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행
항해
국제금융공사
공사
국제
금융
국제민간항공기구
스페셜
"
항공
"(으)로 총 1,53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제 쪼개기,코로나 데이터 관리는 방만, 재난엔 깜깜이 위성…과방위 국감 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난 12지역 중 3지역만 우연히 찍혔고 그마저도 구름밖에 없는 영상이라고 지적하며 “한국
항공
우주연구원에 확인해보니 요청이 없어 활용하지 않았다 하고 국립방재연구원은 요청했는데 한 달간 영상이 오지 않더라고 한다”며 “국민 세금을 쓰고도 재해재난에 전혀 활용되지 않는 ... ...
[2020 국감] 과기정통부·과기원 주요 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개발 과정에서 불거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프로젝트를 진행한 한국
항공
우주연구원 내부의 갈등과 과기정통부의 리더십이 도마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달 25일 이상률 항우연 달탐사사업단장은 “개발 기간 내내 단 한 번도 목표 중량을 맞춘 적이 없고, 아무도 일정을 ... ...
항공
종사자 방사선 안전 나몰라라…1년간 엉터리 정보 제공하고도 까맣게 모른 부처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6
SAFE의 우주 방사선량 정보에 근거해 안전을 관리했는지 여부조차 의심스러운 상황이다.
항공
사의 피폭량 보고와 실태조사에 대한 소관을 가지고 있는 국토교통부도 마찬가지다. ... ...
노벨생리의학상 만성 간 질환 유발하는 간염과 전쟁 공헌한 바이러스학자들 수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1960년대에 바루크 블럼버그 박사가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교수가 처음 발견했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 우주생물학연구소장을 역임한 블럼버그 박사는 B형 간염 연구로 197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당시 미국 국립보건원(NIH) 연구원이었던 하비 올터 부소장은 B형 간염 바이러스 혈액 ... ...
[정필모 의원] "인하대 NASA 공동연구 끝났는데 연구비 받아"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의원. 의원실 제공. 인하대가 미국
항공
우주국(NASA)과 공동연구가 중단됐는데도 연구를 명분으로 정부로부터 부당하게 연구비를 지원받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정필모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5일 인하대가 NASA와의 공동연구가 지난해 중단됐으나 여전히 NASA ... ...
'강하고 전기 잘 통하는 입체 그래핀 제조' 난제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제공 연구팀은 새로운 복합체가 기존의 그래핀과 흑연 소재로 만들기 어려웠던 초경량
항공
소재와 휘어지는 전자소자 등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 현재 일본 도레이 등 탄소섬유를 제조하는 기업이 사용하는 고온 공정과 같은 공정을 사용해 향후 대량생산에도 효과적으로 ... ...
달은 거대한 충돌로 생겨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1
가장 유력한 이론으로 꼽힌다. 근거는 달에서 가져온 월석(月石)이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은 1969년 아폴로 11호가 우주인을 태우고 달 착륙에 성공한 이후 1972년 아폴로 17호가 마지막 아폴로 임무를 완수할 때까지 아폴로가 지구에 돌아올 때마다 월석 샘플을 가져오게 했다. 그리고 월석의 성분을 ... ...
화성 남극 지하에 거대한 소금물 호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9
존재하는데, 화성의 물이 계절 변화에 따라 화성 밖으로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 제공 화성 남극 지역 얼음층 지하에 액체 상태의 소금물이 채워진 대규모 호수가 존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향후 진행되는 화성 탐사에서 생명체의 흔적을 발견할 기대감을 높였다. ... ...
유럽의 행성망원경 '키옵스' 첫 관측물은 3200도의 타원형 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첫 외계행성 우주망원경우로 지난해 12월 발사됐다. 키옵스는 외계 행성을 찾아내는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행성사냥꾼 테스(TESS) 같은 위성과 달리 이미 알려진 행성을 정밀 분석해 특징을 찾아내는 임무를 갖고 있다. WASP-189b는 영국의 광역행성추적(WASP) 프로젝트에서 발견된 천체 중 하나다. WASP- ... ...
타이타닉호를 침몰로 몰고 간 건 '천문현상'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나섰던 영국 선박 발틱 호의 항해사도 “통신이 이상했다”는 기록을 남겼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는 이달 16일 태양 활동이 2025년 7월까지 최고조에 이르게 되면서 이런 통신 장애는 앞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타이타닉호의 침몰 원인을 천문현상에서 찾는 연구는 2012년에도 있었다. 미국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