파워로 인정받는 게 아니라,
정교
한 근육으로 세상을 감탄하게 만든다. 화제의 여성은 미국 보디빌더 카산드라 마틴. 그녀는 체육관에서는 슈렉처럼 운동한다고 말한다. 저 근육을 만들고 유지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쏟는다는 말이 될 ... ...
로봇의 도전, 가장 사람다운 표정 만들기
과학동아
l
2016.10.04
로봇인지 구분하려면 찬찬히 들여다봐야 한다. - Osaka University 제공 2010년에는 훨씬 더
정교
한 여성 로봇 ‘제미노이드 F’가 탄생했다. 제미노이드 F는 기쁨과 슬픔, 난처함, 화남 등 이전에 만든 제미노이드보다 표정이 훨씬 풍부하다. 훨씬 다양한 표정을 지을 수 있는 비결은 얼굴 근육을 흉내 낸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