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한 눈으로 보는 미래 전쟁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자만이 전쟁의 끝을 본다는 말이 있듯이 인류의 역사가 계속되는 한 전쟁도 계속될 것이다. 다만 과거와 현재에 그랬듯, 미래에는 고도로 발전한 기술로 전쟁도 지금과는 다른 양상을 나타 낼 것이다. 학자들은 미래 전쟁의 핵심을 지능화된 컴퓨터와 로봇, 그리고 우주로 본다. 사이버전 5월 12일, ... ...
- [과학뉴스] 고인류 호모 날레디, 현생 인류와 공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결정에서 에너지가 얼마나 변했는지 등을 종합한 결과다. 이에 따라 호모 날레디가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 일정 기간 공존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연구팀은 최근, 호모 날레디가 처음 발견된 구덩이로부터 약 100m 떨어진 또 다른 구덩이에서 성인 두 명과 어린이 한 명 등 최소 세 명의 것으로 ...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블레이드 러너’, ‘백투더 퓨처’, ‘제5원소’ 등 다양한 영화에서 미래 인류의 생활을 묘사하는 상징적인 장면에는 어김없이 하늘을 나는 자동차가 나왔다. 그 사이 많은 영화 속 사물을 현실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됐지만, 플라잉카만큼은 아직까지도 불가능한 상황이다.이유가 뭘까. 이관중 ...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항생제에 죽지 않았다고 지난해 11월에 발표했다. 콜리스틴은 뛰어난 항균작용으로 ‘인류 최후의 항생제’라고 불리는 약제다. 이형민 질병관리본부 의료감염관리TF 팀장은 “당시 수도권 병원 두 곳과 경북지역 병원 한 곳에서 보관했던 세균주에서 콜리스틴 내성 유전자(mcr-1)를 발견했다”며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올리고 노마를 노려보았다.“그런데 허가량에 제약을 받지 않는 사람들이 있어요. 인류가 기술적인 특이점을 넘어서고 우주로 진출하기 전부터 살아왔던 사람들 가운데, 육체를 전면적으로 갱신하지 않은 사람들이 있어요. 단 한 번도. 그 사람들은 정보사용량에 제약을 받지 않아요. 따라서 위험한 ...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실기를 가르치고 있으며, 70여 편의 논문을 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키운 빵, 그 4000년의 진화 효모 사피엔스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가장 맛있는 한국 빵’이 탄생할 날이 올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키운 빵, 그 4000년의 진화 효모 사피엔스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 ...
- [과학뉴스] 공룡이야, 닭이야? 깃털 가진 소형 수각류 공룡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크기가 작고 깃털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최근 중국과학원 척추동물고생물학및인류학연구소 쑤 씽 교수팀이 중국 랴오닝 지역에서 1억 2500만 년 전 트로오돈티드 지아니안화롱 텐기(Jianianhualong tengi ) 화석을 발견했다. 골격은 물론 깃털의 흔적까지 거의 완벽하게 보존돼 있었다. 키는 약 1m 정도로 ... ...
- [Photo] 마법의 돌 ‘녹지 않는 얼음’ 석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인류 문명을 풍요롭게 만들었다. 3, 4월호에 소개한 플린트나 흑요석은 도구로써 초기 인류에게 실용적인 도움을 줬다.내 손목 위에도 수정이 있다과학적인 분석 능력이 점점 발달하면서 각종 광물들이 갖고 있는 고유한 물리·화학적, 광학적 특성들이 속속 밝혀졌다. 그리고 그 특성을 이용해 ... ...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것이라 생각해 번개는 공포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번개가 왜 치는지 알게 된 뒤 인류는 번개를 하나의 기상 현상으로, 나아가 어마어마한 전기 에너지로 인식하게 됐다.과학자들은 번개가 일어나는 현상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백정민 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팀도 번개에서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