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수밖에 없는 걸까. 다음 파트에서 ‘똑똑한 물’로 무서운 물에 맞서는 사람들을 만나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이상한 물, 무서운 물, 똑똑한 물Part 1. 세 과학자의 이상한 물Part 2.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Bridge. 그래픽으로 보는 서울 물 지도Part 3. 공유, 기술, 소통으로 본 똑똑한 ... ...
- [Life & Tech] 페이스북 ‘과고드립’ 운영자 인터뷰 “너드요? 저는 개성이라고 생각해요”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배운 내용을 가지고 친구들과 웃고 즐기다 ‘아예 페이스북 그룹을 만들어 공유해보자’는 생각을 한 게 출발이었다. 처음에는 같은 고등학교 친구들끼리 소소하게 놀았는데, 우연히 ‘전국과학고등학교학생연합회’ 페이스북 그룹에 홍보를 했다가 대박이 났다. 회원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기 ... ...
- 동네 서점을 거니는 느낌으로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동네 서점이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의 놀이터였던 시절이 있었다. 잔잔한 음악이 흘러 나오는 서점 안을 그저 휘 둘러보면서 거니는 것만으로, 차곡차곡 ... 알지 못했던, 물리학의 새로운 면모를 우연히 발견하는 기쁨도 누릴 수 있다. 그냥 한번 들춰보자. 동네 서점을 거니는 느낌으로 ... ...
- [Hot Issue] 류현진, 네 탓이 아니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여기에는 하나의 맹점이 있다. 내가 응원하는 팀이 점수를 주는 상황을 한번 떠올려보자. 투수가 연속 안타를 맞고 점수를 주기도 하지만 수비수의 어이없는 실수(실책)로도 점수를 준다. 명백한 실책은 수비에 의한 실수로 기록되지만(비자책), 실책인지 아닌지 애매하거나 기록되지 않은 실책이 ... ...
- Part ➌ 건강한 숲에는 꽃이 핀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증거가 아닐까? 마지막으로 나무가 꽃을 활짝 피울 수 있는 수학적 조건을 알아보자.나무가 꽃을 피우려면, 우선 저장된 에너지가 있어야 한다. 광합성으로 얻은 에너지의 일부를 꽃을 피우는 데 사용하기 때문이다. 만약 1년 동안 꽃과 열매를 만드는 데 쓴 에너지가 저장된 에너지보다 많다면, ... ...
- [생활] 인천 동산중 안정덕 선생님 수학, 글쓰기로 키운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누구나 수학과 친해질 수 있다는 걸 깨달았다” 고 말했다. 수학의 느낌, 일기로 써보자선생님의 다음 도전은 ‘수학일기 쓰기’였다. 수업을 듣고 숙제만 하면 그만인 기존 방식엔 분명 한계가 있었다. 일기를 쓰면서 배운 내용을 곱씹어 보면 개념을 더욱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리란 확신이 ... ...
- Part 3. 공유, 기술, 소통으로 본 똑똑한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그런데 증발산량 측정엔 큰 걸림돌이 있다. 학교 기상대에 설치된 온도계를 떠올려보자. 비록 학교 구석에 설치돼 있었지만 온도계의 온도는 학교나 근처의 온도와 큰 차이가 없다. 온도가 지형이나 환경에 덜 민감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증발산은 지형, 온도, 습도에 심한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 ...
- [Life & Tech] ‘개저씨’와 ‘꼰대’를 위한 변명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주장이 있다. 이를 ‘생애사 이론’이라고 한다. 인류의 진화 과정을 되새겨보자. 수백만 년 전부터 인간의 뇌는 계속 크기가 증가해 왔다. 그런데 머리가 너무 크면 엄마가 아기를 낳을 수 없기 때문에, 아기는 충분히 성숙하지 못한 채 태어난다. 그 상태에서 아기가 엄마나 아빠가 되려면, 적어도 1 ... ...
- Part1. 거짓말 잘하는 비결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있다. 거짓말을 뒤집어보자. 거짓말은 인간에게 필요한 사회성, 그 자체다. PLUS 초보자를 위한 거짓말 제대로 하는 법많은 사람들이 거짓말쟁이는 안절부절못하고, 가슴에 팔을 포개놓고, 침착하지 못하고, 눈을 못 맞추고, 특히 미사여구를 많이 쓴다고 믿는다. 하지만 어느 것도 학문적으로 ... ...
- [Knowledge] 지질도 보면 싱크홀 피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가치가 대단히 크다. 미국 최초로 1:24,000 축척으로 지질도를 완성한 켄터키 주를 보자. 1960년부터 1978년까지 켄터키 지질조사소와 미국지질조사소는 천연자원을 개발하는 데 쓸 707개의 상세 지질도를 생산했다. 이 지질도는 당시 자원을 개발할 때뿐만 아니라 이후로도 오랜 시간 동안 공해 방지와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