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월"(으)로 총 11,822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인체 플랫폼과학동아 l201606
- 할까.※ 참고자료 : 'ECOsight 3.0: 미래사회 전망' 보고서(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5년 6월 발간). '인체 플랫폼'이라는 용어는 인체가 IT, BT 기술을 적용하는 플랫폼이 된다는 뜻으로, 이 보고서에서 처음 사용됐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체 플랫폼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Part 2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06
- 무전원 인공기저막’을 개발했다(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 2014년 11월호). 이 기저막은 기존 인공 와우의 마이크로폰 대신 소자 안에 든 유체가 음파를 전달한다. 실로폰처럼 길이와 두께가 서로 다른 여러 개의 압전소자가 이 음파의 주파수에 따라 각각 공진하면서 전기 신호를 ... ...
-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1606
- 수 있는 ‘의미망 네트워크’를 만들고, 비교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월 1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해, 달, 별(이상 천체), 산, 호수, 강(이상 지리), 돌, 재, 모래(이상 재료) 등 모든 언어에 공통적으로 있는 단어 22개를 골라서 의미망 네트워크를 만들었다. 하나의 영어 단어를 81개 ... ...
- [Career] 계산과학·공학을 쉽고 빠르게, 에디슨과학동아 l201606
- SW활용 경진대회는 매년 열린다. 작년까지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했는데, 3월에 열린 올해 대회부터 고등학생도 참여할 수 있게 됐다. 조 센터장은 “경진대회 전에 따로 교육을 하지 않았는데도 학생들이 매뉴얼을 보고 에디슨을 활용하는 법을 파악했다”며 “그만큼 이 플랫폼이 다루기 ...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수학동아 l201606
- 없다면 SNS로 친구들에게 알려보는 건 어떨까. 군집분석 데이터로 코칭하는 스키2018년 2월에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알파인 스키★ 종목을 준비하는 선수들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받고 있다.우리나라는 스키 코치가 부족해 선수 개개인의 특징에 맞춰 ... ...
- Intro. 태양계의 9번째 후예수학동아 l201606
- 006년 8월, 이전까지 행성으로 인정됐던 명왕성이 지위를 박탈당했다.국제천문연맹(IAU)은 명왕성을 왜행성으로 분류하며, 나머지 여덟 개만 태양계의 행성으로 인정했다. 그로부터 약 10년이 흐른 지난 1월, 미국 천문학자들은 아홉 번째 행성으로 추정되는 새로운 행성을 찾았다. 미국 ...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수학동아 l201606
- 등이 있다.그렇다면 수많은 천체 가운데 행성만이 가진 특징은 무엇일까? 지난 2006년 8월, 국제천문연맹(IAU)은 명왕성을 왜행성으로 분류하면서, 행성을 정의하는 4가지 조건을 새롭게 공개했다. 플래닛 나인이 아홉 번째 행성이라고 인정받으려면 이 조건에 모두 해당해야 한다.명왕성이 행성에서 ... ...
- [과학뉴스] 거대 블랙홀 품은 꼬마 은하과학동아 l201606
- 거대은하에서만 발견되던 거대질량 블랙홀이 우리은하보다 작은 조밀타원은하(compact elliptical galaxy)에서 처음 발견됐다.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진화그룹 연구팀은 슬론전천탐사 ...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천체물리학저널 레터스’ 3월 17일자에 실렸다 ... ...
- [과학뉴스] 피부에 넣은 태양전지로 전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606
- 피부 속에 태양전지를 넣어 작동시키는 데 성공해 ‘어드밴스드 헬스케어 머티리얼스’ 5월 4일자에 발표했다. 심박조율기 등 체내 삽입형 의료기구에 연결하면 주기적으로 전지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을 줄일 수 있을 전망이다.연구팀은 6~7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6m) 두께의 얇은 태양전지 기판을 ... ...
- [과학뉴스] 예쁜 배지가 과학자들의 마음을 녹였네과학동아 l201606
- 다른 과학자와 공유하겠다고 밝힌 논문에 작은 배지를 달아주는 프로젝트를 2014년 1월부터 시작했다.그 결과 3% 내외였던 공개 비율이 1년 만에 23%로 뛰었다. 그리고 2015년 상반기에는 최고기록인 40%까지 치솟았다. 비슷한 주제를 다루는 다른 저널들의 공개 논문 비율이 10% 미만인 것과 비교하면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