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70억 인류 정말 한가족일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사라졌기 때문에 일단 문제를 접어두고, 오늘날의 현생인류로 돌아와 보겠습니다. 1980년대에 인류학계의 맞수였던 영국 자연사 박물관의 크리스토퍼 스트링거 박사와 미국 미시건대의 밀포드 월포프 교수는 현생인류의 정의를 놓고 논쟁을 벌였습니다. 스트링거 박사는 현생인류에 대한 정확한 ... ...
- 환자의 가슴과 배를 열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처치를 받은 흔적이 남아 있다. 음경의 포피를 자르는 할례술 역시 외과술의 일종이다.3800년 전 최초의 외과의사 기록기록에 남아있는 최초의 외과의사는 기원전 18세기 바빌로니아를 다스렸던 함무라비왕의 법전에서 발견된다. 이 법전에 따르면 의사가 수술에 성공하면 환자의 사회적 신분에 따라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생각하고 도전하라 천 교수는 창업을 결심했을 때를 떠올리며 말했다. “제가 2008년에 분류학에서 생명정보학으로 연구 방향을 틀 때 고민을 했어요. 나름 쌓은 게 많았고 세계적으로도 알려져 있었는데 전공을 바꾸려니 당연히 망설여지죠. 그 무렵 한국에 오는 비행기 안에서 미국의 생명과학자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수학은 물론 물리나 화학같은 과학과목 조차 등한시했다.그가 공부를 시작한 건 고교 2학년 때였다. 수업 시간에 미분, 적분을 배우기 시작했는데, 과학자가 되어야겠다는 자신의 목표에 정말 잘 어울린다는 생각이 들어 갑자기 흥미를 느꼈기 때문이란다. 그날 이후부터 오 교수는 방문을 닫아걸고 ... ...
- 짜릿한 수학, 평생 즐기는 세계적인 수학자 (금종해 고등과학원 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게 필요하다고 느낀 시기이기도 했다. 돌이켜 보면 인생에서 가장 재미있었던 10년이 아니었나 싶다. 정말 학생들과 뒹굴며 즐겁게 보냈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서서히 ‘연구’에 대한 갈증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물론 교수로 지내면서도 틈틈이 연구를 병행하고 있었지만, 연구에만 집중할 수 ... ...
- 디자인으로 공간의 마음을 훔쳐라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따른 공간의 변화도 시험해볼 수 있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최근 서울시가 공개한 1970년대 이후의 서울 항공사진을 이용해 서울 한 지역의 공간 변화를 시간순으로 비교해 봤어요. 직접 보면 예상과 굉장히 다릅니다. 미디어를 통해 직접 구체적으로 본다는 것은 이렇게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치는 ...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흉내 내기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앵무새나 구관조가 아닌 말하는 포유류가 2006년 우리나라에서 등장했다. 에버랜드 동물원에 있는 코끼리인 ‘코식이’는 실제로 “좋아”, “안 돼”, “누워”, “발” 같은 소리를 낼 수 있다. 코끼리는 보통 사람에게 들리지 않는 14Hz 정도의 소리인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아직 세계 정상이라고 불리기에는 부족하다. 영국 잡지 ‘타임스 고등교육(THE)’이 매년 10월 초 발표하는 세계 100대 대학 순위를 보라. 한국, 중국, 일본, 싱가포르 등에 있는 아시아 주요 대학의 순위가 과거보다 훨씬 높아졌지만 아직 탑20에 포함된 대학은 나오지 않고 있다. 어떤 나라가 노벨상을 ... ...
- 아이손이 다가온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부서질 가능성도 높다. 이 경우 아이손 혜성의 궤도로 봤을 때 부서진 조각들이 내년 1월 지구에 더 많은 유성우로 떨어질 것이다. 즉 예전에 봤던 유성우가 혜성에서 떨어져나온 먼지 부스러기였다면 이번에는 혜성의 몸통이 유성우를 만드는 것이다. 아이손 혜성의 방문은 여러모로 흥미로운 ... ...
- 5기통 엔진의 마지막 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양산되지는 못했는데, 당시 미국에는 작은 차를 타려는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다. 1974년이 돼서야 메르세데스 벤츠사가 5기통 디젤 엔진인 ‘OM617’을 양산용 자동차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그 뒤 볼보, 아우디, 폭스바겐이 5기통 엔진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쌍용차가 5기통 엔진을 ... ...
이전9779789799809819829839849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