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기"(으)로 총 5,382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알기 위해 사주나 혈액형별 성격을 확인하는 것보다는 뇌를 탐구하는 것이 더 정확하기도 하다. 사회 속에서 다른 사람을 대하면서 가진 의문을 뇌과학 이론으로 해석해준다. 이 책은 세부적인 이론에 대한 설명을 대폭 줄였다. 대신 일상적인 에피소드를 통해 사회성의 특성을 쉽게 설명하고, 이 ... ...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않거나 측정 결과가 재현되지 않는 문제가 생겼다. 세포를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주입 하기도 쉽지 않았다. 신 연구원은 반도체 물질 대신 유리 기판에 정교하게 패턴을 새기는 공정 기술을 개발해 세포가 자리 잡고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 세포를 정확한 위치에 주입할 수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고등학교 과학 활동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부스를 운영하기도 하고, 학교 이외의 행사에서 동아리 중심으로 과학 나눔 활동을 하기도 합니다. 이런 활동들은 과학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하는 기회가 됩니다. 또 봉사활동의 일환으로 삼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과학 나눔 활동은 봉사활동 시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활동은 본인은 ... ...
- 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해석하는 거지요. 하물며 사람의 감정처럼 기호로도 나타내기 힘들면 인공지능이 따라 하기 어려울 거예요. 인공지능이 사람을 뛰어넘으려면 수학적인 증명도 수학자보다 잘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미 괴델이 인공지능이 증명할 수 없는 명제가 있음을 밝혔으니, 사람을 100% 따라잡을 수 없을 ... ...
- Part 3. 온가족이 함께하는 확률게임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이런 쉬운 게임에서조차 남아있는 카드의 개수와 본인이 가진 카드의 조합을 따져야 하기 때문에 카드 게임 중에 두뇌를 쓰지 않은 것은 없다. 트럼프 카드 말고도 그림이나 숫자가 적힌 보드게임도 많다. 여기 온 가족이 함께할 수 있는 대표적인 카드게임 몇 가지를 소개한다. ▼관련기사를 ... ...
- [실전! 반려동물] 개는 왜사람을 무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하는 등 보호자가 반려견을 잘 관리하는 것이 가장 먼저예요. 그다음으로는 개가 공격하기 전에 보이는 ‘경고 행동’을 잘 관찰하는 것도 중요하지요. 개는 크게 두 가지의 경고 행동을 보여요. ‘방어적 경고’는 개가 무서움을 느낄 때 하는 자세예요. 더 이상 다가오지 말라는 표현이기도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다이서로스 교수는 2016년 ‘스탠퍼드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정신병을 이해하고 치료하기란 너무나 어려운 일”이라며 “광유전학은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유력한 도구”라고 말했습니다. 광유전학을 이용한 연구는 현재진행형입니다. 지금도 많은 연구를 통해 빛으로 조절이 가능한 다른 ... ...
- [현장취재]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을 만나다! 로멜라 로봇 전시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되기 위해 열심히 공부했어요. 로봇 공학을 하기 위한 도구는 과학이고, 과학을 하기 위한 언어는 수학이거든요. 전 수학을 좋아하지 않았지만, 로봇 공학자가 되기 위해 수학이 필요 하다는 걸 알았지요. 그래서 열심히 공부한 결과 좋은 점수를 받았답니다. 우리가 공부할 때 왜 하는지 모르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예르미타시 박물관展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명화에 표현했다고 설명했어요. 한편 성혜성 기자는 그림 속 건초를 색다르게 표현하기 위해 색종이를 붙였어요. 선생님은 주황색과 연두색, 노란색 종이가 어우러져 그림이 진짜 건초처럼 보인다고 말씀해 주셨지요. 하늘에는 별 모양의 스티커를 붙여서 ‘밤하늘 별빛 아래’라는 이름을 지어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룰루 첸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교수팀은 스스로 목적지까지 걸어가는 미세 로봇을 개발하기도 했다. 다리 한 개에 달린 발 두 개, 물건을 집을 수 있는 손 두 개를 가진 이 로봇의 보폭은 고작 6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다. 외부의 조작이나 별도의 에너지 없이 DNA 두 가닥이 서로 결합하는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