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민학생
초등생
초딩
d라이브러리
"
초등학생
"(으)로 총 1,066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최초 과학전문 뉴스 '웰컴 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보는 것처럼 즐기면서 시청할 수 있다.웰컴 사이언스는 누구나 어렵게 생각하는 과학을
초등학생
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쉽고 재미있게 풀어보자는 의도에서 제작된 국내 최초 과학전문 뉴스프로그램이다.이와 함께 고려대 물리학과 정재승 교수가 진행하는 ‘시네마 사이언스’는 영화 속에 ... ...
노벨상 도전하는 세계적 과학자 양성 과학영재학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중요한 점은 고등학교 진학을 목전에 둔 중3만이 아니라‘중3 이하’라는 것.
초등학생
이건 하급 중학생이건 과학적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을갖췄다면 입학이 가능하다.그렇다면 혹시 영재학교로 진학시키기 위해 어린 초등학교 시절부터 학생들은 과외에 매달려야 하는 것은 아닐까. 이같은 ... ...
제4회 컴퓨터창의성대회 시상식 거행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다녀서 준비하는 경우가 드물다. 고등부 금상을 수상한 복병준 군은 “상식을 쌓기 위해
초등학생
때부터 과학동아를 구독했다”고 한다.이 외에도 일반 경시대회와 컴퓨터창의성대회는 여러모로 비교가 된다. 최근 경시대회에 대해 학생들의 관심이 무척 높다. 경시대회 입상이 대학입시와 ... ...
지능검사 새로운 바람 분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지능검사를 통해 알게되는 IQ. 흔히 이 숫자가 높으면 영재라 한다. 과연 그럴까.또 최근 좀더 정확한 지능검사를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도입되고 있다는데…. 지능과 창의성을 높이는 교육수단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는 새로운 지능검사를 만나보자.과학기술부는 9월 19일 올해 안으로 16개 과학고등 ... ...
해마다 업데이트 되는 과학행사 일본 도야마 과학축전 참가기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공통된 고민이었다. 그러나 일본의 과학축전의 경우 처음에는 참가자가 대부분
초등학생
과 부모들이었고 중·고등학생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는데, 참가하는 학생들의 연령이 점차 높아진다는 점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야마에서도 마찬가지다. 또한 부스를 방문하는 교사의 비율도 높아졌다.방문자 ... ...
이혁모 컴퓨터로 첨단합금 설계하는 사이버 연금술사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첨단재료들이 속속 등장하면서 금속재료들은 자신의 몸값을 올리기 위해 기업간 합병과 같은 합금의 방법을 선택한다. 그런데 기존 합금의 경우 시행착오적으로 여러 물질을 섞은 후 그 기능이 무엇인지가 파악됐다. 하지만 이제는 새로운 기능을 갖는 합금을 먼저 이론적으로 디자인한 후 제작한 ... ...
조윤제 암블랙박스 파헤치는 구조생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사람의 몸에는 종양억제 단백질이란 분자가 있다. 이 단백질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면 암이 발생한다. 도대체 종양억제 단백질이 어떤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일까. 이것은 구조생물학자 조윤제 교수의 호기심이기도 하다. X선 결정법으로 종양억제 단백질의 구조를 밝힘으로써 지금까지 블랙박스 ... ...
지식정보사회에 필요한 능력 어떻게 키울까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점점 정보생산 속도가 증가한다는 말이 있다. 정보사회에서 사람들은 이전보다 더 혼란스럽다. 따라서 문제해결과정에서 정보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가 관건이다. 자신의 정보활용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평가해볼 기회가 없을까.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에서 미래를 이끌 ... ...
우주를 향한 청소년들의 대축제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창의적인 마인드를 고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올해 처음 개최됐다. 그동안
초등학생
대상으로 소규모 물로켓과 알코올로켓 발사대회는 있었지만 초·중·고 학생 전부를 대상으로 한 전국규모의 화약로켓발사대회는 이번이 처음이다.한달여에 걸쳐 열린 지역별 예선대회에는 총 ... ...
'당신은 창의적인가' 진단기준 4가지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최근 창의성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환경오염이나 에너지위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창의적인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창의성이란 도대체 뭘까.인류는 새로운 것을 찾아내 이를 활용하면서 발전해 왔다. 이런 측면에서 인류의 역사는 곧 창의성의 역사다.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