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3,044건 검색되었습니다.
美 FDA,1형 당뇨병 발병 지연 효과 치료제 최초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2.11.20
. 프로벤션바이오 제공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1형 당뇨병을 지연시키기 위한 면역
억제
제 '테플리주맙'을 17일(현지시간) 승인했다. 18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테플리주맙은 소아청소년에게 종종 나타날 수 있는 질병인 1형 당뇨병의 발병을 지연시키기 위해 개발된 최초의 치료제다. ... ...
아이들, 어른보다 더 빨리 배운다...연구로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2.11.18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16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연구팀은 이런 차이가 뇌 속
억제
성 신경전달물질인 ‘가바(GABA)’ 때문에 발생한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아이들과 성인을 대상으로 학습 훈련을 시키고 제한된 시간 내에 학습할 내용을 제시하고 시험을 통해 이를 평가했다. 연구팀은 학습 ... ...
울릉도·남극 미생물 섞어 암 전이
억제
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7
양이 적은 것이 문제로 꼽혔다. 연구팀은 남극 킹 조지섬에서 서식하는 곰팡이를 혼합해
억제
물질 생성량을 늘렸다. 약 10배 양을 늘리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남극의 곰팡이가 생산하는 특정 물질이 울릉도린 생산에 관여하는 방선균의 생합성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하고 ... ...
“거리두기·마스크 착용...시민의식 덕분에 한국 코로나 사망 최소화”
동아사이언스
l
2022.11.17
접종률은 1차 87.9%, 2차 87.1%로 다른 국가 대비 압도적으로 높으며 이는 중증 환자 발생을
억제
했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연구팀은 ‘한국의 코로나19 대처 방안’에서 여러 교훈을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감염병을 예방하거나 심각성을 낮추기 위해선 초기에 적극적인 감시·격리·관리가 필요하며 ... ...
부작용 없는 의약품 단초 제시...소리로 '키랄성' 물질 분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11.16
이성질체는 입덧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었지만 반대쪽 키랄성 이성질체는 혈관 생성을
억제
하는 부작용이 있었다. 이 약물로 약 1만명 이상의 기형아가 태어나기도 했다. 하지만 키랄성 분자들은 용액 안에서 두 물질을 분리하는 게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다. 물리화학적 특성이 유사하기 ... ...
만성피로 원인 '간질환' 유전요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6
촉진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원발성 담즙성 담관염 치료 약제를 투약하면 진행이
억제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카스파제-10이 원발성 담즙성 담관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최초로 규명한 연구”라며 “환자를 위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 것”이라고 밝혔다 ... ...
고통스러운 ‘염증성 장 질환’ 치료 실마리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2.11.14
연구팀이 단백질 합성 효소 ‘EPRS1’이 염증 환경에서 과도한 면역 반응을
억제
하며 면역력을 유지하게 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14일 밝혔다. 염증은 생체 조직이 손상을 입거나 감염됐을 때 방어수단으로 일어나는 복합적인 면역 반응의 결과다. 염증이 해소되지 않고 만성 염증으로 이어지면 ... ...
호주, 대변으로 정제한 '장내미생물 의약품' 세계 첫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2.11.11
디피실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미생물을 주입했더니 최대 96%의 환자에서 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항생제와 함께 주입할 경우 효과가 더 컸다. 미생물은 결장과 관장을 통해 주입된다. 바이옴뱅크는 환자 접근성 확대 연구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현재 구강 전달 캡슐, 결장 및 관장 전달을 ... ...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 '페로브스카이트' 상용화, 한국이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1
수 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크기의 나노입자 형태로 만들어 소재 내부 전하 분리를
억제
하려는 연구가 이어졌지만 전하의 이동 성능이 떨어지는 딜레마가 생겼다. 이태우 교수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결정을 벤젠성 산성액으로 둘러싼 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나노입자를 합성했다. 이렇게 ... ...
"전기자극으로 척수손상 치료"…재활 과정 세포 수준에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1
뉴런들은 실제로 보행능력을 회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뉴런을
억제
하면 전기자극을 줘도 보행능력이 회복되지 않았고 반대로 이 뉴런을 활성화시키면 전기자극 없이도 보행능력이 회복됐다. 이번 연구는 향후 하반신 마비 환자를 치료하고 더 복잡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