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물학
생명
d라이브러리
"
생명체
"(으)로 총 1,91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십만 고유종의 '멋진 신세계'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꽥꽥’ 소리를 지른다. 눈꺼풀이 없어 혀로 눈알에 묻은 먼지를 닦아내는 모습은 외계
생명체
를 연상시킨다.특이하게도 양서류는 마다가스카르 섬에 단 1종류만 산다. 개구리가 유일한 양서류로 두꺼비나 도롱뇽은 살지 않는다.하지만 섬에는 300종이 넘을 정도로 다양한 개구리가 살고 있으며 99 ... ...
걸리버 여행기 과학으로 들여다보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작은 박테리아에서 100m가 넘게 자라는 세쿼이아에 이르기까지 천차만별의 크기인 지구상
생명체
들은 어떻게 오늘날의 모습을 지니게 됐을까.저자는 먼저 ‘걸리버 여행기’의 삽화처럼 전체적인 모습은 그대로 유지한 채 크기만 커졌다 작아졌다 할 수는 없다고 강조한다. 즉 소인국 사람들은 ... ...
전 소대원 몰살시킨 의문의 바이러스 GP506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다음 숙주세포의 유전물질 속에 들어가야만 번식할 수 있다. 바이러스는
생명체
와 비
생명체
의 중간단계에 있는 셈이다.우리 주변에서는 감기 바이러스가 가장 흔하다. 감기 바이러스는 100여종이 넘는데, 코 점막세포에 들어가 감기를 일으킨다. 면역성이 떨어지는 질환을 앓거나 50세 이상 노인, ... ...
3. 고품질 바이오석유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유전자를 넣어줘야 한다. 최근 수십 년 동안 생명과학이 눈부시게 발전하면서 여러
생명체
에서 수많은 효소가 밝혀졌다.따라서 충분한 생명과학 지식과 정보가 있는 실험실이라면 탄화수소를 합성하는 인공균주를 만들어낼 수 있다. 문제는 과연 이렇게 만들어진 바이오연료가 경제성이 있는가 ... ...
1998년 이서구 교수의 활성산소 신호전달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게놈을 분석한 결과 퍼록시레독신은 효모에 10여 가지, 포유류도 6종류나 있었다. “
생명체
는 굉장히 효율적인 시스템입니다. 특별한 목적 없이 유전자를 여럿 투자하지 않지요.” 따라서 이 교수는 퍼록시레독신이 우연히 생긴 활성산소를 없애는 게 아니라 뭔가 정교한 조절과정에 관여한다고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흥미로워요. 올해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 가서 연구하고 싶어요. 대학원에서는
생명체
가 어떻게 기능하는지 물리적으로 설명하는 생물물리를 이론적으로 공부할까 생각해요.”아이비리그에 당당히 입성해 장학금을 받고 전 세계를 누비며 연구하는 수연 양은 후배 이공계 알파걸의 멘토인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원핵생물들의 공생체라는 가설을 내놓았다. 현재 진핵세포의 몸체에 해당하는 어떤
생명체
가 박테리아를 잡아먹었는데 소화시키는 대신 세포안에서 함께 살며 오늘날 진핵세포로 진화했다는 시나리오다. 세포내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가 이때 포획된 박테리아의 후손이다.마굴리스 ... ...
'경칩'에 움츠러든 개구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환경지표종으로도 취급되는 생물군이다.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해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
가 유기적으로 살아가는 지구를 가꾸는 일은 우리 모두의 의무다 ... ...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발달하고 있지만 현재 수준의 휴머노이드 로봇은 아무리 그럴 듯한 행동을 해도 결코
생명체
의 역할을 대신할 수는 없다. 거울뉴런은 귀신같이 생물과 무생물을 구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한편 거울뉴런이 제대로 자극되지 못하면 개인의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불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한 집단이 ... ...
봄을 부르는 겨울자나방의 세레나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쪼그라진 암컷의 시신이 있다. 날이 따뜻해지면 알을 깬 애벌레들이 그 자리를 채운다.
생명체
가 살 수 없을 것 같은 삭막한 겨울 숲에서 다음 세레나데를 위해 겨울자나방은 또 나뭇잎을 갉아 먹는다.겨울자나방은 왜 결혼 시즌을 겨울로 택했을까? 생존은 곧 전략이다. 그들 삶의 경쟁에는 천적도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