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HBPP)’ 의장인 박영목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이 2010년부터 주도하고 있다. 현재는 기억과 학습의 중추이자 알츠하이머와 간질 등과도 관련이 많은 해마를 집중 연구하고 있다.연구팀은 질량분석기를 이용해 뇌단백질체지도를 만드는데, 세계 최고 수준의 효율성이 큰 장점이다. 아주 ... ...
- 남극 해저의 난파선이 썩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의한 분해 흔적도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온대지방 해저에 가라앉은 나무토막이 반 년 만에 크게 분해되는 것과 대조적이다. 연구팀은 “인근지역 해저를 수중 촬영한 결과 나무토막 유입이 전혀 없었다”며 “나무를 처음봐서 생물이 이용하지 못한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연구결과는 ... ...
- 꼬리칸에서 생존하는 법과학동아 l2013년 09호
- 1인당 연간 육류소비량 35kg을 기준으로 계산의 편의를 위해 돼지만을 사육한다고 하면 1년에 돼지 2920마리를 잡아야 하며, 총 21칸의 사육공간이 필요하다. 벼 재배에 비하면 공간이 적게 든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사료를 재배하기 위한 공간은 고려하지 않은 계산 결과다.설국열차는 노아의 방주가 ... ...
- [life & Tech] 착한야식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야식 증후군’이라고 부른다고 하네요. 알버트 스툰커드 미국 펜실베니아대 교수가 1955년에 정의 했습니다. 스트레스로 인한 호르몬 불균형으로 야식을 찾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제가 밤이면 치킨을 떠올리는 것이 단순하게 기분 탓이 아니었다는 겁니다.야식 경향이 나타나는 가장 큰 ... ...
- 동북아시아를 강타한 지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난 뒤 1000회가 넘는 여진이 이어져 주민은 계속 불안에 떨고 있어요. 쓰촨성은 지난 2008년 리히터 규모 8.0인 강진으로 8만 6000여 명이 사망한 지역이라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올해 들어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어요. 21일 오전 8시 21분, 전남 신안군 북서쪽 해역에서 ... ...
- 풀 뜯는 호랑이? 담배 문 참새?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몸속의 기생충을 죽이려고 독 있는 식물을 먹는 대담한 동물이 바로 저희입니다. 1978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다니엘 잰즌 교수가 밝혀낸 사실이지요. 고양이 과의 다른 동물들도 필요하면 풀을 먹습니다. 예를 들어 고양이는 몸을 핥는 ‘그루밍’으로 몸을 단장하는데 이 과정에서 털이 뱃속에 ... ...
- 해리 스위니 교수, 볼츠만 메달 수상! 검은 비닐봉투와 수선화의 공통점은?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수상했다. 볼츠만 메달은 통계물리학의 노벨상이라고 불릴 만큼 큰 상으로, 1975년부터 3년마다 국제통계물리학회에서 수여하고 있다.스위니 교수는 카오스 이론 분야에 기여한 업적으로 이번 상을 수상했다. 는 스위니 교수의 볼츠만 메달 수상을 기념해 열린 강연회에서 교수님을 만났다 ... ...
- 한가위 보름달은 수학으로 뜬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믿었다.그러나 구적 가능한 초승달은 지금껏 히포크라테스가 찾은 3개의 초승달과, 2000년이 넘게 시간이 흐른 18세기에 오일러가 찾은 2개의 초승달을 포함해 5개뿐이다. 그리고 20세기에 이르러 수학자 체바토루와 도로드나우는 구적이 가능한 초승달은 이 5개뿐이라는 것을 증명했다.한편 고대 ... ...
- 현존하는 20세기 최고의 수학자, 장 피에르 세르수학동아 l2013년 09호
- 학문의 전달과정에 공백이 생기자, 젊은 연구자들은 지적인 갈증을 느꼈다. 그래서 1930년대 중반에 프랑스 젊은 수학자들이 결집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수학자들의 비밀결사를 만들고 이를 ‘부르바키’라고 명명했다. 10명 정도의 수학자로 구성되어 있었고, 세르를 포함한 필즈상 수상자 여러 ...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이번 계획을 두고 “또 다른 문샷(moon shot) 계획”이라고 부르고 있다. 문샷 계획은 1962년부터 시작된 미국의 아폴로 계획의 별명이다.미국은 당시 구소련에 뒤졌던 우주 경쟁 구도를 단숨에 역전시키기 위해, 유인 달탐사에 국가적인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1962년 고 케네디 대통령이 “10년 안에 ... ...
이전9849859869879889899909919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